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의 진화적 접근

구석기다이어트의 필요성

오늘은 읽고있는 책중에서 비만의 진화적인 개념에 대한 내용을 전해본다.

그리고 비만치료의 근본원인에 대해 늘 본인이 강조해온 구석기다이어트 일치하여 그 내용을 전재한다.

 

 

21세기의 첫 10년이 흐르는 동안, 위험할 정도로 살이 찐 사람의 수가 처음으로 영양실조에 걸린 사람의 수를 넘어서기 시작 했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약 6억 명의 성인이 비만이며, 20억은 정상 체중을 초과한 상태라고 한다. 해마다 많은 나라에서 과체중 및 비만 인구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고, 심지어 어린이 비만율도 높아지고 있다.

비만 인구의 증가는 건강 및 사회 무제로도 이어진다. 21세기 들어 처음으로 기대 수명이 짧아지는 비극이 나타났고, 현대 사회는 높아지는 건강관리 비용과 낮아지는 노동 생산성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먹거리 운동가들은 주기적으로 비만과의 전쟁을 선언한다. 학교의 구내식당과 패스트푸드 공급체인은 그들의 대표적인 전쟁터다.

간단하게 우리는 BMI(body mass index : 몸무게[킬로그램]를 키[미터]의 제곱으로 나눈 것)를 통해서 과체중 여부를 판별한다. BMI23을 넘으면 과체중이고, 30을 넘으면 비만으로 판정한다. BMI계산법(클릭)

체중 증가에 따른 건강 문제는 일단 과체중에 접어들면 바로 나타나며, 그 문제는 더 심해진다. 2형 당뇨병이나 고혈압, 뇌졸중, 관상동맥성 협심증, 다낭성난소증후군이 나타날 가능성이 엄청나게 증가한다. 또한 비만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나 자부심 하락 때문에 정신적, 신체적 손실도 나타난다.

 

 

비만 위기는 갑작스레 겨우 몇 세대 만에 시작되었으며 심각한 사회적 건강적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가 비만을 이해하려 한다면,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경제적 요인을 무시할 수 없다. 어떤 학자들은 비만 위기가 갑자기 나타났다는 사실 때문에 비만의 진화적 또는 생물학적인 이유는 들으려 하지도 않는다. 그들은 진화는 수천 세대를 거쳐야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분명히 우리가 뚱뚱해지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비만의 원인에는 분명히 진화적인 요인이 있다. 시실, 비만은 다른 문제들과 마찬가지로 유전자와 환경이 얼마나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비만의 사회경제적 원인은 우리의 진화사에서 유래했다. 조상에게 물려받은 우리의 유전자는 조상이 살아온 환경에는 적응했지 만 현재의 환경에는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 유전자들은 환경에 다라 유연하게 반응한다. 우리는 기근에 시달릴 때, 풍족할 때,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했을 때, 또는 염분이 필요할 때 무엇을 해야 하는지 우리의 몸에게 알려주는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자연선택은 우리의 삶이 지금과는 너무도 달랐을 때부터 수많은 세대에 걸쳐 이러한 유전적 지침을 만들어왔다.

예를 들어 이케아에서 조립식 책상을 구입했다고 생각해보자. 그런데 집에 도착해서 박스를 열어보니 그 안에는 책상이 아니라 의자를 조립하는 설명서가 들어 있었다. 이 의자 조립 설명서는 아무것도 없는 것 보다는 나을 수도 있다. 하지만 조립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부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지금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신체와 비슷하다. 우리의 유전적 지침이 우리의 환경과 항상 어울릴 수는 없다.

 

 

비만은 생물학적인 문제다. 왜냐하면 우리의 생물학적 신체에 지방덩어리가 위험한 수준으로 쌓여가고 있기 때문이다.

비만은 또한 진화적 문제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우리가 과거에 에너지 어떻게 처리하도록 진화했는지를 파악하면 우리의 신체가 오늘날 환경에 반응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체중이 느는 것은 우리의 진화적 과거와 현재의 환경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 때문이다. 그리고 비만 위기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그 상호작용의 접점을 파악해야 한다.

 

진화생물학/롭 브룩스

 

위의 글은 롭브룩스의 내가 가장 좋아하고 믿는 진화의학의 내용중의 하나인 진화생물학에서 따온 내용이다.  

 

광주비만클리닉 김성훈한의원 구석기타이어트클리닉

 

빛고을광주에서
한의학 박사
여송 김성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