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선 잔여효과 spiral aftereffect 운동 잔여 효과. 회전하는 나선을 30초에서 60초 정도 보고 난 직후 어떤 사물을 보여주면 그 사물은 졸아들거나 팽창되어 보인다
나선 착시 spiral illusion 여러 개의 동심원으로 이루어진 패턴에서 각 고리를 마름모 모양의 무늬로 채워진 전체 패턴이 (동심원이 아니라) 나선처럼 보이는 것을 말한다.
나트륨-칼륨 펌프 sodium-potassium pump 세포막의 대사 과정으로 나트륨을 세포밖으로 내보내고 칼륨을 세포내로 운송한다.
나트륨-칼륨 흐름 유동 sodium and potassium flow
나트륨 sodium 세포액을 구성하는 이온중 하나. 평상시 세포막 바깥쪽에 많이 존재하며, 흥분역치에 도달하는 순간 나트륨통로가 열리면서 세포내로 나트륨이온이 유입되면서 활동전위가 발생한다. 활동전위가 끝나면 나트륨-칼륨펌프에 의해 세포안쪽에 있는 나트륨이온은 세포바깥으로 유출된다.
난독증 dyslexia 뇌의 언어중추 이상으로 일어나는 독서장애
난시 astigmatism 각막이상 때문에 시각이 어떤 방위에 대해서 번져 보이는 상태
난시 visual astigmatism 수정체의 굴절률의 차이로 상의 여러 부분의 시력이 일정하지 않은 상태.
난원창 oval window 달팽이관에 있는 막으로 싸인 작은 구명으로서, 등골(stapes)로부터의 진동을 받아들인다
난잡함 clutter 지도를 설계할 때 가장 핵심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으로 제공되어야 할 정보 이외의 색채나 명도 등 불필요한 정보들로 인해 생기는 혼란현상
난쟁이 hamunculus “작은 사람”을 뜻하는 용어로서 체성 감각 피질에서 신체의 지도(map)를 나타냄
난포 자극 호르몬 follicle-stimulating hormone 난소에서 난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뇌하수체 호르몬
난형낭 utricle 내이(內耳inner ear)에 속한 두개의 전정낭중 큰 낭. 중력방향에 대하여 머리가 어떤 위치 관계에 있는가를 감각할 수가 있게한다.
날록손 naloxone 아편의 활동을 억제하는 물질. 날록손은 또한 엔돌핀의 활동도 억제하는 것으로 가정되고 있다
남성화 효과 masculinizing effect 안드로겐이 태아의 발달시에 일으키는 효과
낮눈 diurnal vision 낮 동안에 기능하도록 특화되어 있는 시각
낱눈 ommatidium 참게(Limulus)의 눈에 있는 구조로 작은 렌즈들을 갖고 있으며, 시각 수용기 바로위에 위치한다. 참게의 눈은 수백 개의 낱눈으로 되어 있다
낱자 letters 표음 문자의 음절을 이루는 단위인, 하나하나의 글자.
낱자 letter 표음 문자의 음절을 이루는 단위인, 하나하나의 글자.
내부타당도 internal validity 인과 관계에 대한 단도직입적인 진술을 허용한다; 실험은 흔히 일치 차이 병용법이 채택되기 때문에 내적으로 타당하다
내분비 endocrine 호르몬을 방출하는.
내분비선 endocrine gland 호르몬을 생산하고 분비하는 조직
내성 tolerance 약물을 계속해서 사용함으로써 약물에 대한 민감성이 감소하는 것.
내성법 introspection 1800년대 말기와 초기 1900년대에 Wundt가 사용한, 의식적 경험의 기본 요소를 찾아내기 위하여 자기 스스로의 심적 과정을 분석하는 방법. 19세기에 심리학자들은 내성법을 사용하여 인지 과정을 탐구하였는데, 주관적인 정보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서 점차 심리학자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더욱이 20세기 초반, 전통적 과학관인 논리실증주의에 기초한 행동주의 이론의 득세로 인지에 관한 연구가 줄어들게 되었고 20세기 중반까지 사고나 의식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Crick & Koch, 1992). 정보처리이론의 등장으로 심리학자들은 내성법 대신 좀 더 객관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사고과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내성주의자들 introspectionists 수치화할 수 있는 행동 측정 대신 말로 보고하는 내용(verbal reports)을 자료로 사용하려는 심리학자들
내용 content 글이나 말 등에 나타나 있는 사항.
내용타당도 content validity 검사가 다루고 있는 주제를 그 검사의 내용의 측면에서 상세히 분할한다. 밝혀진 각 내용 영역에서 대표적인 질문들을 뽑아 검사를 만들었는지에 관한 타당도
내이 inner ear 귀의 가장 깊은 부분으로 와우각과 청각 수용기를 포함한다
내인성 우울증 endogenous depression 외부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한 우울증
내재뉴런 intrinsic neuron 한 세포의 수상돌기와 축색돌기가 하나의 뇌구조물 내에 전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내재적 endogenous
내재적동기 intrinsic motivation 학습자 자신의 흥미나 호기심과 같은 요인들에서 유래된 동기를 내재적 동기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개인적 흥미를 추구하고 능력을 발휘하고 그 과정에서 도전할 만한 것을 찾고 그것을 정복하는 자연스러운 경향성을 말한다. 사람들이 내재적으로 동기화 되었을 때는 활동 그 자체가 보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 활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어떤 유인물도 처벌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내적 발성 internal speech 아직 말소리로 발화는 되지 않지만 마음 속에서 문장을 음운적으로 생성하는 과정.
내집단 편견 linguistic intergroup bias 자기와 같은 집단에 속한 사람의 긍정적인 행동은 그 사람이 긍정적인 자질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방식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고, 반면에 다른 집단에 속한 사람이 똑같은 행동을 할 경우에는 그것을 수행한 사람과는 무관하게 단지 그 행동만을 언급하는 방식으로 묘사된다.
내측 모대로 medial lemniscal pathway 피부에서부터 시상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척수에서의 경로
내측 슬상핵 medial geniculate nucleus 와우각에서 창각피질에 이르는 청각계의 핵. 하구체에서 입력정보를 받는다
내측 medial 정준선(midline)을 기준으로 바깥쪽이 아닌 정준선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용어.
내측시삭전야 medial preoptic area 시상하부의 바로 전측 부위로서 수컷의 성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포 intension 한 개념에 의해 지시되는 모든 대상들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속성. 즉,하나의 개념을 하나의 집합으로 볼 때 그 집합의 성원 여부를 결정하는 특성이나 속성.
내포적 하위체계 implicational subsystem 감각계와 중추 체계의 정보들을 통합하는 역할을 하며, 사실적인 지식을 다루는 명제적 하위체계와는 달리 보다 일반적인 실존적 상태에 관한 정보를 다루는 체계이다. 정서가 경험되는 것은 이 내포적 처리과정 때문이다.
냄새 단면도화 odor profiling 후각자극을 묘사하는 기법으로, 훈련받은 관찰자들이 참조표준과 비교하여 냄새 속에 있는 성분들을 평정하는 것
냄새 프리즘 odor prism 냄새 구분을 위한 Henning의 체계
냄새; 향기 odor
냄새 smell 특히 음식물에서 방출된 화학물질이 후각기관(코)에 있는 감각 수용기에 닿음으로써 경험하게 되는 느낌을 말한다. 냄새를 일으키는 물질들에 관해서는 알려져 있으나, 후각의 기본 요소 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냄새의 입체화학 이론 stereochemical theory of odor Amoore에 의해 제안된 후각 이론으로, 다른 냄새 특성에 대해 다른 분자 형태가 있으며 후각 수용기에 특정 형태의 분자만 받아들이는 곳이 있다는 가정
냉감 섬유 cold fiber 온도의 감소나 지속적인 낮은 온도에 대해 반응하는 신경 섬유
냉온 감각 수용기; 온도 수용기 thermoreceptors 피부에 있는 수용기로 특정 온도나 온도의 변화에 반응한다
네 가지 기본맛 four basic tastes
네온 확산 효과 neon spreading effect
네온효과 neon effect neon spreading effect를 보라.
네커육면체 Neckar cube 모서리로 이루어진 육면체를 가리킨다. 육면체를 비스듬히 세워 놓고, 가운데에 있는 두 꼭지점 중 어느 것에 주의를 주느냐에 따라, 육면체의 3차원적 구조가 달리 보일 수 있다.
네트워크 게임 network game 온라인으로 게임 서버에 접속해서 네트워크상의 동일한 게임환경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
넷토크(NETtalk ) NETtalk 1987년 Sejnowski와 Rosenberg가 개발한 음성 합성 시스템으로 back propagation 신경망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영어로 된 문장을 음성으로 바꾼다. 훈련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예제를 통한 학습으로 훈련 후에는 어떠한 텍스트도 90% 이상 수준의 음성 합성이 가능하며 발음이 상당히 정확하다.
노력 effort Kahneman은 그의 저서 Attention and Effort(1973)에서 용량 이론을 제안하면서, 주의를 일종의 정신적 노력으로 보았다.
노선지식 route knowledge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가기 위한 고도로 절차화된 언어적 지식이다(가령, "Y 지점으로 가기 위해서는 X 지점에서 우회전한 후에 세 블록을 더 가라"와 같은 것).
노안 old eye
노안 presbyopia 수정체의 경화나 모양근의 약화로 인한 눈의 조절 불능. 사람이 늙어감에 따라 발생한다
노암 촘스키 Noam Chomsky 미국 출신의 세계적인 언어학자.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구조언어학을 공부하였고 1951년에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55년부터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언어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음. 변형생성문법(變形生成文法 :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이론을 최초로 제시하였음.
노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카테콜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일종
노인성 난청 presbycusis 나이에 따라 일어나는 감각 뉴런성 청각 상실 보통 고주파를 듣는 능력의 감소와 연관되어 있다. 이는 또한 주위 소리에 노출되는 것과 관련되어 있기도 하여 “사회성 난청(sociocusis)”이라고도 한다
노인성 백내장 senile cataract
노출 exposure
노화; 고령화 aging 일반적으로 늙어가는 과정을 지칭함.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혹은 유기체)의 발달과정에서 연령 증가와 함께 특히 신체적 및 생리적 측면의 다양한 조직 및 기관들의 기능이 약화 또는 저하되어 가는 과정을 말함.
녹내장 glaucoma 일반적으로 안압 상승의 결과로 나타나는 안질환
논리 게이트 logic gate 논리 게이트는 디지털 회로를 만드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대부분의 논리 게이트들은 두 개의 입력과 한 개의 출력을 가진다. 주어진 어떤 순간에 모든 단자는 두 개의 조건 중의 하나인데, 이것을 서로 다른 전압으로 표현하면 전압이 높음(1)과 낮음(0) 이다. 기본 논리 게이트에는 AND, OR, XOR, NOT, NAND, 그리고 NOR 등 모두 6개의 종류가 있다.
논리 접속사 logical connectives 두 개 이상의 단순명제들을 조합하여 복합명제를 만들 때 필요한 접속사로 연접, 이접, 부정, 조건이 있다. 두 개의 명제를 p, q라고 할 때 연접(conjunctive)은 두 개의 명제가 모두 참일 때에만 참이다. 포함적 이접(inclusive disjunctive)은 두 개의 명제 중 적어도 하나의 명제가 참일 때 참이 되며, 배타적 이접(exclusive disjunctive)은 두 개의 명제 중 하나의 명제만 참일 때 참이 된다. 부정(negation)은 명제의 진리값이 반대가 되는 논리 접속사이다. 조건 명제는 "p이면 q다"의 형태를 취한다.
논리무관 nonlogical (인간의 사고가) 논리와는 관계가 없다는 뜻으로 비논리적 (illogical)이라는 용어와 구별되어야 한다.
논리적 규칙 logical rule 논리적 관계에 기초를 둔 법칙으로, 연접 법칙, 이접 법칙, 조건 법칙, 이중 조건 법칙 등이 포함된다.
논항 구조 argument structure 술어를 중심으로 개별 논항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구체화하는 구조.
논항 argument 명제를 표시하는 방법 중 하나로 관계와 논항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 관계는 문장의 동사, 형용사 또는 다른 관계항에 해당하며, 논항은 특정 시간, 장소, 사람, 그리고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흔히 명사에 해당한다.
농도 기울기 concentration gradient 뉴런의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이온들이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정도
뇌 소인; 뇌 난장이 homunculus “작은 사람”을 뜻하는 용어로서 체성 감각 피질에서 신체의 지도(map)를 나타냄
뇌간 brain stem 뇌의 중심부에 있는 간뇌, 중뇌, 후뇌를 연속해서 보면 마치 줄기처럼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간뇌는 제외하고 중뇌와 후뇌만을 가리키기도 한다.
뇌량 corpus callosum 뇌의 좌반구와 우반구를 연결하는 거대한 백질 섬유 다발
뇌량성실행증 callosal apraxia 전측 뇌량이 손상되어 일어나는 좌측 사지의 실행증
뇌신경 cranial nerve 뇌의 복측면에서 빠져나오는 12쌍의 신경으로서 대부분의 머리와 목부위의 감각과 운동기능을 담당한다. 그 중 10번 뇌신경인 미주신경만 흉강과 복강내 기관들의 기능을 조절한다.
뇌영상 brain imaging 뇌의 구조를 촬영하는 기법으로서, X선, 양전자 방출 단층촬령(PET), 자기공명영상(MRI) 등이 있다.
뇌유발전위 evoked brain potential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ph 사람의 두피 여러 곳에 부착한 대전극으로부터 나오는 전기적 활동의 기록 폴리그래프는 여러 개의 펜 아래에서 종이가 미끌어져 가면서, 펜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나타내는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그려간다. 이것은 특징적인 유형의 전기적 활동을 나타내는 간질이나 뇌종양을 진단하거나 수면이나 각성 단계를 연구하는데 이용된다.
뇌졸중 stroke 뇌의 혈액 공급에 이상이 있는 상황을 총칭함. 대개는 뇌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생김.
뇌출혈 haemorrhage 뇌에서의 출혈을 가리키는 용어. 뇌의 혈관에 손상이 생겼거나 동맥류가 발생했을 때 나타날 수 있음.
뇌파 기록 electroencephalogram EEG 전극을 두개골에 위치시켜 얻게 되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기법.
뇌파 EEG electroencephalograph의 약자
뇌파 brain waves 폴리그래프는 여러 개의 펜 아래에서 종이가 미끌어져 가면서, 펜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나타내는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그려간다.사람의 두피 여러 곳에 부착한 대전극으로부터 전기적 활동을 기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록을 뇌파 또는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 EEG)라고 한다. 이것은 특징적인 유형의 전기적 활동을 나타내는 간질이나 뇌종양을 진단하거나 수면이나 각성 단계를 연구하는데 이용된다
뇌파 electroencephalogram 두피에 부착한 대전극으로부터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것. 특징적인 유형의 전기적 활동을 나타내는 간질이나 뇌종양을 진단하거나 수면이나 각성 단계를 연구하는데 이용된다.
뇌하수체 전엽 anterior pituitary gland 주로 호르몬 분비가 이루어지는 시상하부 아래에 있는 뇌하수체의 전측 부분;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대부분의 호르몬은 다른 내분비선을 통제한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뇌하수체 전엽을 신체의 “주분비선”(master gland)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생식선자극 호르몬은 생식선(난소와 고환)을 자극하여 성호르몬을 분비시킨다. 이 호르몬은 뇌를 포함해서 전신에 분포되어 있는 세포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뇌하수체 pituitary gland 시상하부 아래쪽에 위치하여 주로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뇌 구조물. 전엽과 후엽으로 이루어져 있다.
뇌혈관 발작 cerebrovascular accident 뇌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 뇌에 혈액공급이 안되면 뇌세포가 죽는 것
누가기록 cumulative record 행동을 그래프로 기록한 것으로서, 각 점은 그 행동이 그 시점까지 수행된 총 횟수를 나타낸다
누가기록기 cumulative recorder 행동을 그래프로 기록한 것으로서, 각 점은 그 행동이 그 시점까지 수행된 총 횟수를 나타낸다. 이 장치를 사용하면 특정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펜이 움직여서 종이에 기록이 된다. 행동률이 높을수록 펜이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기울기가 더 가파른 선이 그려지고, 행동률이 낮을수록 기울기가 더 완만한 선이 그려진다.
누가빈도 cumulative frequency 급간의 정확 상한계 이하의 값을 가지는 분포의 점수 분포.
누락; 탐지실패 miss 신호 탐지 과제에서, 자극이 있는 상황임에도, “아니오, 나는 자극을 탐지하지 못했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오반응의 하나).
눈 검사 eye examination 눈 검사의 기본적 목적은 (1) 환자가 얼마나 잘 볼 수 있는지를 판정하는 것, (2) 만약 결함이 있다면 시력을 교정하는 것, (3) 눈의 광학적 특성(optics)을 조사하고 눈 질병을 점검함으로써 결함 있는 시각의 원인을 판정하는 것, 그리고 (4) 환자가 느끼지 못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질병을 진단하는 것이다
눈 올림 가설; 올려보기 가설 eye elevation hypothesis 달 착시에 대한 설명으로, 천정에 있는 달을 볼 경우 관찰자는 눈을 위쪽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천정에 있는 달이 지평선에 있는 달보다 더 작아 보인다고 가정함
눈 운동 eye movement 관찰자가 자극을 볼 때 발생하는 눈의 움직임. 수의적인 눈 운동은 10msec에서 80msec동안 지속되고 응시에 의해 구분되는 빠른 눈 운동이다
눈; 안구 eye 시각 경험의 감각기관. 렌즈(수정체)를 통과해 온 빛이 눈의 뒷벽에 있는 망막에 맺히고, 여기에 있는 시각 세포(간상체, 추상체)가 반응함으로써 시각 경험이 시작된다.
눈단서 ocular cue
눈우세 기둥 ocular dominance columns 동일한 눈우세를 가지고 있는 신경세포들로 이뤄진 시각피질의 기둥
눈우세 막대그래프 ocular dominance histograms 신경세포군의 눈우세 정도를 보여주는 막대그래프
눈우세 ocular dominance 각 눈의 자극에 의해 뉴런이 영향을 받는 정도. 신경세포가 한 눈의 자극에만 반응한다면 그 신경세포는 상당히 많은 눈우세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만일 신경세포가 양 눈의 자극에 동등하게 반응하면 눈우세는 없는 것이다
뉴런; 신경세포 neuron 신경계에서 신경 충동을 전달하는 세포를 말하며 시냅스를 통해 다른 뉴런 혹은 근육 세포와 상호작용함.
뉴로컴퓨팅 neurocomputing 인간의 뇌신경망 원리를 적용하여 학습과 추론 등의 처리 과정을 할 수 있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구현하는 것
뉴만-쿨스 검증 Newman-Keuls test 평균치들을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등위 지어 실시하는 사후검정법. 높은 준거치와 비교해 오다가 처음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이 나오면 그 행의 비교를 멈추어 큰 평균차는 유의하지 않고 낮은 평균차는 유의한 모순이 생기지 않게 한다.
느린 순응 기계적 수용기 slowly adapting mechanoreceptors 피부의 만입에 반응하고, 만입이 지속되는 동안 계속 반응하는 섬유. SA I 기계적 수용기는 머켈 원반(Merkel disk)와 SA II 기계적 수용기는 루피니 말단(Ruffini ending)과 관련되어 있다
느린 순응 섬유 slowly adapting fiber 피부에 대한 지속적 자극에 느리게 순응하는 기계적 수용 섬유. 느린 순응 섬유는 머켈 수용기(Merkel receptor)와 루피니 원주(Ruffini cylinder)와 관련되어 있다
능동적 접촉 active touch 대상을 검사하거나 탐색할 때 관찰자가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함을 의미하며, 주로 손을 써서 행해지는 접촉
늦은 종결 late closure 통사 처리 방략 중의 하나로, 문법적으로 허용될 경우, 새로 입력되는 항목을 현재 처리 중인 절이나 구에 부착하라는 방략. 즉, 현재 진행 중인 단위의 처리를 일찍 종결하기보다는, 입력된 단어를 현재의 처리 단위에 부착 시키기 위해 늦게 닫으라는 의미이다.
니코틴성 수용기 nicotinic receptor 아세틸콜린 수용기의 일종으로 니코틴에 의해 자극되는 이온성 수용기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