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아드님의 구안와사로 답답한 마음으로 걱정하시는 엄마의 마음을 위로드립니다.
|
님의 귀여운 아드님의 상태가 좌측의 그림처럼의 상태가 아닌가 싶습니다. 병이 온 부위는 눈이 감기는 우측이 아니라 눈이 안감긴 좌측입니다. 좌측의 안면신경이 기능을 하지 못하여 울거나 웃을 때 감기지 않는 것입니다. |
치료전(질병발생초기) |
치료후(완치된 후) |
|
|
#마비측의 눈이 감기지 않는다. |
#제 증상 소실 |
위의 사진은 11 개월 된 아이의 안면 바비의 상태로 약 3주 정도 치료후 호전 된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구안와사의 대부분은 벨마비라하는 원인에 의해서 발병됩니다.벨마비는 특별한 이유 없이 면역력이 약화되면서 제7뇌신경인 안면신경에 바이러스가 감염되면서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즉 안면신경은 약 40개의 안면의 근육에 연결되어 있어 수백가지의 표정을 짖게해주는데 이 과정의 신경전달이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장애가 나타난 현상입니다.
마치 전신전화국의 전선다발이 화재나 침수로 장애가 생겨 각집으로 전화연결이 안되는 현상과 비슷한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치료의 경우를 보면 벨마비는 약 70% 정도는 자연치유가 되는 질병이지만 상태의 조속한 치유와 혹 생길 수도 있는 후유증의 예방을 위해서 약물치료와 침치료를 병행해야합니다.
구안와사가 발생하면 아래와 같은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만 꼭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 질환은 이화학적인 검사가 따르지 않을 경우 자칫 오진을 할 가능성이 있는 타 마비성질환과는 달리 이 질환에 대한 정확한 병태 및 진행양상과 유사한 질환과의 감별진단에 대한 올바른 지식만 있는 의사라면 특별한 검사가 선행되지 않아도 진단에 무리가 없는 질환이기때문입니다.
|
뇌자기공명사진 (MRI)혹은 CT검사 |
신경근전도 검사 링크 구안와사의 근전도 검사 |
적외선체열진단 안면의 혈류상태와 경근 경락의 활성도를 좌우안면을 비교하는데 필수적인 검사이다.
혈액 검사 |
X선 검사
청력 검사
|
전화역락을 주시면 아이의 상태를 더 정확히 파악하여 약물을 처방할 수 도 있습니다.
끝으로 소아인 경우는 어른인 경우보다 더 빨리 회복되므로 심려는 놓으십시요.
그리고 본 안면신경바비연구소 홈페이지를 뒤져보면 운동요법과 맛싸지법그리고 침혈자리가 나와 있으므로 참고하십시오.
'진화 적응의 최전선----새로운 질병 > 안면신경마비·구안와사-내골격,감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뇌수술 후 왼쪽 구안와사 안면마비, 청각 손상, 이명의 후유증에 대한 치료 (0) | 2009.07.10 |
---|---|
구안와사에 처방하는 양약-부신호르몬제 (0) | 2009.06.23 |
Re:답답하고 걱정이 되어서요...답변 부탁드립니다. (0) | 2009.06.07 |
Re:구안와사 눈 후유증치료하면 호전 된다 (0) | 2009.06.05 |
Re:성상신경절주사(통증의학과에서 목에 놓는주사)의 부작용에 관한 상담 (0) | 2009.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