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마비] 안면마비전조증상 -1
1. 원인
안면신경은 운동, 지각 및 부교감신경을 함께 가지고 있는 혼합신경으로서 뇌속의 뇌교와 연수라는 부위의 사이에서 밖으로 나와 측두골로 들어가 여러 곳을 거쳐 안면에 분포하게 됩니다. 발병은 안면신경이 팽창해서 생긴 것이라 여겨지는데, 이러한 신경 팽창은 바이러스나, 자가 면역 질환에 의하거나 관자놀이를 지나가는 안면신경이 압박을 받고, 혈류량이 감소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안면신경마비의 원인은 아직 확실치 않으나 동맥의 부종 등으로 인한 신경의 압박, 안면이 추위에 노출된 경우, 바이러스, 면역학적 염증, 정신적 충격이나 감정적 불안 등이 고려되고 있습니다.
한편, 과로와 스트레스를 비롯하여, 신경이 쇠약하거나 급격한 정신적 충격으로 인한 심리적인 불안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로 면역체계가 갑자기 약해지면서 발병할 수 있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서 4-5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뇌출혈, 뇌졸중, 뇌종양 등 뇌질환으로 인한 중추성 안면신경마비(뇌혈관질환이나 뇌종양 등으로 인해 일어남)와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안면신경 부위의 혈관에 장애가 일어나거나 風寒의 자극을 받거나 외상에 의해서 발생)가 있는데, 말초성안면신경마비 중 벨(Bell)씨 마비, 헌트중후군, 측두골 골절, 수술로 인한 손상, 중이염의 합병증 등이 전체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며 이중 가장 흔한 것이 벨씨마비입니다. 벨씨 마비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약 60% 정도를 차지하나 그 원인을 아직도 잘 모릅니다.
일반적으로 안면신경마비(구안와사)가 오기 전에는 몸이 찌뿌듯하고 감기몸살이 오려는 것처럼 뒷목쪽(특히 귀의 뒷부분쪽)이 뻣뻣해지기도 하며 두통과 어지러움을 시작으로 속이 언짢아 헛구역질이 나고 토할 듯한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한의학적 원인-
한의학에서는 찬바람과 같은 외기의 영향(풍한이라는 것은 찬 기운과 바람이라는 뜻인데 실례로 하절기에 선풍기를 장시간 직풍을 받는다든지 여행 중에 차창을 열고 잠을 잔다거나 혹은 목침이나 다듬이돌, 바위나 돌을 베고 잘 때와 특히 음주 후에 습하고 냉한 곳에서 잠을 잔 후 흔히 구안와사가 발병됨을 볼 수 있다), 담(痰)이나 어혈(瘀血)과 같은 병적 산물 및 신체의 허약과 같은 조건들로 하여 안면에 분포된 경락(經絡)에 기혈(氣血)순환이 되지 않아서 온다고 보고 있으므로 치료는 이와 같은 병적 조건을 제거하여 경락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주는 것이 관건이 됩니다.
계절적 원인 외에 과로와 스트레스를 비롯 신경이 쇠약하거나 급격한 정신적 충격으로 인한 심리적인 불안 등 그 원인이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인데 한의학에서는 이를 병의 원인에 따라 실증과 허증으로 나눈다.
실증의 경우엔 갑자기 충격을 받았다든지해서 얼굴에 일어나는 마비로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하고 얼굴에 통증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 반면 허증은 몸과 마음이 허약해진 상태에서 과로가 겹쳐 생기는 것인 데 초기에는 귀 뒤쪽에 통증이 오면서 입이 돌아가고 만성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실증의 경우 갑작스럽게 찾아들지만 허증은 안면에 뻐근한 느낌이 들거나 씰룩씰룩거리는 미세한 경련 등 전조증상이 따른다.
2. 증상
증상은 수 시간 내 또는 수일 내에 나타나며, 완전마비 또는 부분마비로 나타납니다. 입을 벌릴 때 건강한 쪽으로 입이 돌아가며, 손상 부위의 입이 아래로 처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입이 한편으로 돌아가서 음식물이 새어나오고 입안에 걸려 손으로 밀어내야 하고, 세수를 하거나 양치질을 할 때는 특히 괴로운 병이며, 눈이 잘 감기지 않아 통증을 느끼며 바람이라도 불고 쏘이게 되면 따갑고 눈물이 흐르고, 마비된 쪽의 귀가 예민하게 되어 날카로운 소리에 통증을 느끼며, 심하면 혀의 미각세포도 마비되어 맛을 못 느끼게 되기도 합니다(침범한 위치에 따라서 혀의 앞쪽 2/3 정도). 화를 내거나 웃을 때는 얼굴이 더욱 틀어져 흉하게 일그러지게 되는 질환으로서 환자들은 이러다가 점점 한쪽이 마비되는 중풍이나 되지 않을까 하는 심리적 불안감에 못 이겨 어찌할 바를 모르고 허둥대기 일쑤입니다.
또한 휘파람을 불거나 이마에 주름살 만들기가 잘 되지 않게 됩니다.
증상은 마비의 원인과 병소의 부위에 따라 결정됩니다. 중추성 안면신경 마비인 경우 병소의 반대측에 안면신경 마비를 나타내지만 이마에 주름을 만들 수 있고 눈도 감을 수 있습니다. 말초형 마비인 경우에는 병소와 같은 쪽에 안면근의 이완형 마비가 오며 눈을 감을 수 없고 이마에 주름도 잡을 수 없습니다. 또 같은 쪽의 구각(입의 가장자리)은 처지고 여러 표정을 만들 수 없고, 침을 흘리며 구음 장애가 심하게 됩니다. 병소위치에 따라 눈물의 양이 감소될 수 있으며 청각과민이나 미각소실, 타액량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면신경마비와 중풍의 증상비교-
-안면마비환자는 이마의 주름이 마비 측에서 풀려있고, 간혹 마비 측의 귀 뒤쪽이 뻐근하게 아픈 경우가 있으며, 얼굴근육의 마비 이외의 어떠한 다른 증상도 나타나지 않고, 눈을 감으면 눈동자가 위로 올라감.
-중풍환자는 안면마비환자와는 달리 이마의 주름이 풀려있지 않고, 흔히 팔 다리가 함께 마비가 나타나며, 삼키기 장애, 발음장애(어둔), 한편으로 기울어지는 걸음걸이 이상과 같은 증상이 동반되고, 눈을 감아도 눈동자가 위로 올라가지 않음.
3. 분류
1)중추성 안면신경마비(central facial palsy) ;
뇌종양(brain tumor), 뇌혈관장애(cerebral vascular accident), 뇌염(encephalitis) 등에 의하여 뇌교에 있는 안면신경핵으로부터 중추측에서 안면신경로가 침범되었을 때 일어남.
같은 쪽 편마비(hemiplegia)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전두근은 마비되지 않고 안면의 하반에만 마비가 일어나며 미각이나 청각은 장애받지 않고 근변성반응도 볼 수 없음. 정설에 의하면 혀는 환부 쪽으로 치우친다고 함.
2)말초성 안면신경마비(peripheral facial palsy) ;
a. 핵성 마비(nuclear palsy) ;
뇌교내의 혈관장애, 종양, 염증, 연수공동증(syringobulbia) 등으로 인해 일어나는 핵성 마비에서는 가끔 외전신경이나 피질척수로의 장애를 합병함, 한쪽 안면신경마비와 반대쪽의 편마비를 나타내는 것은 MillardGubler's syndrome이라 하며, 이 증후군에 주시마비가 더해진 것을 MillardGublerFoville's syndrome이라고 함.
b. 핵하성 마비(infranuclear palsy)
안면신경핵보다 말초측에서 안면신경이 장애를 받았을 때 일어남, 원인질환에는 종양(소뇌교각종양 등), 감염(GuillainBarre's syndrome 등), 외상(두개저골절 등), sarcoidosis, 탈수질환 등이 있으며, 스트레스나 한랭폭로도 유인이 됨.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를 Bell's palsy라고 하는데, Bell's palsy 환자는 전액부에 주름을 만들 수 없으며 폐안불능(토안)이 되어 눈을 감으려고 하면 안구가 위로 올라가 흰자위가 보임.
또 비순구는 낮고 구각(angulus oris)은 하수하며 휘파람을 불 수 없고, 마비측의 입안에 음식물이 괴어서 구각으로부터 유동물이 새기도 함.
가벼운 마비는 입을 벌릴 때 마비측이 일그러지며 입이 비스듬한 난원형이 되고, 정설에 의하면 혀는 건강한 쪽으로 치우친다고 하며, 강하게 폐안시켰을 때 아픈 쪽의 속눈썹이 안검 밖에 남음(첩모징후), 이상은 경유돌공으로부터 말초측에서 안면신경이 장애를 받았을 때 볼 수 있는 症狀인데 여기에 안면신경이 침범 당하면 혀끝 ⅔에 미각장애가 가해지고 등골근이 침해당하면 청각과민이 나타남.
나아가 슬신경절이 대상헤르페스(herpes zoster)에 침범 당하면 안면신경마비 외에 고막, 외이도, 이개(auricle)에도 병변이 미치는데, 이것을 램지헌트증후군(Ramsay Hunt's syndrome)이라고 함.
선천성인 양측성 안면신경마비와 양측성 외전신경 마비의 합병은 뫼비우스 증후군이라고 함, 안면종창, 주름혀를 동반하는 慢性 재발성의 안면신경마비는 멜케르슨-로젠탈 증후군(MelkerssonRosenthal's syndrome)이라고 함.
4. 진단
안면신경은 주로 누선(淚線) 및 타액선(唾液腺)의 기능장애와 미각 및 청각 등의 지각장애의 유무를 잘 관찰해야 하는데 이들은 임상적으로 정확히 알기는 어려우므로 누량검사, 등골반사검사, 미각검사 및 타액분비량검사 등으로 알 수 있습니다. 장애의 정도는 신경자극검사, 신경전도검사, 근전도검사등을 시행하면 전도장애인지 혹은 변성변화를 일으켰는지 또는 조만간에 변성을 일으킬 것인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 근반사
① 미간검사(眉間反射): 미간을 두드려 추미근,안륜근의 들었다 오그렸다 한다.
② 안륜근반사(眼輪筋反射): 눈 가장자리를 약간 밖으로 당기며 두드려본다.
③ 구각근검사(口輪筋反射): 윗 입술 가장자리를 두드려 본다.
(2) 개별 근력검사
① 눈을 꼭 감도록 해본다. - 안륜근(眼輪筋)
② 미간에 수직 주름을 짓게 해본다. - 추미근(皺眉筋)
③ 눈썹을 올려서 앞이마에 수평주름을 짓도록 해본다. - 후두전두근(後頭前頭筋)의 전부
④ 입을 오무려 “오”소리를 내며 O형으로 짓도록 한다. - 구륜근(口輪筋)
⑤ 입술을 맞대고 입술 외각을 외상방으로 당겨서 주름을 한쪽 안면에 짓도록 한다. - 소근(笑筋)과 구각거근(口角擧筋)
⑥ 비공을 확대시켜 비익(鼻翼)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 비근(鼻筋)
(3) 미각검사
혀 앞쪽으로 2/3에 대해 시고 쓰고 달고 맵고 짠 맛을 좌우 비교하거나 전기미각검사를 시행한다.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설탕이나 소금을 건측과 환측에 묻혀 검사하는데 혀를 못집어 넣게 하고 고개로 확인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여기에 이상이 있다면 고삭신경이나 그 상부에 병소가 있음을 의미한다. 고령자나 흡연자는 가양성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4) 누량검사
슬상신경절이나 중간신경에 병소가 있을 때는 정상 눈에 비하여 50 %이하를 적신다 . 적어도 2회를 실시하여 두번째의 검사 결과를 기준하여야 한다.
(5) 등골반사검사
청각 과민검사로 전화소리 등이 크게 들리면 등골근으로 가는 신경이나 그 상부에 병소가 있음을 의미한다.
등골은 고실내에 있는 이소골의 하나로서 가장 내이 가까이 있는 등형의 소골이다. 등골에는 등골근이 부착되어 있어 과대한 진동을 내이로 전달하지 못하게 반사적인 수축을 하는 것인데, 안면신경마비에 있어서는 그 지배하에 있는 등골근도 마비되므로 청각과민의 증상이 나타나는 수가 있다
(6) 타액분비량검사
Bell's palsy의 예후결정에 도움을 주는 검사로 마비측의 타액분비량이 건측의 50% 이상이 되면 80%에서 만족스런 회복을 기대할 수 있고 25%이하인 경우에는 10%정도에서만 회복이 기대 된다
(7) 신경자극검사 <NET>
마비가 신경의 일시적인 전도장애로 인한 것인지 혹은 변성변화로 인한 것인지 감별할 수 있는 검사이다. 즉 경유공 부위에서 안면신경에 경피성 전기자극을 가하면 일시적인 전도 장애인 경우에는 안면표정근의 연축을 볼 수 있으나 이미 변성 변화를 일으킨 경우에는 볼 수 없다. 마비 측의 최소강도가 건측 보다 2mA이상 높을 때는 신경의 변성변화가 시작됨을 의미하며 3mA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의 변성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압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신경이 완전절단된 후라도 2-3일 후에야 반응이 없어지므로 그 전에는 의미가 없다. 초기에 연축이 있다고 안심하면 안 된다. 신경이 일단 변성을 일으키면 전기자극에 대한 반응이 소실되므로 검사를 할 수 없으며 양측 마비시에는 검사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8) 신경전도검사 <ENoG>
마비측의 활동전압이 건측의 10%만 되어도 만족스런 자연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며 마비측의 가중전압이 건측의 10%이하로 감소된 경우는 예후가 좋지않다.
(9) 전기미각검사<EGM>
혀를 앞으로 내밀게 하고 아래쪽 견치 부위 혀전측부에 전극을 대고 전기 자극을 주는데 신맛을 느낄 때 까지 전류를 증가시킨다. 병소가 있는 쪽의 전류 역치가 증가하면 고삭신경이나 그 상부에 병소가 있음을 의미한다.
(10) 최대자극 검사
안면신경마비가 신경의 일시적이s 전도 장애에 의한 것인지 변성변화에 의한 것인지를 감별하는데 이용된다. 유돌공부위에 안면신경에 경피적으로 전기자극을 가하면 전도 자극의 경우에는 안면근육의 연축이 있으나 변성변화의 경우에는 연축이 없다. 이 방법은 안면신경 마비가 발생하고 3-5일 이내에는 측정 가치가 있으나 일단 신경이 변성된 경우에는 전기 흥분성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방법은 건측과 환측을 비교하는 방법으로써 반대쪽에 안면신경마비가 재발된 경우에는 측정의 유의성이 없다.
(11)근전도 <EMG>
보통 발병후 10일이후에 한다.
① 탈신경전압 :운동신경의 변성 변화가 일어났을 때 볼 수 있으며 보통 마비후 10-14일에 나타난다. 2-10주까지 나타나지 않으면 변성의 걱정은 없다. 구안와사는 5일까지만 안 나타나면 걱정 안해도 된다. 일단 나타났다가 없어지면 신경이 다시 살아나는 징후이다.
② 다형운동전위 : Wallerian 변성이 됐던 운동신경이 다시 살아날 때 나타나는 전압.임상적으로 근운동이 나타나기 1-2주 전에 나타난다.
(12) MRI
중추성과 말초성을 판단할수 있다. MRI 검사를 통해 뇌병변을 알수 있다. 또 한가지는 안면신경의 병변유무를 알기 위해 조영제를 넣어 안면신경부위를 세밀하게 찍는다. 그러나 실재 MRI상의 안면마비 부위와 실재 증상과의 관계는 유의성이 없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13) 체열진단기(DITI)
얼굴과 몸의 한열을 판단하기 위하여 검사를 한다. 대개는 마비측이 차게 나오는데 그만 큼 순환이 안 되기 때문이다.
(14) 임상증상으로 본 진단.
장애부위의 진단 :안면신경의 어느 분지가 장애를 받았는지 또한 마비정도와 더불어 예후를 판단할 수 있다.
출처;다음신지식
'진화 적응의 최전선----새로운 질병 > 안면신경마비·구안와사-내골격,감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안와사/안면마비] 구안와사(입과 눈이 삐뚤어진것)의 치료법 (0) | 2008.02.11 |
---|---|
[구안와사/안면마비] 앗! 자고 일어났더니 입이 돌아갔네.. '구안와사' 조 (0) | 2008.01.30 |
[구안와사/신경마비] 안면신경마비 (0) | 2008.01.14 |
[구안와사의 한의학 치료 ] 구안와사의 한의학 치료 (0) | 2008.01.10 |
[구안와사] 안면신경 마비와 구안와사 (0) | 2008.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