<김성훈 원장의 두뇌학습 이야기 7>다중지능 8가지 영역
입력시간 : 2008. 06.27. 00:00
이번 시간에는 다중지능의 8가지 영역을 살펴보고자 한다. 각자 타고난 지능을 최대한 활용하면 학습에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언어 지능(Linguistic Intelligence)은 단어의 소리, 리듬, 의미에 대한 감수성이나 언어 기능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된 능력이다. 언어 지능이 높은 사람은 토론 시간에 두각을 나타내고, 끝말잇기 게임, 낱말 맞히기 등을 잘한다.
언어 지능은 말뿐 아니라 글을 쓰는 능력과도 연관되는데 언어 지능이 높은 사람은 심금을 울리고 웃음을 자아내는 감동적인 글을 쓴다.
선택하면 좋은 직업으로는 연설가, 정치가, 시인, 극작가, 편집자, 기자 등을 들 수 있다.
논리ㆍ수학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은 추상적 관계를 응용ㆍ판단하고, 수와 논리적 사고를 사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쉽게 말해 논리적 문제나 방정식을 풀어가는 과정에 발휘되는 능력으로, 때에 따라 언어 사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선택하면 좋은 직업 수학자, 회계사, 통계전문가, 과학자, 컴퓨터 프로그래머, 논리학자이다.
공간 지능(Spatial Intelligence)은 시공간적 세계를 정확하게 인지하며 3차원 세계를 잘 변형시키는 능력으로 색깔,선,모양,형태,공간 요소의 관계를 잘 파악한다. 특정 공간에 자신을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능력도 뛰어나다.
선택하면 좋은 직업으로는 안내자, 군인, 건축가, 실내장식가, 발명가, 예술가이다.
신체ㆍ운동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은 운동 감각, 균형, 민첩성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으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그림보다 몸동작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TV에서 몇 번 본 춤을 쉽게 따라 하거나, 무용이나 연극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들 역시 신체ㆍ운동적 지능이 높은 경우가 많다. 선택하면 좋은 직업으로는 배우, 운동선수, 조각가, 기계공, 외과 의사이다.
음악 지능(Musical Intelligence)은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음에 대한 지각력, 변별력, 변형 능력, 표현 능력을 가리킨다. 소리나 리듬, 진동 같은 음의 영역에 민감하고, 사람의 목소리와 같은 언어적 형태의 소리뿐 아니라 소음이나 동물 울음 같은 비언어적 소리에도 예민하다.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은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고, 그들의 행동을 해석하는 능력이다. 사람의 기분, 감정, 의향, 동기 등을 인식한 후 감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고, 표정, 음성, 몸짓 등 눈에 보이는 정보뿐 아니라 비언어적인 다양한 힌트, 신호, 단서, 암시 등을 재빨리 변별해 효율적으로 대처한다.
친구들이 많이 따르고, 모임을 주도한다. 선택하면 좋은 직업 카운슬러, 교사, 심리치료사, 정치가, 종교지도가, 세일즈맨이다.
자연친화 지능(Naturalistic Intelligence)은 자연 현상에 대한 유형을 규정하고 분류하는 능력과 주변 환경의 특성을 고려해 일을 처리하는 능력을 뜻한다. 동식물 채집은 물론 나뭇잎의 모양이나 크기, 지형 관찰 등을 좋아하고, 종류별로 잘 분류할 수 있다. 자연친화적 성향이 강하다. 선택하면 좋은 직업은 식물학자, 과학자, 정원사, 수의사, 해양학자, 공원관리자, 지질학자이다.
자기이해 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은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느낄 수 있는 인지적 능력으로 대인관계 지능과 유사하다. 자신의 객관적인 장단점 파악은 물론 기분, 의도, 동기, 욕구 등을 스스로 깨달아 자기가 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한마디로 어떤 분야에 능력이 있고, 무엇을 하고 싶은지 스스로 아는 것으로 자아 존중감이 높다. 선택하면 좋은 직업은 철학자, 소설가, 심리학자이다.
광주아이리더 김성훈한의원ㆍHB두뇌학습클리닉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