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file
    인간의 삶을 '수단매체'와 '목적함수'라는 2개의 개념으로 분석하여, 이것으로 삶에 필요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목적함수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향설정이며, 수단매체란 목적함수를 ... http://t.co/3vpwkNZS
  • profile
    정신의 부재상태, 천박성은 "자극에 저항하지 못하는 것, 자극에 대해 아니라고 대꾸하지 못하는 것"에 그 원인이 있다. 즉각 반응하는 것, 모든 충동에 그대로 따르는 것은 이미 일종의 병이며 몰... http://t.co/7gTbEqab
  • profile
    사색적 삶은 몰려오는, 또는 마구 밀고 들어오는 자극에 대한 저항을 수행하며, 시선은 외부의 자극에 내 맡기기 보다 주체적으로 조종한다. http://t.co/tSHUMNuc
  • profile
    니체가 말하는 "중단하는 본능"이 없다면 행동는 안절부절하는 과잉활동적 반응과 해소 작용으로 흩어져버릴 것이다. http://t.co/JyYJfxCA
  • profile
    오늘날 우리는 중단, 막간, 막간의 시간이 아주 적은 시대에 살고 있다. http://t.co/keKA1Ix4
  • profile
    활동적인 사람들은 보통 고차적 활동을 하는 법이 없다. 이런 점에서 그들은 게으르다. 돌이 구르듯이 활동적인 사람들도 기게적인 어리 석음에 걸맞게 굴러간다. - 니체의 아포리즘 http://t.co/pPgtcJ8o
  • profile
    분노의 전제는 현재 속에서 중단하며 잠시 멈춰 선다는 것이다. 그 점에서 분노는 짜증과 구별된다. 분노는 어떤 상황을 중단 시키고 새로운 상황이 시작되도록 만들 수 있는 능력이다. 오늘날은 분노... http://t.co/O1URKJHg
  • profile
    짜증과 분노의 관계는 공포와 불안의 관계와 유사하다. http://t.co/SGiUUrC2
  • profile
    천재백치가 보통은 계산기밖에 해낼 수 없는 과제를 척척 해내는 것은 바로 부정성의 부재와 자폐적 자기 관련성 덕택이다. 세게가 전반적으로 긍정화되는 추세 속에서 개인도 사회도 자폐적 성과기계로 ... http://t.co/915ChNxT
  • profile
    힘에는 두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긍정적 힘으로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힘이고, 다른 하나는 부정적 힘으로서 하지 않을 수 있는 힘. 니체의 말을 빌린다면 아니오라고 말 할 수 있는 힘이다. http://t.co/Jm7g7zQW
  • profile
    지각하지 않을 수 있는 부정적인 힘없이 오직 무언가를 지각할 수 있는 긍정적인 힘만 있다면 우리의 지각은 밀려드는 모든 자극과 충동에 무기력하게 내 맡겨진 처지가 될 것이고, 거기서 어떤 "정신... http://t.co/A2pw0TtF
  • profile
    무위의 부정성은 사색의 본질적 특성이기도 하다. http://t.co/SVlgRxW3
  • profile
    머리를 대면 대낮이라도 어디서든 5분 이내에 잠이 든다고요?-코골이가 의심되며 수면중 무호흡증후군까지 의심됩니다..

'Twi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6월5일 Twitter 이야기  (0) 2012.06.05
2012년 6월3일 Twitter 이야기  (0) 2012.06.03
2012년 5월29일 Twitter 이야기  (0) 2012.05.29
2012년 5월26일 Twitter 이야기  (0) 2012.05.26
2012년 5월25일 Twitter 이야기  (0) 2012.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