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리 가족 주치의 김성훈 한의원입니다.

오늘은 가장 흔한 피부 질환 중 하나인 '두드러기'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두드러기는 혈관 반응에 의해 피부의 진피층에서 가려움증을 동반한 일시적인 팽진(피부부종)이나 맥관 부종, 홍반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증상이 거의 매일 발생하며 6주 이상 지속할 경우 만성 두드러기로 분류합니다.

 

[ 증상 ]

일반적으로 약 30분에서 24간 이내로 지속하는 피부의 일시적인 팽진이 나타나며, 간지럼증이나 화끈거리는 느낌이 있습니다.

부종이 피하조직 또는 점막 조직에까지 확대될 경우 맥관 부종이라 부르는, 발적이 동반된 커다란 종창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엔 최대 72시간까지도 증상이 지속할 수 있으며 간지럼증이 아닌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후두부종, 호흡 곤란, 쉰 목소리가 후두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기관지 점막의 부종을 암시하는 소견이니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 원인 ]

두드러기의 발생 기전은 아직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크게 면역학적 기전, 비(非) 면역학적 기전,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요 매개물질로는 히스타민이 알려져 있으며, 비만세포나 호염기구의 탈과립이 일어나면서 홍반과 팽진, 가려움증을 일으킵니다.

 

급성 두드러기의 경우 감염 혹은 환경인자, 음식물, 특정 약물이 흔한 원인입니다. 기타 물리적 자극, 온도 변화, 사회 심리적 요인,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인자가 두드러기의 유발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환자의 소그룹에서 IgE에 의해 매개되지 않는 식품 성분에 의한 가성 알레르기 반응이 발견되었습니다. 가성 알레르겐은 약물과 유사한 방식으로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를 유발하고 악화할 수 있습니다.

* 가성 알레르기 반응 - 항원항체 반응, 즉 알레르기 반응을 거치지 않으면서도 알레르기 모양의 증세를 나타내는 것

 

[ 예후 ]

급성 두드러기는 흔한 병으로 전체 인구의 10~20%가 경험합니다. 성인에서는 15~20%가 일생 동안 1회 이상 두드러기를 경험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고 보통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만성 두드러기 환자 중 과반수는 증상이 1년 이내에 소실되지만, 장기간 지속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6개월 이상 두드러기를 보이는 환자의 40%에서는 10년 이상 경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두드러기 환자의 약 1/3은 급성 두드러기이고, 2/3는 만성 경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치료 ]

보통은 항히스타민제로 일차 치료를 하게 되며, 한의원에는 항히스타민제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두드러기 환자분들이 찾아옵니다. 한의원에서는 침, 약침, 한약치료를 통해 두드러기를 치료합니다. 피부질환인 두드러기를 침으로 치료하는 것에 의구심이 들 수 있으나 최근 연구에서, 침 자극이 혈청 IgE level을 낮추고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분비와 류코트리엔 분비를 감소시켜 가려움증과 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두드러기를 단순히 피부만의 문제로 국한하지 않습니다. 즉 피부 발산 기능의 문제 외에도 소화기(비위)의 문제, 스트레스로 인한 내분비계 교란, 신진대사의 저하로 인한 면역계 교란 등 자세한 변증을 통해 다양한 인체의 대사의 균형을 되찾는 것에 목표를 두고있습니다. 실례로 두드러기 환자 10명 중 9명은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갑상성 질화 등의 동반질환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있습니다.

 

본 원에서는 단순 증상의 완화보다는 원인을 해결하고 내 몸의 자생력을 강화시켜주는 치료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양방에서의 치료처럼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관리 ]

스트레스, 알코올, 아스피린, 비 스테로 이성 소염진통제(NSAIDs) 모르핀 제제를 피해 주어야 합니다.

각 개인에 해당하는 두드러기 유발 요인을 피하고 음식물이 원인일 경우 식이의 종류를 제한하시길 바랍니다.

 

두드러기뿐만 아니라 현재 나와 우리 가족의 건강상태에 대해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문의 또는 방문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임상에서는 

두드러기기는 졸병(1달 이내의 병)인지 고질병(3개월 이상)인지가 중요합니다.

첫번째로 고려해야할 상황은

소화기의 문제(Gl tract의 문제)가 있는 경우입니다. 설사 변비 속쓰림 소화장애가 있는 지를 잘 감별해야합니다.
이런 경우라면 소화기만 안정 시키면 치료됩니다.

 

두번째로는 간의 해독기능에 문제가 있는 경우입니다. 평소 피부가 약하여 찰과발적이 생기거나 모기등에 물리면 오래가는 경우입니다. 치료가 조금 더 걸립니다.

 

세번째로는 별 다른 증이 없는 경우인데 주 원인은 피부층의 수독에 집중하여 치료하면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