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 꼬리표 label 이름 붙이기.
라틴 방격 설계 latin-square design 각 조건이 실험의 각 시간 기간동안 동등하게 발생하는 상대 균형화 절차
랑비에 마디; 랑비에 결절 node of Ranvier 축색에서 수초와 수초들 사이에 수초가 없는 짧은 부위
래쉴리-웨이드 이론 Lashley-Wade theory Lashley-Wade 이론은 유기체가 유관한 자극들에 대해 겪은 경험이 너무 적어서 자극들 간에 변별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화가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태어나면서부터 어둠 속에서 길러 색깔에 대한 경험을 박탈한 다음 정상적인 동물과 일반화 기울기를 비교한 Jenkins와 Harrison(1960)의 실험에서 Lashley-Wade가설은 지지 되었다.
레스콜라-와그너 모형 Rescorla-Wagner model 레스콜라-와그너 모형에 따르면 어떤 무조건자극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형성의 전체양에는 한계가 있다. 즉, 조건반응은 일정한 양의 강도만을 획득할 수 있고 그 강도는 무조건자극의 강도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이 모형은 차폐현상을 잘 설명하는데 만일 자극 A가 처음 몇 시행 동안 무조건자극과 짝지워지면 그 무조건자극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조건형성의 전체량 중 대부분은 자극 A에 의해 일어났기 때문에 B가 A+B 복합의 형태로 조건형성 절차에 추가되더라도 B와 무조건자극간에는 연합될 것이 별로 없게 된다.
레스콜라-와그너 이론 Rescorla-Wagner theory Rescorla-Wagner model을 보시오.
레이저 광회절 각막 시술 laser photorefractive keratotomy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여 각막의 모양을 변형시킴으로써 근시나 원시를 교정하는 수술기법
레이저를 이용한 광감성 응고 laser photocoagulation 신혈관화 때문에 피가 새고 있는 혈관에 레이저 광선을 투사하는 것. 이 레이저 광선으로 혈관의 광감성 응고를 유도한다
렉시콘; 어휘집 lexicon 단어의 발음, 의미, 다른 단어와의 관계 등 단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곳; 어휘의 저장고라고 할 수 있음. 즉, 모국어 단어에 대한 장기 기억; 인간이 가지고 있는 심상 어휘집의 구조는 언어심리학의 주요 연구 주제가 되어 왔으며 연구 결과 어휘집은 부분적으로는 의미에 기초하여 조직화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렌즈; 수정체 lens 눈에 있는 투명한 초점조절요소이다. 빛은 각막과 수양액을 지나서 이곳을 통과하게된다. 수정체가 각기 다른 거리에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그형태를 바꾸는 형상을 수정 조절(accommodation)이라고 한다
렘 수면; 빠른 안구운동수면 REM sleep 수면의 여러단계중 빠른 안구운동이 일어나는 기간. 역설적 수면이라고도 한다. 이 수면중에는 EEG상으로 불규칙적이고 전압이 낮고 빠른 파들이 나타나는데, 이는 뇌활동이 상당히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얕은 잠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 머리를 받치는 근육과 같은 체위근들은 다른 수면단계보다 더 이완상태에 있으므로 깊은잠 이라고도 할 수 있다. REM 수면은 깊은 잠과 선잠을, 그리고 깊은 잠이나 선잠으로 분류되기 힘든 특징들을 조합해 놓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로고젠 모형 logogen model 1960년대 말 Morton이 제안한, 가장 널리 알려진 단어인지 모형. 이 모형은 로고젠 시스템과 인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각 로고젠은 하나의 단어를 표상하며, 로고젠 시스템에 포함된 로고젠 수는 개인이 습득한 단어 수와 동일하다. 각 로고젠은 신경 세포에 비유할 수 있는데, 적절한 입력을 받으면 활성화되며, 활성화 수준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발화하게 된다. 단어를 인지한다는 것은 어떤 특정한 로고젠이 발화한 상태를 의미한다. 로고젠은 감각적 분석과 인지시스템에서 입력을 받으며, 따라서 상호작용적이라 할 수 있다. 로고젠 모형에서 단어인지과정은 감각 정보 같은 하위수준 정보와 상황적 기대와 같은 상위수준 정보가 동시에 이용되는 과정이다.
로고젠 logogen 어휘집에 있는 표제어. 하나의 특수한 로고젠은 시각적 또는 청각적 입력을 모니터하며, 입력된 철자법적, 음운론적, 통사론적, 또는 의미론적 정보가 로고젠을 확인하는 정보와 일치될 때 로고젠은 활성화 된다. 재인에 필요한 역치에 이를 정도로 로고젠이 충분히 활성화될 때 특정한 단어는 재인된다.
로돕신 rhodopsin 간상체에 존재하는 광색소
루피니 말단; 루피니 종말 Ruffini ending 루피니 원통, Ruffini cylinder를 보라.
루피니 소체 Ruffini corpuscle 낮은 주파수의 진동에 반응하는 촉각 수용기
루피니 원통 Ruffini cylinder 피부에 있는 수용기로서, 피부의 신축이나 관절에 운동에 반응하며, 수용장의 크기가 크고 자극에 느리게 적응한다.
룩스 lux 빛의 조도의 단위.
crista 반고리관의 구성요소
리보솜 ribosome 세포가 새로운 단백질 분자들을 만들어내는 장소.
리소좀 lysosome 많은 화학물질들을 그 구성요소로 분해하여 다른 용도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만드는 효소들을 갖고있는, 세포내의 소기관
리즈렐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이라 불리는 통계기법을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EQS, AMOS와 함께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됨
리커트 척도 Likert scale 반응자들이 주어진 문장에 얼마나 동의하는 지를 표시하도록 하여 특정 주제에 대한 반응자의 태도를 알아보는 평정 척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