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방사기록법 autoradiography 자가방사기록법(autoradiography)을 그대로 해석하면 “스스로의 방사(radiation)로 기록하기”이다. 뇌속에 있는 방사성이 부착된 화학물질을 투여한 후 그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자가방사기록사진 autoradiogram 특정 수용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자기방사기록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뇌사진.
자가수용기 autoreceptor 시냅스전 수용기의 한 종류로, 자기 축색이 분비한 신경전달물질과 결합한다.
자극 농; 자극에 의한 귀먹음 stimulation deafness 달팽이관에 있는 구조를 손상시킬 정도의 강한 청각 자극에 의한 귀먹음
자극 수준 level of stimuli
자극 일반화 stimulus generalization 조건자극에 대한 조건반응이 학습된 이후에, 조건자극과 유사한 다른 자극들에 대해서도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
자극 출현 반응 on-response 자극이 시작되면 발화율이 증가하는 신경섬유의 반응; 흥분성 반응과 같음
자극-반응이론 S-R theory 학습이란 어떤 자극 S(stimulus)에 대해서 생체가 나타내는 특정 반응 R(response)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학습 이론으로 Thorndike가 이 이론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손다이크에 의하면 학습은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자극-반응 결합이 강화되면서 서서히 진행되어 간다. S-R 결합설은 G.S.Hall에 의하여 S-R 강화이론으로까지 발전되었으며 S-S이론(Sign-Significate theory)과 함께 대표적인 학습이론이다.
자극-반응학습 stimulus-response learning 특정 자극이 존재할 때 특정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학습하는 능력
자극-자극 이론 S-S theory 학습은 단순한 조건반사적 반응이라기보다 목표를 예기(豫期)하여 그 목표에 도달하는 데 단서가 되는 기호들의 관계를 인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론으로 Tallman에 의해 주장되었다. 목적적 행동주의(purposive behaviorism), 기호형태설(sign-gestalt theory)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Tallman은 외적 행동을 중요시한 점에서는 행동주의에 속하지만, 학습자의 행동을 목적지향적인 것으로 보고 인지구조를 중요시한 점에서 자극-자극 이론으로 분류되고 있다.
자극-제시 시간차 SOA 자극-제시 시간차 혹은 자극제시 시차를 보시오.
자극; 자극 주기 stimulation 자극(stimulus)를 제시하는 일. 흔히 쓰이는 '흥분시킨다'와는 그 의미가 조금 다르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자극 stimulus 유기체의 반응을 유발하는 측정가능한 환경이나 신체 내의 변화
자극간 간격 ISI Inter-Stimulus Interval의 약자이다. 잇따라 제시되는 두 자극(도형이나 그림)이 있을 때, 먼저 제시된 자극이 종료된 후, 그 다음 제시되는 자극의 출현까지의 시간 간격을 말한다. SOA
자극간 간격 inter-stimulus interval interstimulus interval(ISI)을 보라.
자극개시 시차; 자극제시시차; SOA stimulus-onset asynchrony 둘 이상의 자극이 시간 순서에 따라 제시될 때, 두 자극이 제시되는 (개시되는) 시각 간의 차이를 말한다. 예컨대 첫째 자극이 제시된('종료된'이 아님) 시점 이후 300 ms 후 둘째 자극이 제시된다면, 자극개시시차는 300m s이다.
자극대체 이론 stimulus substitution theory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에서, CS가 US를 대체한다는 이론. CR이 본질적으로 UR과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자극대체 stimulus substitution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에서, CS가 US를 대체한다는 자극대체이론에서 주장하는 개념. CR이 본질적으로 UR과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즉, 조건형성이란 어떤 새로운 행동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자극에 대해서 오래된 방식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가리키게 된다. CS가 단지 US를 대신하여 반사 반응을 일으킬 뿐인 것이다. 자극대체이론의 결정적인 문제점은 CR과 UR이 항상 같지는 않다는 증거가 있다는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조건 반응은 UR보다 더 약하고 덜 일관되게 일어나며 더 늦게 일어난다. 이런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자극대체이론을 옹호하는 학자들이 있다. 예를 들어, Roelof Eikelboom과 Jane Stewart(1982)는 조건 반응이 때로는 무조건 반응과 반대라는 생각을 반박한다. 그들은 오직 UR에 중추신경계가 관여하지 않는 경우에만 CR과 UR이 서로 반대가 된다고 제안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극대체이론은 전반적으로 인기가 없으며 대체로 준비반응이론에 밀려났다.
자극박탈성 약시; 자극 결핍 약시 stimulus deprivation amblyopia 생애 초기에 한쪽 눈을 막아 생긴 약시.
자극반응 부합성 s-r compatibility 자극과 반응이 어울리는 성질. 예컨대 화면의 오른쪽에 나타난 자극 (혹은 '오른쪽'이라는 단어)에 대해 오른쪽 반응단추로 반응하게 하는 것은 서로 부합한다.
자극변별 stimulus discrimination 둘 이상의 자극을 서로 구별하는 일. 특히 자극 변별을 요구하는 과제를 가리키는 수가 많다.
자극제 stimulant 각성제나 흥분제처럼 신경계를 자극하는 물질의 총칭.
자극제시시간차; SOA; 자극제시 시차 stimulus onset asynchrony 한 자극이 나타나고 나서 다른 자극이 나타날때까지 사이의 시간 간격.
자극통제 stimulus control 어떤 행동이 S+의 존재 하에서는 일어나지만 S-의 존재 하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경향. 불이 켜져 있으면 레버를 누르고 불이 꺼져 있으면 레버를 누르지 않는 것을 학습한 쥐가 있다고 해 보자. 이 경우 환경은 쥐의 행동에 명백히 영향을 준다. 즉 불이 켜지면 이 쥐는 레버를 높은 비율로 누르고, 불이 꺼지면 레버 누르기가 감소되는 것이다. 변별훈련을 통해 행동이 변별자극의 영향 하에 있게 될 때 그 행동은 자극 통제(Stimulus control) 하에 있다고 이야기한다.
자기 공명 영상화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자기공명영상법)를 보시오.
자기 산출 운동 self-produced movement
자기 조직화 지도 self-organizing map 자기조직화 지도(SOM)는 입력 벡터를 훈련집합에서 일치되도록 가중치를 조정하는 인공 신경망에 기초한 자율학습 (Unsupervised Learning) 의 한 방법이다. Helsinki 대학의 Teuvo Kohonen에 의해 최초로 소개하였으며 Kohonen map 이라고도 불리운다. 일종의 경쟁신경망 (competitive network) 인 winner-take-all 과정은 입력벡터에 가장 가까운 가중치 벡터를 가지는 노드를 승자 (winner) 로 선언하고, 그 값이 입력벡터에 더 가까워지도록 가중치가 조정된다.
자기 조직화 self-organization 자기조직화 란 주어진 입력패턴에 대하여 정확한 해답을 미리 주지 않고 자기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자기 조직화를 가진 신경망은 학습능력으로 가지고 있어서 외부환경에 맞도록 시스템을 구조화한다.
자기 종결 탐색 self-terminating search 검사 항목이 기억 세트에서 발견되자마자 중지되는 탐색.
자기 주도적 인출 self-initiated retrieval 외부 단서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 스스로 기억을 인출해내는 것.
자기 주도적 self-initiated 외부적인 요소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 스스로 이끌어내는 경우.
자기 참조 효과 self-reference effect 자기와 관련된 현상에 대한 정보가 잘 처리되는 것. 기억에 있어서도 개인적으로 관련있고 중요한 의미를 지닌 경험은 잘 기억되며 비교적 오래 지속된다.
자기-고양적 편향 self-serving bias 자신이 초래한 긍정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과대평가 하는 경향이 있고,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과소평가 하는 경향으로, 유쾌한 정서와 결합되면 더욱 증가한다.
자기강화 self-reinforcement 행동주의에서는 외부에서 주어지는 직접적인 강화나 처벌이 행동을 형성한다고 설명하는 반면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에서는 모델이 받는 강화를 관찰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강화를 경험하는 대리적 강화나 자기 행동에 대해 자기 스스로 내리는 평가나 기준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게 되는 자기강화가 행동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고 있다.
자기공명영상법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의 준말. 자기공명 원리를 이용하여 뇌를 어떤 방사성에도 노출시키지 않고 CT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보여준다.
자기뇌도측정법 MEG 뉴런이 활성화하면 약한 자기장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두개 표면에 60개 이상의 전극을 부착하여 뇌활동을 측정하는 방법. MEG는 자극에 반응하여 발생하는 최대 자기장 활동의 근원을 추적할 수 있으며, 필요하면 이를 3차원 상에서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 기술은 간질 발작이 일어난 곳을 정확히 찾아내기 위해 사용되었는데, 체감각 피질의 지도를 작성하는 데도 사용되었다.
자기생성 self-generation 정교화에 대한 실험에서 표적어만 제시해주고 참가자 스스로 정교화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 자기생성 효과는 정확한 정교화와 부정확한 정교화의 중간쯤에 위치하였으며,자기생성 정교화는 특히 정확한 정교화의 경우 기억에 매우 효과적이다.
자기수용성; 고유수용성; 자극감수성; 신체 위치파악; 자기감각 proprioception 사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자기수용적 감각; 고유수용기 감각 proprioception sense 신체 내부의 감각으로서, 사지의 위치, 방향, 운동을 감지하는 감각.
자기신체부위실인증 autotopagnosia 자신의 신체부위들을 가리킬 수도, 그 이름을 말하지도 못하는 장애로서 좌측 두정엽 연합피질의 일부가 손상될 때 발생한다. 다른 대화는 정상적으로 된다.
자기안심 complacency 잠재적인 위험이나 결함을 모르고 지나치게 자동화된 시스템에만 의존하는 경향
자기자각; 자의식 self-awareness
자기종료적 self-terminating
자기중심적 표상 egocentric representation 대상과의 공간적인 관계가 "왼쪽, 오른쪽, 앞, 뒤"와 같은 자기중심적 참조준거에 의해 결정되는 것. 따라서 지각자가 이동을 하면 모든 공간적인 관계가 계속해서 변화되어야 한다.
자기참조적 약호화 self-referent encoding 어떤 정보를 자신과 관련짓거나 관련짓는 정도. 구조적, 음운적, 의미적 약호화와 자기참조적 약호화를 비교한 연구에서 자기참조적 약호화는 회상을 증진시켰다.
자기통제 self-control 자기 통제(Self-control)라는 용어는 우리 자신의 이익을 최대한으로 만드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가리킨다. 어떤 사람이 술을 알맞게 마시거나 두 번째 후식을 사양하거나 친구들과 잡담하기보다 시험공부를 하거나 담배를 끊으면 우리는 그 사람이 자기 통제를 잘 한다고 말한다. 자기통제력의 구성요인은 유혹에 저항하는 능력, 만족을 지연하는 능력,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일찍부터 발달한다. 아동의 통제력 발달은 부모나 양육자의 양육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부모의 자기통제 행동에 대한 역할모델도 자기통제력 발달의 중요한 수단이 된다. 성취지향적인 사회에서 아동이 미래의 성취를 위해 즉각적인 욕구나 충동을 자제하는 일은 성숙된 인간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자동 처리 automatic process 의식적인 통제 없이, 그리고 주의 집중 자원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앟고 일어나는 과정.
자동급식훈련 magazine training 조작적 조건형성(operat coditioig)이론을 체계화한 B. F. Skier(1904∼1990)가 자신의 실험연구를 위해 고안한 상자형태의 실험장치에서 이루어지는 훈련을 말함. 이 상자의 내부에는 지렛대와 먹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장치 등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험대상동물(주로 비둘기나 쥐가 이용되었음)의 반응에 대한 강화(reiforcemet)의 유무 및 빈도 등을 기록하는 장치가 연결되어 있음.
자동성 automaticity 어떤 정보의 처리가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성질을 말한다. 자동정보처리를 보라.
자동스테레오그램; 오토 스테레오그램 autostereogram 3차원적 지각을 만들어 내는 하나의 상으로 된 입체경 그림
자동운동; 자동운동 autokinetic movement
자동정보처리 automatic information processing 어떤 정보의 처리가 의식적인 통제를 받지 않고, 자동적으로 처리됨을 말한다. '자동처리'라 줄여 말할 수 있다. 자동정보처리는 노력이 거의 들지 않으며, 한번 시작되면 도중에 멈추기가 어렵다.
자동조성 autoshaping 유기체가 하는 반응과 무관하게 자극 뒤에 강화물이 따르는 절차로, 흔히 미신 행동의 학습을 가져온다. 예를 들면, 비둘기가 원판을 쪼을 때 강화(먹이)를 해주는 것에서 원판을 쪼는 행동에 대한 강화이므로 이때 강화는 유관강화이다. 그러나 비둘기는 흔히 한 다리를 들고 서있는 행동을 하는데, 어떤 비둘기가 우연히 한 다리를 들고 서있으면 먹이가 나올지도 모른다는 의식적 행동을 하게 되고 그러한 행동이 먹이를 나오게 하는 원인이라고 믿고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자동처리 automatic processing 자동정보처리, automatic information processing과 같은 뜻이다.
자동화된 수학 Automated Mathematics 스탠퍼드 대학의 버글라스 레넛(Bouglas B. Lenat)에 의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집합론의 기본적인 약 100개의 개념으로부터 수학의 새로운 개념이나 정리를 형식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잘 정의된 특정한 조건하에서 새로운 개념이 경험적 원리에 의해서 형성되고 프로그램은 그 개념을 조사해 나간다.
자료 발견 data-finding Treffinger(Treffinger, 1995; Isaksen & Treffinger, 1987) 등에 의해 제안된 프로그램인 창의적 문제 해결법(Creative Problem Solving: CPS)은 문제에 대한 이해, 아이디어 산출, 행동을 위한 계획짜기의 세 성분을 주축으로 하는데, 이 중 문제 이해를 위한 세 하위 단계 중 하나이다. 자료 발견 단계의 발산적 국면에서는 육하 질문 기법을 통해 자료 생성을 자극하도록 하고, 수렴적 국면에서는 생성된 자료들 가운데 적절성, 명료성 및 흥미롭고 참신한 느낌을 주는 자료를 골라내는 기법을 사용하도록 훈련한다.
자료 주도적 처리 data-driven processing 친숙성과 같은 재료 속의 지각 정보에 의존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하위 수준의 처리에서 보다 고차적인 수준의 처리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상향적 처리라고도 한다.
자료-잉크 비율 data-ink ratio 실제 자료점 혹은 이 점들간의 관계를 묘사하지 않는 잉크 양을 최소화하라는 것이다. 필수적인 정보만을 그래프화함으로써 난잡함을 제거하라는 것
자료 data 연구자가 제안한 가설을 입증하거나 가설을 형성하기 위해 수집되는 점수들
자료수집 data collection 이론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 선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거나 조사하는 일.
자료주도적 처리 data-driven process 친숙성과 같은 재료 속의 지각 정보에 의존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하위 수준의 처리에서 보다 고차적인 수준의 처리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상향적 처리라고도 한다.
자발적 보기 선호 spontaneous looking preference 유아가 특정 유형의 자극을 보는 것을 선호하는 것. 이러한 유아 행동의 특성은 보기 선호 기법(preferential looking technique)의 근간이 된다(DD 1).
자발적 인출 spontaneous retrieval 정보를 기억해내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없는 데도 일어나는 인출
자발적 회복 spontaneous recovery 소거가 완료된 후 일정 기간 훈련을 중지했다가 CS를 다시 제시하면 CR이 갑자기 재출현하는 것을 말한다. 소거 이후에도 CR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은 소거가 학습된 CS-CR간의 연합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연합을 학습하는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자발적 흥분 spontaneous activity 환경으로부터의 자극이 없음에도 일어나는 신경 발화
자발적 흥분율; 자발적 발화율 spontaneous firing rate 대개의 뉴런들이 시냅스 입력이 없어도 1초에 여러 번의 활동전위를 생성해내는 것
자서전적 기억 autobiographical memory 자신의 삶에 관한 개인적 기억으로, 개인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과 경험적 사건에 대한 기억으로 구성. 이는 자아를 중심으로 구성된 도식이며, 개인의 인생사라 할 수 있다.
자승화; 제곱합 sum of squares 변량분석을 통해 효과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점수 제곱의 합
자연관찰 natural observation 조사자측의 개입 없이 있는 그대로 사상을 기술하는 것
자연도태론 natural selection 어떤 종이든 그 구성원들 간에 엄청난 변이가 존재하는데 어떤 변이들은 현재의 조건에 적합하고 어떤 변이들은 그렇지 않다. 생존에 유리한 변이를 갖고 있는 개체들은 살아남아서 생식할 확률이 높다. 이렇게 환경이 생존에 기여하는 특성을 ‘선택’한다고 보는 것을 자연도태론이라 한다(Darwin, 1859).
자연살해세포; 자연살세포 natural killer cells 특정 유형의 종양세포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 부착하는 혈액세포로서, 목표물이 비교적 비특정적이다. 즉, 각각 한 종류의 침입자만을 공격하는 항체나 T세포와 달리 여러 종류의 침입자를 공격할 수 있다.
자연적 연구 naturalistic study TOT(설단) 상태에 관한 연구 절차로, 이 절차에서는 실험실 밖에서 일어나는 TOT를 일어나는 그대로 기록.
자연주의적 관찰 naturalistic observation 조사자의 부분에 대한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사상을 기술
자원 resource 주의 자원 모형을 참조하라.
자원자 문제 volunteer problem 자원한 피험자는 참가하고 싶지 않았던 사람들과는 상이하다; 연구에서 한 출처일 수도 있다
자유 신경 말단 free nerve endings 말단 감각기(end receptor)가 없는 피부의 신경 말단(nerve endings)
자유도 degrees of freedom 값들의 총 개수와 그 합이 고정되어있을 때 자유로이 변할 수 있는 값들의 수
자유도 df degree of freedom. n-1로 정의된다. 여기서 n은 표본점수의 개수이다.
자유조작절차 free operant procedure 어떤 행동이 그 횟수의 제한 없이 반복될 수 있는 조작적 훈련절차. Skinner는 자유조작적 절차(Free operant procedure)를 사용하였는데 여기에서는 행동이 몇 번이고 마음대로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실험들에서 Skinner는 쥐를 레버가 장치된 조작상자에 넣었다. 레버를 누르면 먹이 조각이 접시에 떨어지게 되는데, 쥐는 자유로이 레버로 돌아와서 누르고 또 누를 수 있다.
자유회상 free recall 이전에 학습한 행동을 파지 간격 이후에 수행할 기회가 유기체에게 주어지는 검사절차. 한 예는 학생에게 시를 외게 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그것을 다시 암송하라고 하는 것이다.
자율 단계 autonomous stage 기술 습득의 마지막 단계로, 그 기술을 수행하는 것이 자동적이 되고 실수도 없어지는 단계.
자율반응 autonomic response 자극에 대한 대부분의 반응은 근육조직의 운동을 통해 일어나는 골격근 반응이지만 일부 반응은 의지에 관계없이 자율적으로 일어나며 이를 자율운동반응(autonomic motor reaction)이라고 한다. 자율운동반응은 대부분 내장(viscera)에 있는 근육(내장근)을 통해 일어난다.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수의적 통제가 불가능한 평활근, 심근, 분비선의 작용을 조절하는 말초신경계의 한 부분.
자율연합기억 autoassociative memory 각 입력 패턴마다 대응하는 목표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각 입력 패턴을 신경망에 적용하여 출력 패턴을 구한 뒤 목표 패턴과 비교하여 오차를 구하고, 그 오차를 신경망에 피드백시켜 오차를 극소화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조정하는 기억 방법이다. 만일 입력 패턴과 출력 패턴이 같은 경우를 autoassociative memory라 하고, 입력 패턴과 출력 패턴이 다른 경우를 heteroassociative memory라 한다.
자율적 모형 autonomous model 언어이해 과정에 대한 모형 중 하나로, 이 모형에 의하면 문장이해과정은 몇 개의 하위 모듈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각각의 모듈은 다른 모듈로부터 분리된 독자적인 정보처리방식을 가지며, 모듈간의 관계는 계층적이지만 상위 모듈이 하위 모듈의 처리를 간섭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단어처리기, 통사처리기, 의미처리기의 3개의 모듈을 가정한 Forster(1979)의 문장이해모형을 들 수 있는데, 단어인지는 단어처리기, 문법적 관계에 대한 처리는 통사처리기, 문장전체의 의미 해석은 의미처리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정보처리의 흐름은 아래에서 위로 일방적으로 나아간다.
자율학습 unsupervidsed learning 자율학습은 목표 패턴이 주어지지 않고 입력 패턴에 근거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기계 학습 (Machine Learning)의 한 방법이다. 지도학습은 실용성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목표 패턴을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비판되어져 왔으며 그에 따라 자율학습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훈련 방법에서는 입력 패턴들의 통계적 특질을 파악하여 비슷한 입력 패턴들이 비슷한 출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도록 연결 무게를 조정한다. 자율훈련을 사용한 신경망으로는 kohonen의 자기조직화 신경망이 있다.
자율훈련 unsupervised training unsupervised learning을 보시오.
자음-모음 규칙 consonant-vowel rule 말실수에서, 자음은 다른 자음으로 대치되고, 모음은 다른 모음으로 대치되는 유형. 이는 발화의 음운론적 형식을 계획하는데 모음과 자음이 별도의 단위로 표상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음 consonant 발음할 때 혀·이·구강·입술 등의 발음기관에 의하여 호흡이 제한되어서 나는 소리.
자음혼동 consonant confusion 유성, 무성 혹은 비음유형에 따라 아동의 자음변별의 오류매트릭스는 달라진다
자의성 arbitrariness 언어의 상징이 그것이 표상하는 사물과 닮은 점이 없다는 것을 말하는 언어의 보편적 특징. 예를 들어 “개”는 털이 달린 동물에게 주어진 표지이기는 하지만, “개”라는 단어가 그 동물의 모습처럼 생기지 않았다.
자체운동 egomotion 관찰자 자신의 신체나 머리의 움직임. 관찰자는 다른 대상이 움직이는 경우보다 자기의 자체운동 단서가 주어질 경우 더 빠른 토우(즉, 과소추정된 토우)를 추정한다.
자판; 키보드 keyboard 컴퓨터나 타자기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기기
자폐증 autism 실어증, 자동성, 냉담함 등의 특징을 보이는 발달 장애의 한 종류
작업기억 부하 working memory load 작업 기억으로 너무 많은 정보가 유입된 경우 정보 처리가 방해되는 현상.
작업기억 용량 working memory capacity 작업 기억 속에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정보의 양. 작업기억은 언어 이해 능력과 관련이 있다. 처리 중인 담화가 작업기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면, 이해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요구되는 주의력이 사용가능 한도를 넘기 때문에 이해 전략을 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작업기억 working memory 정보들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고, 각종 인지적 과정들을 계획하고 순서지우며 실제로 수행하는 작업장. 조음루프, 시공간 스케치판, 중앙집행기와 같은 3개의 하위체계로 구성. 처리 용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활성화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이나 한번에 처리될 수 있는 인지 과정들의 수가 제한되어 있다.
작업부하 workload 한 개인에게 부가되는 주의를 요하는 노력의 양
작용 곡선과 순응 operating curves and adaptation
작은 세포층 parvocellular layer 시상의 배최측 슬상핵(dorsal lateral geniculate nucleus)을 구성하는 뉴런들의 여섯층중 바깥쪽 네개의 층에 위치한 뉴런들의 층; 바깥 네개 층의 뉴런이 안쪽 두 층에 위치한 뉴런들보다 세포체가 더 작다는 이유로 작은세포층(magnocellular layer)이라 한다. 이들 두 유형의 층은 서로 다른 종류의 시각 정보를 분석하는 별개의 체계에 속한다.
작은 수 법칙 law of small numbers 대표본이 모집단을 잘 대표하는 것처럼(큰 수의 법칙), 작은 표본도 모집단을 대표한다고 믿는 경향.
작은-직경 섬유 small-diameter fiber(S-fiber) 출입 통제 이론에 의하면 S-fiber의 활동이 출입 통제 체계를 열어서 통증의 지각이 증가한다
잔상 afterimage 자극원이 없어진 후에 지각되는 상. 시각 잔상은 일반적으로 30초에서 60초동안 대비가 높은 자극을 본 이후에 발생한다
잔여효과; 잔효 after-effect 어떤 자극이 종결된 후에 신경계의 반응 혹은 반작용이 남아 있어서, 특정한 감각지각적, 생리적 현상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말과 결합할 때에는 '잔효'라고 줄여 쓰기도 한다. 예컨대 운동 잔효가 있다.
잔여효과 aftereffect
잔차 residual 설명되지 않는, 그리고 무선(비체계적) 요인에 귀속될 수 있는 전체 변동치의 비율.
잔차편차 residual deviation 상호작용효과의 수식. 즉 상호작용효과는 전체에서 각 처치평균들의 편차 가운데 두개의 주효과를 빼고 남은 것.
잔향 echoic trace 1-2초 이내 동안만 유지되는 아주 짧은 청각 기억 (청각 형태의 잔상이라고 할 수 있음)
잔향 reverberation 이 현상은 실내 벽이나 천장의 반향에 따른 것으로서 음향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음원이 진동을 멈춘 순간부터 음이 들리지 않게 된 순간까지를 잔향시간이라 하는데, 이는 음의 에너지가 처음의 100만분의 1이 되기까지의 시간에 해당한다. 실내는 음향효과의 목적에 따라 알맞은 잔향시간을 유지해야 한다.
잘 정의된 명목개념 well-defined nominal concept
잘 정의된 문제 well-defined problem 해결자가 목표 상태, 조작자, 제약에 관해 가용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문제.
잘려진 범위 truncated range 낮은 상관을 해석하는 데의 문제점; 한 변인에서의 점수의 분산의 양이 작을 수 있고 따라서 낮은 상관을 발견하게 된다
잘못 적용된 크기 항등성 misapplied size constancy Gregory에 의해 제안된 현상으로, 3차원세계에서 크기 항등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제가 2차원의 그림에 적용될 때 착시가 나타나는 현상
잘못 적용된 크기 항상성 척도화 misapplied size constancy scaling 크기 착시를 설명하는 한 이론으로서, 크기 항상성 기제가 잘못 적용되어 착시가 생긴다는 이론.
잘못된 귀인 misattribute 관찰된 행동의 결과에 대한 원인을 잘못 상정하는 것.
잠재기 latency 학습의 측정치로서 행동이 일어나기 전까지 경과한 시간. 예를 들어, 파브로프의 타액분비실험에서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서 종이 울리고 침이 나오기까지의 시간이 점차 짧아지는데 이러한 잠재기의 변화가 학습의 측정치가 된다.
잠재적 소거 latent extinction Seward와 Levy(1949)는 쥐를 먹이가 없는 텅빈 먹이상자에 집어넣으면 먹이에 대한 쥐의 기대가 감소하여 학습이 어려워짐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을 잠재적 소거라고 한다. 이것은 반응이 강화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자극-반응간의 연합이 약해질 것이라는 자극-반응이론가의 주장과 모순된다.
잠재적억제 latent inhibition US 없이 어떤 자극에 노출되는 경험은 그 자극이 CS가 되는 것을 방해하는데 이것을 잠재적 억제라 한다. 예를 들어, 갑이 개를 훈련시키기 전에 을이 몰래 개에게 벨소리를 여러번 들려주면 된다. 나중에 개는 전에 들었던 US가 수반되지 않았던 벨소리 때문에 갑이 들려주는 벨소리를 CS로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격게 될 것이다.
잠재학습 latent learning Tolman과 Honzik(1930)은 강화를 제공하지 않고 미로를 10일간 주행하도록 한 쥐에게 11일째부터 강화를 제공하면 계속하여 강화를 제공한 쥐와 금방 거의 비슷한 수행을 보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Tolman 등(1930)은 미로에 대한 경험이 인지도(cognitive map)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잠재학습을 가져오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장기 기억 LTM 단기 기억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고 비교적 영속적인 기억 형태.흔히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과거 경험에 대한 기억이나 다양한 지식들이 장기기억에 해당.
장기 저장 long-term store 다중 기억 모형에 따른 것으로, 비교적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억 구조.
장기 저하 작용 long-term depression 소뇌 피질에 있는 시냅스에서 장기 지속적인 시냅스 전달의 감소.
장기 증강 long-term potentiation 후내피질(entorhinal cortex)과 해마체(hippocampal formation)에 있는 뉴런의 흥분성 증가. 반복적인 전기자극에 의해 일어나며 학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기억 long-term memory 단기 기억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고 비교적 영속적인 기억 형태.흔히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과거 경험에 대한 기억이나 다양한 지식들이 장기기억에 해당
장기작업기억 long term working memory 영역 특수적 지식(예; 장기, 속셈)과 관련하여 장기기억에 정보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하여 이를 직접 작업기억에서 활용하는 것. 이는 작업기억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인 일시적 저장과 정보 접근의 용이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작업기억의 개념을 확장시키려는 이론적 시도의 일환이다.
장면 지각 scene perception 방안 모습이나 거리 풍경 등과 같이 장면에 대한 지각적 판단 혹은 장면 속의 사물의 식별에 대한 연구.
장면 setting 이야기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해설적인 사건(상)이 전개되는 시간과 장소.
장소 부호화 place coding 기저막의 막을 따라 위치하는 각 영역이 특정 주파수에 동조되어있고, 각각의 주파수는 기저막의 오직 한 장소에 있는 유모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신경계는 어떤 뉴런이 활성화되었는지에 따라 주파수들을 구분한다는 음고지각에 관한 이론.
장소법 method of loci 나중에 기억해야 할 항목들을 산책길과 같은 가상적인 장면 속에 있는 특이한 지점들에 갖다놓는 기억술 체계. 각각의 항목을 장소들과 연결하여 특이한 심상을 형성한 후, 회상시 친숙한 장소를 순서대로 탐색하면서 연결된 심상을 떠올린다.
장소부호 place code
장소세포 place cell 동물이 주변을 돌아다니고 있을 때 고주파수로 발화하는 해마의 뉴런들. 상이한 세포는 동물이 상이한 위치에 있을 때 반응한다.
장치 모형 device model 한 장치에 관한 심적 모형으로, 인간이 한 장치의 작용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어떤 시스템에 관한 심적 모형을 제공하면 그 시스템을 잘 이해하게 되므로 문제해결이 더 잘 된다.
장치; 기구 apparatus 실험에 사용된 장비나 재료를 기술한다
장치공포증 paraphernaliophobia 특정 장치에 대한 기계적 지식의 부족을 의미.
장파장 색소 long-wavelength pigment 스펙트럼 상의 장파장 빛을 최대한으로 흡수하는 추상체의 시각 색소. 인간의 경우에 이 색소는 558 nm일 때 최대한으로 흡수한다
재구조화 과정 restructuring process
재생산적 사고 reproductive thinking 문제해결을 위해 이미 학습한 해결 방략을 사용하는 것.
재인 recognition 기억활동의 한 형태로, 개인이 현재 대하고 있는 인물이나 사물 또는 현상이나 정보 등을 과거(이전)에 보았거나 접촉했던 경험이 있음을 기억해내는 인지활동을 지칭. 즉 재인이란 현재 경험하고(접촉하고) 있는 자극이나 정보가 과거(또는 이전)의 학습 또는 입력과정을 통해 기억체계 속에 저장되어 있는 자극이나 정보와 같은 것임을 알아보는(확인하는) 인지과정이다.
재인기억 recognition memory 특정 항목이 정해진 맥락에서 제시되었었는지를 결정하는 일.
재정향하기 reorienting
재조합 recombination 자손의 유전자는 부모 중 한쪽으로부터 물려받은 것과 다른 한쪽으로부터 물려받은 것들인데, 이렇게 다른 유전자들이 서로 조합되는 것. 이로 인해 양쪽 부모에서는 없었던 전혀 새로운 특성이 나올 수가 있다
재학습 relearning 피험자에게 이전에 학습했던 정보를 다시 외우게 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시간 혹은 노력이 절약되었는지를 파지의 정도로 보는 것. 어떤 정보를 외우게 하고 기억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고, 일정 기간 후에 그 정보를 재학습하게 한 후 얼마나 빨리 그 정보를 외우는가를 측정.
재학습법 relearning method 과거의 수행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훈련으로 학습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 원래의 훈련 프로그램과 비교했을 때 대개 훈련이 절약되는 셈이므로 이 기법을 절약법(savings method)이라고도 부른다.
저-제약 문장 low-constraint sentence 특정 단어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창출하는 고-제약 문장과 달리 여러 개의 단어를 기대하게 하는 문장. 예를 들어 “The lady was a competent cook.”는 저-제약 문장인데 여인(부인)들은 "cook"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과제를 훌륭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cook 이 외에 많은 다른 단어들을 기대할 수 있다.
저온 보존 cryopreservation 온도를 -190°F까지 천천히 낮추어 기증된 각막을 보관하는 방법
저율차별강화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low rate 어떤 행동이 일정한 기간 동안 일정한 횟수 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에만 강화가 주어지는 강화계획. 약자로는 DRL. (Cf. 고율 차별강화) 예를 들어, 비둘기가 1초에 한두 번 원반을 쪼고 있다고 하자. 쪼기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한 번의 원반 쪼기 후 최소한 2초가 지난 후에만 강화를 제공한다. 그러면 높은 반응률은 이제 소거 계획 하에 있게 되지만 낮은 비율로 쪼는 데에는 강화가 주어질 수 있다.
저장 storage 약호화된 정보를 기억체계 속에 유지시키는 것.
적극적 공격행동 offensive behavior 한 동물이 다른 동물에게 신체적 공격을 가하는 것
적녹청(색) RGB 빨강색(Red), 초록색(Green), 및 파랑색(Blue)을 함께 부르는 말이다. 이 세 색은 비디오/영상에서 색을 표현하는 기본 색광으로서, 이 세 색광의 배합 비율에 따라, 영상 장치의 해상도 범위 내에서 다른 모든 색이 조합된다.
적으면 더 많게 가설 less-is-more hypothesis Newport에 의한 언어 습득 능력의 쇠퇴에 관한 설명으로, 제 2 언어를 배울 때, 어른들이 아이들보다 더 힘든 이유를 설명하는 가설이다. 어른들은 단기 기억 능력이나 장기 기억 능력이 더 커서, 복잡한 언어적 발화를 전체 하나로 저장하는 반면, 아이들은 정보 처리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복잡한 자극들을 부분적으로 저장한다. 이 부부적 저장은 낯선 언어의 형태론적이고 통사론적인 모양을 찾아내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어른보다 더 쉽게 새로운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
적응망 adptive net 새로운 입력에 대해 기존의 지식 네트워크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갱신(updating)함으로써 융통성 있게 데이타를 처리하도록 만들어진 신경망 모형을 말한다.
적응적 공명 adaptive resonance 적응적 공명(Grossberg, 1980)은 소음상황에서 - 예컨대, 거리가 멀고 조명상태가 나빠서 자극의 부분만을 볼 수 있을 때 - 자극을 재인할 수 있게 해준다. 만일 적응적 공명이 없다면 자극이 멀리 떨어져 있거나 전체를 보지 못하여 자극의 질이 떨어질 때 자극을 재인(recognition)하기 어렵게 된다. 적응적 공명에서 상위수준의 단위(unit)들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는 하위수준의 세부특징 단위들을 활성화시키며, 이 단위들은 실제 자극에 의해서 활성화되었던 소음들을 억제하게 되어 자극을 정상적으로 재인하도록 돕는다.
적응적 공명이론 adaptive resonance theory 적응적 공명이론(ART)은 1976년 Grossberg 와 Carpenter가 개발한 신경망 모델이다. 이 모델은 이진수 처리용인 ART-1에서 이진수와 아날로그 데이타를 같이 처리할 수 있는 ART-2의 네트워크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화학적 전달방식을 구현한 ART-3 네트워크도 제안되었다. 이 모델은 기존에 학습되었던 것이 새로운 학습에 의해 지워지지 않도록 새로운 지식을 자동적으로 전체 지식 베이스에 자기 일관적으로(self-consistent) 통합한다. 새로운 정보를 학습시키려할 때 전부를 다시 학습시켜야 하는 기존의 신경망 모델과 달리 새로운 정보를 실시간으로 빠르고 안정되게 학습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적응적 선형망 ADALINE Stanford 의 Bernard Widrow 가 개발한 모델. Adaline 을 신경세포와 비교하면 적응형 연결강도는 시냅스, 입력벡터의 성분은 축색돌기 (axon) 의 입력, 양자화된 출력은 축색의 출력에 각각 대응한다. Adaline 의 학습은 입력-출력을 쌍으로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원하는 출력값이 나오도록 연결강도 (wi) 를 바꾸어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Adaline의 학습은 1959년에 Widrow 와 Hoff 가 제안한 Least Mean Square (LMS) Algorithm을 사용한다. Adaline 은 하나의 뉴런에 상응하여 선형 분리 가능한 논리함수만이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논리함수는 실현이 불가능하다. Adaptive Linear Network
적응형 선형망 Adaptive Linear Network ADALINE을 보시오.
적응형 자동화 adaptive automation 지능적인 컴퓨터 기반 시스템에서 조작자의 과제 수행을 실시간 (on-line)으로 감시하여 일시적인 요구가 조작자의 용량을 초과하면 해당 과제 수행의 책임을 컴퓨터가 인간 조작자로부터 넘겨받도록 조정하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하나(Scerbo, 1996; Wickens & Gopher, 1977)
적중 hit 신호 탐지 실험에서 자극이 실제로 나타났을 때 “신호를 탐지했습니다”라고 말한 경우
적핵 red nucleus 운동에 관여하는 중뇌의 신경핵
적핵척수로 rubrospinal tract 중뇌의 적핵에서 기시하여 척수까지 내려가는 운동신경로.팔과 다리의 근육 운동 통제에 관여한다.
전건 부정의 오류 fallacy of negating the antecedent 전건 부정추리에서 후건 부정을 타당한 결론으로 받아들이는 오류.
전건 antecedent “p이면 q다”의 형태를 취하는 조건 명제에서 p에 해당하는 부분.
전경-배경 figure-ground
전경-배경분리; 형-바탕의 분리 figure-ground segregation 어떤 패턴의 전경과 배경으로의 분리. 전경은 그 뒤로 넓게 펼처 있는 배경의 앞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전경화 foregrounding 담화에서 특정 개념을 먼저 언급하거나, 되풀이하거나, 또는 다른 주의 끌기 장치를 사용하여 주의의 초점이 되게 만드는 것.
전교련; 전측 교련 anterior commissure 좌우 반구의 전두엽을 연결해주는 축색 다발. 뇌량보다는 작은 구조임.
전구물질 precursor 어떤 화합물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재료가 되는 물질
전근 ventral root 분절화된 척수의 배측 부분; 운동명령을 근육과 분비선으로 전달한다; 전근은 CNS에서 빠져 나오기 때문에 원심성축색(efferent axon)이라 부른다. (후근은 감각정보를 척수로 전달한다.)
전기경련요법 electroconvulsive therapy 두개골에 전기충격을 가하여 발작을 일으킴으로써 정신질환, 특히 우울증을 완화시키는 치료법.
전기적 기울기 electrical gradient 뉴런 세포막 안쪽과 바깥쪽의 전하의 분포 차이
전뇌 forebrain 뇌의 가장 앞쪽 영역으로 대뇌피질, 기저핵을 비롯한 여러구조를 포함한다.
전달 매체 vehicle 은유적 진술의 주제가 비교되는 개념. 예컨대, “그 정치인은 독사야(That politician is a cobra)”라고 할 때, 독사(cobra)가 전달 매체이다.
전달 세포(T-cell) transmission cell 출입 통제 이론에 의하면, L-과 S-섬유에서 입력을 받는 세포이다. T-세포의 활동이 통각을 결정한다
전도성 듣기 결함; 전도성 청력 손실 conductive hearing loss 소리 자극의 진동이 외이에서 와우각으로 정상적으로 전도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청력 상실
전도성 실어증 conduction aphasia 들은 말을 그대로 따라하지 못하는 것이 주요 증상인 실어증의 한 종류
전두 판개 피질 frontal operculum cortex 미각신경계로부터 신호를 받는 전두엽의 일부분
전두안구영역 frontal eye field 뇌의 전두엽의 일부로서, 안구운동 시 수의적 응시를 통제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두엽 frontal lobe 대뇌의 중심구에서 전측 끝에 이르는 영역; 운동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며 통제하는 운동피질과 신체의 내부를 포함한 모든 감각 양상으로부터 입력을 받는 전전두피질을 포함한다.
전두엽 prontal lobe 운동피질과 전전두피질을 포함하는 중심구에서 뇌의 전측에 이르는 대뇌피질의 엽 가운데 하나; 전두엽의 각 영역은 신체의 다른 부위를 담당하는데, 약간의 동측 통제도 있지만 대부분은 대측 부위를 통제한다.
전두절편 frontal section 소시지를 자를 때처럼 횡으로 자르면 횡단면(cross section)이 나타나는데, 특히 뇌에 관련될 때 이 절편을 전두절편(frontal section)이라고 한다.
전략; 방략; 책략 strategies 여러 가지의 해결책 혹은 문제 해결 접근이 있는 경우에, 특정한 해결책 혹은 접근을 선호하는 것을 말한다.
전망이론 prospect theory 사람들이 이득보다 손해에 더 민감하고, 이득과 손해는 참조점을 기준으로 평가되며, 이득과 손해 모두 효용이 체감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는 이론.
전문가 시스템 expert system 전문지식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지식을 요약하고 그 영역 안에서 지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Software Package이다. 보통의 프로그램과 가장 기본적인 차이는, 보통의 프로그램이 자료(data)를 처리하는데 반하여 전문가시스템은 지식(knowledge)을 처리하는 것이다. 전문가시스템은 해당분야의 전문가로부터 지식을 획득해서 그것을 지식 베이스 (knowledge base)에 기억시킨 후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된다.
전문보고서 technical reports 학술 잡지논문과 비슷하지만 절차와 장치에 관해 더욱 더 상세하게 묘사하며, 때로는 자료들까지 게재하기도 한다. 전문보고서는 그 정부기관에 의해 지원 정부기관으로부터 지원받는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는 다른 연구자들에게 자동적으로 배포된다
전문성 expertise 어떤 영역에서 보통 사람이 흔히 할 수 있는 수준 이상의 수행 능력을 보이는 것. 연구자들은 전문성이 매우 장기적이고 쳬계적인 훈련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고 본다.
전문용어 애용자의 말 jargonese 과장, 용어, 그리고 뒤얽힌 문장과 같은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설이나 작문이란 뜻
전문용어 jargon 특정분야에서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
전반적 실어증 global aphasia 뇌의 언어 담당 영역의 앞 뒷 부분이 모두 손상되어 모든 언어처리 구성요소에 이상이 생겨 ‘hello’와 같은 상투적 어구나 무의미 단어를 말 할 수 있을 뿐 이외에는 모든 언어기능에 장애를 보인다.
전반적 응집성 global coherence 담화에서, 모든 문장들 사이의 관계성과 전반적인 주제에 근거한 응집성.
전보어 telegraphic speech 브로카 실어증에서 관찰되는, 문법에 맞지 않고 자주 끊어지며 유창하지 못한 언어를 말함.
전압의존적 통로 voltage-activated channels 세포막전위의 변화에 의하여 개폐가 결정되는 통로
전어휘적 prelexical
전역 선행성 global precedence 형태의 전역 수준의 정보(예, 얼굴의 윤곽이나 머리 모양)가 국지 수준의 정보(예, 눈코귀입과 같은 얼굴의 세부)보다 먼저 처리된다는 주장. Navon이 주장하였다. 다른 연구자들은 선행 처리의 문제가 아니라 처리의 우월성(superiority) 혹은 주도성(dominance) 문제로 보기도 한다.
전역 선행성 global preference 변별과제에서 자극의 전역속성이 국지속성에 비해 더 빠르게 처리되는 것을 말함. 예를 들어, 작은 "ㄹ"로 이루어진 "ㄱ" 자극에 대해 피험자들이 "ㄱ"을 더 빨리 처리하는 것을 전역 선행성이라고 함.
전역적 광학흐름 global optical flow
전역적 global
전역처리 global processing
전역형태 Global shape 변별과제에서 자극을 구성하고 있는 국지속성과 자극의 전체속성의 상대적인 처리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극의 전체모양을 전역형태라고 한다. 예를 들어, 작은 "ㄹ"로 이루어진 큰 "ㄱ"에서 큰 "ㄱ"이 전역형태이다.
전의식 preconscious 1. 의식 가능한 상태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처리가 일어나서 '의식' 단계의 직전에 이른 혹은 그런 상태와 관련된 것을 가리킨다.
전이 shift
전이음 glides 공기 흐름이 성대에서 거의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나와 산출되는 소리. /y/와 /w/가 그 예이다.
전이적합성 처리 transfer appropriate processing 학습할 때 사용된 인지적 처리와 검사할 때 사용된 인지적 처리가 중복될수록 기억 수행이 더 우수해진다.
전이적합형 처리 transfer-appropriate processing 학습 재료가 나중에 어떻게 이용될 것인지에 따라 다르게 부호화하는 것. 부호화때 사용되는 과정과 인출 때 사용되는 과정이 유사할 수록 기억이 더 잘 된다.
전이함수 transfer functions 입력정보와 현재상태를 기반으로 출력상태를 결정하는 함수
전자기파 electro-magnetic radiation 전기 작용과 자기 작용으로 발생하는 파를 통틀어 일컫는 말. 전파와 자기파는 물론, 소리, 빛 등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전자출판 electronic publishing 연구자가 개인적으로 논문의 최종 초고를 웹페이지에 올리는 것부터 인쇄된 학술잡지 논문과 질적인 면에서도 떨어지지 않는, 심사과정을 거친 전자 논문을 게재하는 것.
전자학습; e-학습 e-learning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교육. 오프라인 교육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등 네트워크 기술과 교육이 접목된 웹 기반의 학습, 교육을 의미한다. 원격 교육의 일종이나 실제로 온라인 교육 또는 사이버 교육과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인다.
전자학습 electronic-learning 매체특성을 중심으로 정의되며, 정보와 지식의 전달을 목표로 하는 전자학습. 그러나 상호작용성과 자기주도적 체험이 강조되면서 experience, extension, expansion을 포함하는 e-learning으로 개념적인 변화가 이루어짐.
전정계 scala vestibuli 내 이의 와우각 속을 분할하는 세 방 중의 한 부분.
전정낭 vestibular sac 전정계의 한 구성요소로서, 중력에 반응하여 머리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뇌에 제공한다.
전정신경절 vestibular ganglion 전정신경에 있는 결절로 전정(신체균형)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양극성 뉴런의 세포체를 가지고 있다.
전정안구반사 vestbular-ocular reflex 갑작스런 머리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해 일어나는 반사적인 안구 운동
전정척수로 vestivulospinal tracts 뇌간에서 기시하는 신경로의 하나.
전제 premises 한 논항(삼단논법)의 일반 진술문이나 주장. 여기에서 결론이 도출된다.
전조작기 pre-operational stage Piaget의 인지 발달 단계로, 2세에서 6세까지의 아동이 이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는 표상이 형성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하며, 내재적 사고도 가능하지만 보존이나 범주 포함과 같은 과제에서는 실패한다.
전주의 처리 단계 preattentive stage of processing “기초요소”라 불리는 작은 단위로 분해되는 동안의 자동적이고도 빠른 처리 단계
전주의 처리 preattentive processing
전주의과정 preattentive process 신경흥분이 감각신경체계를 따라 전달되면서 주의나 의식이 개입되지 않고도 정보가 선택적으로 추출되고 조직화 되는 과정. 이러한 전주의적 감각적 정보처리는 감각 기억에 입력된 감각정보가 극히 짧은 순간 동안 유지되므로써 가능.
전주의적 preattentive 주의를 주기 이전의; Treisman의 특징통합이론에서 초점 주의를 주기 이전에, 자극의 여러 기본적 속성들이 주의를 받지 않고도, 동시에 처리되는 단계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전진적 간섭으로부터의 해방 release from proactive interference 앞서 학습한 재료와 상이한 정보를 가짐으로써 전진적 간섭이 감소되는 현상.
전체 단어 읽기 whole-word reading 친숙한 단어를 볼 때 보통 그 모양을 토대로 알아보고 발음하는 것
전체 대상 가정 whole object assumption 어린이는,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맥락에서 발화되는 새로운 이름이 그 대상의 일부가 아니라 전체 대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가정한다는 생각.
전체(가중) 평균 overall or weighted mean 평균 집합의 평균
전체발작 generalized seizure 발작을 일으키는 병소가 특정 영역에 분명히 제한되지 않고 뇌의 대부분이 관련되는 경우
전체보고과제 whole-report procedure 잠깐동안 제시된 자극 또는 글자들 전부를 보고하도록 지시되는 과제. Sperling의 영상기억 실험에서 사용됨.
전체와 부분 wholes and parts 자극의 전반적인 측면과 세부적인 부분을 지칭
전체평균 grand mean 점수들의 합을 점수들의 총수로 나눈 산술평균
전측 대상회 anterior cingulate 주의, 반응 억제, 정서 반응 (특히 통증에 관한)에 관여하는 전두엽 한 가운데에 있는 뇌 구조; 대상회의 전측부분.
전측; 문측 anterior 신경계에서 신경축을 기준으로 앞쪽 방향
전파된 반응; 전파 반응 propagated response 진폭의 감소 없이 신경섬유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는 신경충격과 같은 반응
전향네트워크 forward network forward chaining을 보시오.
전향연쇄짓기 forward chaining 반응연쇄를 학습시켜야 할 경우에 연쇄의 첫 번째 고리로부터 최종 고리까지 순차적으로 강화를 제공하면서 학습을 시키는 절차.
전형성 효과 typicality effect 범주 구성원의 대표성이 그 구성원이 그 범주에 속한다고 분류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미치는 영향. 예컨대, 사람들은 전형적인 경우들(예, “울새는 새다”)에 관한 범주 진술의 참을 확인할 때가 비전형적인 경우들(예, “닭은 새다”)에 관한 범주 진술을 확인할 때보다 더 빠르다.
전형성 typicality 어떤 범주의 한 구성원이 그 범주의 다른 구성원들을 대표하는 정도.
전화 조사 telephone survey 전화를 걸어 표준 질문들에 대해 응답을 구하는 방법
전환 switching 주의전환, attentional switching을 보시오.
절 paragraphs 글의 내용을 여러 단락으로 나눌 경우의 한 단락.
절감단서 discounting cue 설득 메시지의 신뢰도나 정확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메시지, 신호 또는 관련된 사실
절대식역; 절대역 absolute threshold 역의 절대편을 볼 것 (Threshold, absolute)관찰자가 자극을 탐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 에너지. 감각 연속선 상에서 관찰자가 자극을 탐지하는 평균점
절대적 불응기 absolute refractory period 활동전위가 일어난 직후, 아무리 강한 자극이 주어져도 뉴런이 더 이상 활동전위를 일으킬 수 없는 짧은 기간.
절대판단 absolute judgment 관찰자가 감각 차원에 따라 한 자극을 다중범주중의 하나에다 배정하는 것. 전형적인 절대판단 실험에서 자극 연속선(예를들면, 음높이, 빛세기, 또는 결 roughness)과 연속선의 몇 개의 discrete 수준(예를들면 상이한 주파수의 네 개의 음)이 선택된다. 이러한 자극들은 한번에 하나씩 피험자에게 무선적으로 제시되며, 피험자는 각각을 상이한 반응과 연합하도록 요청을 받는다. 예를들면, 네가지 음은 A,B,C,D로 불려질 수 있다. 각 반응이 제시된 자극과 짝지워지는 정도가 평가될 수 있다.
절약법 savings method relearning method를 보시오.
절약성 parsimony 훌륭하고 강력한 이론은 많은 사람들을 적은 진술문 또는 설명 개념으로 설명하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단순성을 지칭한다
절전 뉴런; 신경절전 뉴런 preganglionic neuron 전근을 통해 척수를 빠져 나오는 축색을 가진 뉴런
절제 ablation 뇌 조직을 외과 수술을 통해 제거함
절제 lesioning
절차 기억 procedual memory 어떤 과제의 수행 방식에 관한 정보에 대한 기억.
절차 기억 procedural memory 행위나 기술, 조작에 관한 기억으로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쉽게 표현할 수 없는 지식을 표상.
절차기억체계 procedural memory system 행위, 기술 및 조작에 관한 기억을 포함하고 있는 기억체계. 자전거를 타는 것, 타이핑하는 것, 신발 끈을 매는 것과 같은 실행방법에 관한 기억은 절차기억체계와 관련. 이는 암묵기억을 처리.
절차적 지식 procedural knowledge 목표와 그 목표달성에 필요한 행위들을 관련짓는 지식
절차적 지식 prodedural knowledge 목표와 그 목표달성에 필요한 행위들을 관련짓는 지식.
절차적 procedural 어떤 기술을 행하기 위해 취해야 할 행동의 순서로서, 의식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방법으로 표상되어 있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 타기와 같은 기술은 처음부터 절차적인데, 이 때 획득되는 지식은 언어로 기술될 수 없다.
절차화 proceduralization 연습에 의해 접근 속도가 느린 서술 지식으로부터 접근 속도가 빠른 절차 지식으로 변환되는 과정. 절차 지식은 산출로 표상되는데, 산출의 조건이 충족되면 행동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예컨대, 4 더하기 3은 7이라는 사실은 처음에는 서술기억에 명제 형태로 표상되는데, 연습이 반복됨에 따라 이 정보는 절차기억의 산출규칙으로 표상된다. 따라서 4와 3이 주어지면 7이 자동적으로 인식되게 된다. 즉, 처음에는 서술 기억으로부터 정보가 느린 속도로 인출되지만, 절차화에 의해 일종의 패턴재인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게 된다.
절편 intercept Y 절편은 X를 알고 Y를 예언하기 위한 회귀선이 교차하는 Y축의 위치.
절후 뉴런; 신경절후 뉴런 postganglionic neuron 신경절전 축색과 시냅스를 맺는 뉴런으로서, 소장, 위, 신장, 한선과 같은 목표 기관으로 축색을 투사한다.
점2계열상관 point biserial r 독립변인의 효과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두 집단 실험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관 계수
점검 inspection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이나 태도 또는 특정 사건의 전개과정 등을 체계적으로 관찰하거나 기록하는 일.
점검목록; 체크리스트 checklist 일반적으로 점검해야 할 항목들의 목록.
점근선 asymptote 부적으로 가속화되는 곡선이 근접하는 가상의 선
점이연상관 point biserial correlation 한 쪽 변수가 양적인 변수(구간, 비율)이고, 다른 한 쪽 변수는 이진형(binary, dichotomous)일 때 관계의 정도를 측정할 때 사용된다.
점추정 point estimation 특별한 점수 값을 가진 전집 모수치의 추정. 예컨대, 표본 평균값은 표본이 추출되는 모집단의 평균 m의 점 추정치로 사용될 수 있다.
점화과제 priming task 자극이 쌍으로 주어지는 과제로, 첫째 자극은 두 번째 자극의 확인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기폭제 역할을 한다.
점화어 prime 의미점화에서 의미적으로 관련된 단어. 점화어가 앞서 제시된 후 이와 관련된 단어(표적어)가 제시될 때 후자에 대한 의미처리가 빨라지며, 이를 의미점화 효과라 한다.
점화하기 priming 선행 사건이나 자극이 후속 반응에 (어쩌면 무의식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현상. 즉, 사전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자극의 탐지나 확인 능력이 촉진되는 현상.
점화효과 priming effect 시간적으로 먼저 제시된 단어가 나중에 제시된 단어의 처리에 영향을 주는 현상. 먼저 제시된 단어를 점화단어(prime)라 하고 나중에 제시된 단어를 표적단어(target)라고 부른다. 점화효과에는 촉진효과와 억제 효과가 있으나, 통상적으로 촉진적인 것을을 점화효과라 한다. 여기서 촉진효과라 함은 어휘판단이나 음독과 같은 수행을 향상시킨다는 의미이다.
접속사 처리 connectives processing 문장의 이해는 문장전체의 제시이후에 이루어 지지 않는다. 오히려 문장의 이해는 지속적 혹은 부가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사용된 접속사의 적절한 처리는 문장이해에 결정적이다
접촉소요시간 time-to-contact 움직이는 관찰자의 이동 속도나 방향이 일정하다고 가정했을 때, 그 관찰자가 어떤 대상과 접촉하기까지 남은 시간
접합 conjunction
접합자 zygote 유전인자는 2개 이상의 대립형질로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Mendel의 완두콩에서 꽃색깔의 유전인자는 자주색(A)과 흰색(B)이라는 두 대립형질이 있다. 대립형질이 같은 형질을 동질접합자(AA 또는 aa)라 하고 대립형질이 다른 형질을 이질접합자(Aa)라고 한다
정교화 elaboration 항목을 기억해 내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 제시된 항목만을 단순히 그대로 저장하지 않고 이 항목과 관련된 것들과 연합하여 기억하는 방법. 이러한 정교화는, 주어진 현재의 정보를 우리의 기존 지식과 관련지움으로써 정보를 통합하고 보존하는 수단을 제공해 준다.
정규성 normality 도수분포곡선이 평균값을 중앙으로 하여 좌우대칭인 종 모양을 이루는 것.
정규화 normalization 말 지각에 있어 화자 간의 차이점을 고려하는 과정
정밀 정교화 precise elaboration 기억된 재료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추가 재료를 생성해보게 하거나 제공하는 것. 정교화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정교화를 통해 특정 개념과 그 개념이 나타나는 맥락 사이에 적절성 혹은 중요성이 뚜렷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정보 시각화 information visualization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신속하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보를 시각적인 형태로 제시하는 것
정보 처리 information processing 세상에 관한 정보를 심적 표상으로 처리하기.
정보 information
정보검색 information search 처리된 정보에서 필요에 따라 특정 정보를 검색, 이용하는 것. 기억 매체에 기록된 대량의 데이터 집단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특정 정보를 선택하여 신속하게 찾기 위한 방법 및 순서이다.
정보로서의 기분 모형 mood-as-information model 기분의 동기적, 의식적 측면의 중요함을 강조하는 모형으로, 기분은 현재 상황에 대해 판단을 내릴 때 필요한 의식적인 정보의 역할을 한다고 제안한다. 복잡한 혹은 잘 정의되지 않은 과제에 대한 어떤 사람의 수행을 평가할 때, 관련된 모든 정보를 따져서 평가하기보다는 그 사람의 수행을 보고 일어난 느낌을 가지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즉, 현재의 기분이 지금 상황에 대한 나의 입장을 가늠하게 하는 정보를 제공해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때로는 실제로 기분을 초래한 것은 다른 원인 때문인데 지금 눈앞에 있는 판단 대상이 그 기분을 일으켰다고 생각하여 잘못 귀인 시키기도 한다.
정보성 informativeness 개념과 연합된 정보의 양으로 기본 수준은 정보성이 높다.
정보이론 information theory 협의의 정보이론에서는 정보의 내용이나 인간감정의 작용 등에 관하여는 논의하지 않으며, 정보를 순수하게 공학적으로 다루어 그 형식적 외관, 즉 부호화(符號化)된 정보의 전달 등에 관해서만 논의한다. 이 부분은 특히 통신이론이라고도 불린다. 이에 대하여, 넓은 뜻으로는 사이버네틱스 패턴(cybernetics pattern) 인식(認識), 학습이론 ·언어이론, 오퍼레이션 리서치(operation research) 등의 제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된 광범위한 학문체계를 뜻한다.
정보인출 information retrieval 장기 기억 속에 있는 정보를 탐색하여 찾는 과정.
정보적으로 캡슐화 된 informationally encapsu-lated Fodor에 의한 단원의 정의적 특성 중의 하나로, 하나의 단원은 맥락이나 기대에 관한 하향적 정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정보처리시스템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를 보시오.
정보처리의 초점 주의 단계 focused attention stage of processing 정보처리에서 기초요소가 결합되는 단계. 이 단계에서는 의식적인 추의가 요구된다
정보처리접근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자극 또는 입력(I)'과 '반응 또는 출력(O)' 사이에서 정보를 해석하고 조직하며 결정하고 스스로를 점검(모니터)하는 역동적인 상징조작체계(symbol manipulation system)로 인간을 보는 관점(Newell, 1980). 또한 마음을 여러 개의 처리구조들(structures)과 과정들(processes)의 통합체로 본다.
정상 곡선 normal curve 도표로 그렸을 때 종 모양의 곡선을 낳는 사상들의 분포; 정상곡선에서는 평균치, 중앙치, 최빈치가 모두 동일하다
정상 분포 normal distribution 대칭적인 종 모양의 곡선을 낳는 분포
정서 주입 모델 affect infusion model Forgas(1995)가 제안한, 문제의 유형에 따라서 사용되는 정보처리 양상이 달라진다고 가정하는 모델. 친근하고 잘 훈련된 문제에는 이미 만들어진 답을 쉽게 산출하는 직접 접근 방식, 구체적인 목표가 있을 경우에는 동기화된 처리방식, 결론을 끌어내기 위한 지름길을 사용하는 발견적 처리방식, 그리고 상세하고 꼼꼼하게 대안들을 살펴보는 체계적 처리방식 등의 네 가지 정보처리 양상이 사용된다.
정서 emotion 정서(emotion)라는 단어의 의미는 다양하다. 대부분 이것은 특정 상황에 의해 유발되는 정적 혹은 부적 감정(feeling)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불공평한 대우를 받으면 화가 나고, 괴로워하는 사람을 보면 슬퍼지며,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있으면 행복을 느끼게 된다. 정서는 생리적 반응과 종-특유의 행동으로 이루어진다. 인간에 있어서 이 반응에는 감정이 수반된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서라는 단어를 감정을 가리키는데 사용하지, 행동을 지칭하는데 사용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정서는 한 개체의 사사로운 경험이 아니라 생존과 생식을 위한 행동이다. 정서행동의 유용한 목적은 뇌를 진화시키는 것이다. 그것에 뒤따르는 감정은 진화 과정상 다소 늦게 나타났다
정서적 독특성 emotional distinctiveness 강한 감정 반응을 야기하는 항목 특성으로, 강한 정서적 반응을 야기한 사건이 더 잘 기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신과정 mental process 감각 및 지각과정을 통해 물체나 현상을 이해하고, 기억 및 추론 등의 사고과정을 통해 결론을 내리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등과 같이 정보를 처리하는 심리적 과정을 뜻함.
정신물리학; 정신물리학 psychophysics 전통적으로 수많은 정량적 역치 측정법을 말하는 것이었으나, 이 책에서는 좀 더 광범위하게 자극의 속성과 피험자의 경험 사이의 관계를 결정짓는 지각에 대한 접근을 말한다
정신물리학적 방법 psychophysical methods 절대역과 차이역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한계법 같은 절차
정신물리학적 조율 곡선 psychophysical tuning curve 낮은 강도의 순음을 거의 탐지할 수 없게 하는, 다른 주파수의 차폐음조의 강도를 나타내는 함수
정신물리함수 psychophysical function 감각 자극과 감각 경험 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함수를 일반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페크너의 법칙이나 스티븐슨의 법칙이 여기에 속한다.
정신분석학 psychoanalysis 프로이드가 창안한 심리학의 한 줄기인데 해결되지 않고 무의식 속에 잠재해 있는 갈등이 심리 장애를 초래한다고 주장함
정신분열증;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망상, 환각, 혼란스런 사고와 언어를 비롯한 여러 부적응적 증상들을 나타내는 심각한 정신장애;
정신적 의존성 psychic dependence 약물이 만족감을 주며, 쾌를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약물을 요구하는 정신적 추동 상태
정의 곤란 개념 ill-defined concept 정의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개념의 경계도 모호한 개념.
정의 속성 definitional attribute
정의적 세부특징 defining feature 세부특징 비교 모형에서 세부특징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범주 소속성을 정의하는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세부특징인 정의적 세부특징, 범주 소속성을 정의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많은 범주 사례들이 공유하고 있는 세부특징을 특징적 세부특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새의 정의적 세부특징으로서 '피부를 갖는다', '깃털을 갖는다', '호흡을 한다' 등을 들 수 있다.
정적 가속화 positively accelerated 한 변인의 증가나 감소 비율이 다른 변인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
정적 강화 positive reinforcement 행동 다음에 어떤 자극의 제시 또는 그 자극 강도의 증가가 뒤따르는 강화 절차. 때로는 보상 훈련(reward training)이라고도 부른다.
정적 강화물 positive reinforcer 어떤 행동에 뒤따라 주어질 때 그 행동의 강도를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키는 자극.
정적 관계성 positive relationship 변인 X의 값이 크고 변인 Y의 값 또한 클 때, 그리고 변인 X의 값이 작을 때 변인 Y의 값도 또한 작을 때, X와 Y간에 정적 관계성이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된다
정적 처벌 positive punishment 행동에 뒤따라 자극이 제시되거나 그 자극의 강도가 증가하는 처벌절차. ‘제1유형 처벌’이라고도 불린다.
정점 vertex 둘 이상의 선분이 만나거나 교차하는 지점을 말한다. 화살표나 'L'자의 꼭지점, 'T'자의 접점, '+'의 교차점, 'Y'의 분기점 등이 그 예이다.
정점변경 peak shift 변별 훈련 이후에 일반화 기울기에서 반응의 정점이 CS- 혹은 S-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 H. M. Hanson(1959)은 비둘기를 연두색(파장의 측정치인 나노미터(nanometer)로 하면, 550nm) 원반은 쪼게 하고 약간 더 노란색을 띤 원반(560nm)은 쪼지 않게 훈련시켰다. 통제 집단에 속한 비둘기는 변별훈련을 받지 않고 연두색 원반을 쪼는 것에 대해서 먹이를 받았다. 이런 훈련 후에 Hanson은 비둘기들에게 노란색에서 초록색에 이르는 다양한 색깔의 원반을 쪼게 하였다. 통제 집단의 경우, 반응의 정점은 그 변별자극에 대해서 나타났다. 반면에 변별훈련을 받은 비둘기들의 경우, 반응의 정점이 S+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540nm의 자극에 대하여 일어났다(그림 9-6을 보라). 정점 이동(Peak shift)이라 불리는 이런 현상은 확고한 현상인 것으로 밝혀졌다(Purtle, 1973; Thomas 등, 1991).
정준선; 중앙선 midline 포유류의 신체 좌우를 구분해주는 가상적인 중심 선.
정지 상태 포만트 steady-state formant 시간에 따라 별로 변화하지 않는 포만트.
정지된 상; 정지된 영상 stabilized image 안구의 동공 위에 콘택트 렌즈를 끼우고 여기에 초소형 투사기를 설치하여 어떤 상(문자나 도형)을 제시하면, 안구가 움직여도 망막에 비치는 상은 일정하게 된다. 그러면 점차 상이 사라져서 나중에 아무 것도 보이지 않게 된다. 이처럼 망막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어 비치도록 한 상을 '정지된 상'이라 말한다.
정직 의미 차이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s 변량분석에서 사후 검증 중 하나인 Tukey의 HSD 검증에서 HSD의 의미이다.
정향 반응 orienting response 동물에게 새로운 자극이나 상황을 제공했을 때 나타나는 각성 반응을 말함.
정향 탐지; 방위 탐지 orientation detection
정향주의 orienting attention 자극의 출현이 예상되는 출처로 주의를 옮기는 것을 말한다. 소리 나는 곳으로 동물이 귀를 쫑긋하는 정향 반사(orienting reflex)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정향 주의를 유도하기 위해 사전 단서를 사용하곤 한다.
정현파 줄무늬 sine-wave grating 정현파 강도 분포를 가지는 줄무늬 자극
정확기억 accurate memory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예전에 일어난 사건을 재구성하여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일어난 대로 기억하고 있는 것.
정확도 accuracy 측정값이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 즉, 오차의 대소 정도를 나타내며 정밀도와 구별된다. 예를 들면, 6자리 수표는 4자리 수표보다 정밀도가 더 높다. 그러나 6자리 수표에 오류가 있다면 4자리 수표보다 정확도는 더 낮을 수 있다.
정확성 precision 훌륭한 이론은 그 예측에서 정확해야 한다
정확한계 true limits 연속변인 값 ± 척도 측정단위/2. 예컨대, 10 파운드의 정확한계는 9.5에서 10.5 파운드이다.
제1색맹 적색맹; 장파색각결함 protanopia 장파 추상체 색소의 부족으로 인한 빨강-녹색의 이색 색맹.
제3의 변인 문제 third variable problem 어떤 행동이 다른 행동과 관계는 있으나 이를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인과관계가 없을 때 어떤 제 3의 변인이 이들 행동 모두를 유발하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
제거된 eliminated 덜어 없애는
제거하다 eliminate 덜어없애다
제약 constraints 허용되지 않거나 가용되지 않는 행위.
제약내 무선화 randomization within constraints 특정 선정 규칙의 제약하에서 선정하는 방법
제어 판넬 control panel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속기기
제어역동 control dynamics 시스템의 작동를 원하는 방식으로 통제하는 것
제한된 합리성 bounded rationality 목표 달성 정도가 정보처리 체계의 한계와 과제가 발생하는 맥락 때문에 제한됨.
제한용량 limited capacity 주의를 에너지 혹은 자원으로 보는 모형에서 주의의 자원이 제한되어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제한된 주의 용량을 말한다.
조거구 calcarine fissure 후두엽의 내측 부위에 있는 열구로서 일차 시각피질이 이 곳에 위치한다.
조건 맛 혐오; 조건 미각 혐오; 조건 향미 혐오 conditioned flavor aversion 고통(주로 복통)과 연합된 맛(또는 맛과 냄새)을 회피하는 것.
조건 맛 혐오; 조건화된 미각 혐오 conditioned taste aversion 음식의 맛이 고통과 연합되어서 그 음식의 맛을 혐오하게 되는 것
조건 면역억압 conditioned immunosuppression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이 시사하는 바에 따르면, 시간이 흐르면서 화학치료와 연합된 자극들도 역시 면역계를 억제하게 될 것이고 따라서 화학치료의 부작용이 악화될 수 있다. Dana Bovbjerg와 동료들(1990)은 난소암 때문에 화학치료를 받는 여성들은 병원에 치료받으러 돌아왔을 때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병원 자체가 조건 면역억압(conditioned immunosuppression)(즉 면역계의 억압)을 일으키는 CS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환자들을 돕기 위한 치료가 조건형성 때문에 환자들에게 해를 입힐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Ader와 Cohen, 1975, 1993).
조건 법칙 conditional rule 자극의 속성들을 관계지을 때, 만약-라면(if, then)이라는 논리적 관계를 이용한 법칙.
조건 확률 conditional probability 다른 사건이 참일 때 특정 사건이 참일 확률.
조건 condition 연구를 위해 피험자를 할당는 특정상태
조건강화물 conditioned reinforcer 다른 강화물과의 연합을 통해 강화적 속성을 지니게 된 자극을 말하며 이차 강화물이라고도 한다. 스키너 상자에서 지렛대를 눌러 먹이를 보상받는 것을 학습한 쥐에게 이번에는 빨간 불빛이 켜질 때 지렛대를 누르면 보상을 주고 불빛이 켜지지 않을 때 지렛대를 누르면 보상이 주어지지 않도록 학습시키게 되면, 쥐는 빨간 불빛이 켜질 때만 지렛대 누르는 반응을 하게 된다. 이때 빨간 불빛은 먹이와 짝지어지면서 보상 기능을 획득하게 된다. 이처럼 일차강화물과 짝지워지면서 강화적 속성을 획득하게 된 강화물을 조건강화물 또는 이차강화물이라 한다. 인간의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언어적인 칭찬이나 관심이 조건강화물의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돈이나 티켓 같은 것도 조건강화물의 예이다.
조건반사 conditional reflex 선천적이지 않고 경험을 통하여 습득해야만 생기며 상대적으로 비영구적인 반사이다. 이 심적 반사들은 경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각각의 개체에서 상당히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특정인의 발자국 소리에 개가 침을 흘리는 것은 이런 유형의 반사를 보여주는 것이다
조건반응 CR 중성자극과 무조건자극을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제시하게 되면 처음에는 무조건 자극에 대해서만 유발되던 특정 반응(무조건 반응)과 유사한 반응이 유발되는데, 이를 조건반응이라 하고 이 조건반응을 유발시키는 자극을 조건자극(무조건 자극과 연합되기 전에는 중성자극이었음)이라 한다.
조건반응 conditioned response conditional response를 보시오.
조건변별과제 conditional discrimination task 특정 자극에 대한 반응이 어떤 조건에서는 강화되고 다른 조건에서는 강화되지 않는 학습과제. 예컨대 불빛이 켜지거나 또는 소리가 제시될 때에는 반응을 하고, 두 자극이 모두 제시될 때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훈련시키는 과제.
조건억압 conditioned suppression 혐오적 CS의 비수반적 제시로 인해 반응률이 감소하는 것.
조건억제 conditioned inhibition 이전 훈련의 결과로 반응을 차단하거나 억제하는 자극의 경향성. 파브로프식 조건형성에서 먹이 없이 조건자극만을 계속하여 제시하면 피험동물은 그 조건자극의 제시가 먹이의 부재를 신호하는 것으로 학습하게 된다.
조건자극 CS
조건자극 conditional stimulus 훈련 없이도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이 무조건 자극인데 비해 훈련을 통해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을 조건자극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실험에서 음식은 타액이라는 반응을 유발하는 무조건 자극인데 비해 종소리는 조건자극이 된다.
조건자극 conditioned stimulus conditional stimulus를 보시오.
조건정서반응 CER conditioned emotional response를 보시오.
조건정서반응 conditioned emotional response 자극에 대한 정서적 반응으로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을 통해 습득된 것이며 CER이라고 불리운다. Watson에 따르면 처음에는 비교적 적은 수의 자극만이 공포 혹은 다른 강한 정서반응을 일으키지만, 이 자극들과 짝지어진 것들도 곧 그런 정서를 일으키게 된다. 공포뿐만 아니라 사랑, 증오, 그리고 혐오를 비롯한 우리의 정서반응 대부분이 학습될 수 있다.
조건화 된 고개 돌리기 절차 conditioned head turn procedure 어린 아기의 말소리 재인 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절차. 아기는 제시되는 말소리가 달라진다고 느낄 때마다 특정 위치로 고개를 돌려보면 보상을 받는다.
조건화된 공포 conditioned fear 고전적 조건형성 절차에 따라 공포반응을 유발하는 무조건자극(전기충격이나 굉음 등)과 반복하여 짝지어진 조건자극은 무조건자극 없이도 공포반응을 일으키는데 이것을 조건화된 공포라고 한다.
조도 illuminance
조립 경로 assembled route 활자화된 단어를 보고 그 단어의 소리를 먼저 처리하고 나서 그 단어의 의미에 접근한다는 가설을 일컫는 용어.
조망; 전망 perspective
조망지식 survey knowledge 많은 경험을 통해 일반화된 세상-중심적(world-centered)이고 공간적인 지리적 지식표상을 말한다. 조망 지식은 여행자들에게 어떤 환경에 대한 좀더 정확한 표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며, 노선 지식에 기초한 표상에 비해 훨씬 왜곡이 적다(Thorndyke & Hayes-Roth, 1978; Williams, Hutchinson, & Wickens, 1996).
조명 윤곽 illumination contours 서로 다른 광도를 가진 두 영역의 경계선에서 만들어지는 윤곽
조사법 survey 설문, 전화, 우편 또는 면접을 통해서 많은 수의 사람들로부터 미리 한정된 항목의 정보을 얻는 기법
조사연구 survey research 흔히 무선 표집을 통해 많은 수의 사람들로부터 한정된 양의 정보를 얻는 기법
조사의 집단 실시 group administration 한 집단에 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조성 shaping 점진적 접근법(successive approximation)으로 알려진 기법인 조성(shaping)은 행동에 대한 강화이전 조작적 수준이 매우 낮을 때 또는 바라는 도달점 행동이 유기체가 나타내보이는 어떤 반응과도 형태상으로 다를 때 그 행동을 가르치는 수단이다. 특정 행동을 조형하기 위해선, 어떤 면에서든 바라는 행동에 접근하는 첫 반응을 강화함으로써 시작한다. 유기체가 그 반응을 상당히 자주 방출할 때까지 그 반응을 강화하기를 계속한다. 그 시점에서 바라는 행동에 더욱 접근하는 그런 반응만을, 그다음에는 더욱 접근하는 반응을 강화한다. 마침내 바라는 행동 그 자체만 강화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조형은 도달점 행동이 나타날 때까지 점진적으로 도달점 행동에 점점 더 가까운 근사치를 강화하는 과정이다. - 예: 교사는 학생들의 잘 앉기 행동을 조형한다; 학생들은 자람에 따라 점점 더 시간 동안 자리에 조용히 앉아 있도록 기대된다. 또한 수학을 조형 행동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복잡한 문제 해결은 계산하기와 숫자 인식과 같은 더욱 기본적인 기능들이 완전습득된 후에만 도입된다. - 조형 과정의 적용 단계: 1. 학생이 지긎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라(출발점 행동; entry behavior) 2. 바라는 (도달점; terminal) 행동을 확인하라 3. 학생의 환경에서 가능한 강화인자들을 확인하라 4. 도달점 행동(단계 2)을 단계적으로 완전습득되는 작은 하위단계들로 쪼개어라 5. 도달점 행동에의 매 접근을 점진적으로 강화함으로써 학생을 출발점 행동으로부터 도달점 행동으로 이동시켜라
조율 곡선 tuning curve 청각계에서, 가청 범위를 따라 주파수 별로 뉴런으로부터 역치 반응을 도출해내기 위해 필요한 강도를 나타내는 곡선.
조율 곡선 tuninig curve 청각계에서, 가청 범위를 따라 주파수 별로 뉴런으로부터 역치 반응을 도출해 내기위해 필요한 강도를 나타내는 곡선
조율 tuning 문제 해결을 학습하는 과정 중 하나로, 조작자를 택하는 어림법을 수정하는 과정.
조음 개시; 개시 attack 음을 시작할때의 소리 조성(buildup).
조음 방식 manner of articulation 자음이 만들어지는 기계적인 방식이며, 기도가 열림으로써 공기가 내 보내어지는 방식.
조음 부위 place of articulation 소리의 생성시 공기흐름(airstream)이 차단되는 장소.
조음 억제 과제 articulatory suppression task 친숙한 단어나 일련의 숫자를 자꾸 반복하게 하여, 주의 자원(attentional resources)을 소모하지 않고 음운론적(phonological) 고리를 사용하게 하는 과제.
조음 음성학 articulatory phonetic 음성기관들에서 자음과 모음 음들이 어떻게 만드어지는지 연구하는 음성학의 한 분야.
조음 함수 articulation function 단어들의 강도별로 정확하게 확인된 단어들의 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조음; 변조 modulation 성대(聲帶)보다 위쪽의 음성 기관이 어떤 음성을 내기 위하여 필요한 위치를 취하고 일정한 운동을 함.
조음 articulation
조음장애 articulation difficulty 뇌손상및 기타장애로 인하여 조음(말소리생성)을 거의 혹은 완전히 못하는 장애.
조음점 point of articulation 자음 산출의 한 특징으로, 성대에서 공기 흐름이 막히게 되는 지점. 치아나 입술이 그 예이다.
조작 manipulation 기계나 장치 따위를 다루어 움직이게 함. 사물을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공작하여 조종함.
조작순서도 operating sequence diagram 작업을 수행중 임의의 시간에 작업자와 장치사이의 상호작용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 OSD라 부름
조작자 제한 Operator restrictions 문제 해결에서, 조작자가 한 상태를 다른 상태로 바꾸려 할 때 필요한 계산하기 또는 조작을 가하는 행위라 한다면, 조작자 제한이란 이 때 해서는 안 될 일을 뜻한다. 예컨대, 하노이탑 문제에서는 한 번에 한 개의 고리만 이동시킬 수 있고, 큰 고리를 작은 고리 위에 놓아서는 안 되고, 고리를 한 막대에서 다른 막대로 옮겨야 하며 그것을 탁상 위에 놓거나 주머니 속에 넣어서는 안 된다.
조작자 operator 문제 해결에서, 한 상태를 다른 상태로 바꾸려 할 때 필요한 계산하기 또는 조작을 가하는 행위. 예컨대, 은행에서 융자를 받거나, 친지로부터 돈을 빌리는 등의 행위는 현재의 문제 상태와 목표 상태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수단인 조작자가 된다.
조작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개념을 측정하는 데 필요한 조작들을 명세화함으로써 개념을 정의하는 방법
조작적 조건형성 operant conditioning 조작적 조건형성의 핵심은 개체의 반응은 그 반응의 결과에 따라 앞으로도 계속 그런 반응이 일어날지, 더 이상 그런 반응이 나타나지 않게 될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만일 어떤 반응의 결과로 행위자에게 보상이 주어지면 다음에 그런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증가하고, 반대로 특정 반응 이후에 보상이 없던지 처벌이 가해지면 다음에 그 반응을 할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때 ‘조작적’이라는 말은 학습자가 목적을 가지고 환경을 조작한다는 뜻이다. 다른 면에서 보면 원하는 사건의 발생(보상)을 위한 도구로 자신의 행동반응을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도구적’ 조건형성이라고도 부른다.
조작적 학습 operant learning operant conditioning을 보시오.
조절 accomodation 기존의 도식에 맞지 않는 새 경험을 다루기 위해 도식을 적응시키거나 새 도식을 만드는 것.
조절법; 조정법 method of adjustment 관찰자가 자극을 인지할 때까지 실험자나 관찰자가 서서히 자극을 변화시키는 정신물리학적 방법.
조정 calibration 피드백과정을 통해 표준이 되는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시스템의 기준을 조정하는 것
조증 mania 끊임없는 활동, 흥분, 웃음, 극도로 행복한 기분, 산만한 말, 그리고 억제력 상실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장애.
조직검사 biopsy 생체 조직을 일부 떼어내어 분석하는 방법.
조직하다 organize 알려진 것을 부합되는 진술 속에 수집하거나 조직하는 이론의 한 기능
조직학적 방법 histological method 뇌를 고정하고 절편을 내어 검사하는 방법
조직화; 체제화 organization
조직화의 법칙 law of organization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에 의하여 개발된 몇몇의 규칙들로써, 어떻게 작은 요소들이 커다란 형태로 집단화 되는지를 설명하고 있음.
조합 combination
종뇌 telencephalon 전뇌는 종뇌와 간뇌로 나뉘는데, 대뇌반구가 종뇌를 구성한다.
종단법 longitudinal method 한 집단의 사람들을 나이 듦에 따라 반복적으로 검사. 횡단법과 대조된다
종단적 연구 longitudinal study 동일한 대상을 오랜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변화를 연구. 횡단적 연구와 반대된다.
종말단추 end bulb 뇌세포 축색의 끝부분으로 축색이 화학물질을 분비하는 부분.
종말단추 terminal button 축색이 말단에서 갈라져서 여러 차례 분지한 끝부분. 신경전달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시냅스 주머니들이 들어있다.
종모양 분포 bell-shaped distribution 정규 분포 변인의 분포의 특징적 모양.
종속변인 dependent variable 실험자가 측정하고 기록하는 변인
종좌표 ordinate 그래프에서 세로축 또는 y-축
종특유방어반응 species-specific defense reactions 동물들이 위험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에 대처하도록 하는 반응 시스템을 표현하기 위해 Bolles(1970)가 사용한 용어. 예를 들어, 쥐는 새로운 자극에 갑작스럽게 직면하면 얼어붙거나 도망치는데 비해 새는 날아가버린다. Bolles는 종특유방어반응이 학습될 수 있는 행동의 범위를 제한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종특유방어반응과 다른 행동을 학습하는 것은 동물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좋은 본보기 goodness-of-exemplar
좋은 연속; 부드러운 연속의 법칙 good continuation 연결시켜 보았을 때 직선이거나 원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 같아 보이는 점들은 함께 속하는 것으로 보이고, 선들은 가장 원만한 경로(path)를 이루는 방식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게슈탈트 법칙
좋은 연속성의 법칙 law of good continuation 연결시켜 보았을 때 직선이거나 원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 같아 보이는 점들은 함께 속하는 것으로 보이고, 선들은 가장 원만한 경로(path)를 이루는 방식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게슈탈트 법칙.
좋은 형태의 법칙 law of good figure 모든 자극 패턴은 가장 단순한 것으로 보인다는 게슈탈트 법칙.
좋은 형태의 법칙 law of praegnanz
좌절가설 frustration hypothesis Abram Amsel(1958, 1962)이 부분강화효과(PRE)가 왜 일어나는가에 대해 제안한 이론으로서, 무강화는 좌절을 일으키며 간헐적 강화 동안 좌절이 반응에 대한 S+가 된다는 설명.
좌측 두정엽성실행증 left parietal apraxia
좌표 coordinate 직선·평면·공간 상에서 사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한쌍의 수치
주개념 head concept
주관적 강도; 주관적 크기 subjective magnitude
주관적 기대 효용 subjective expected utility 기대 가치 변형으로, 이 값은 가치와 확률 대신 효용과 주관적 확률로 계산된다.
주관적 동등점 pse point of subjective equality의 약자.
주관적 윤곽 subjective contour 물리적으로 윤곽이 존재하지 않을 때의 윤곽 지각(OWP 3).
주관적 측정 subjective measures 개개인이 실제 생활경험을 통하여 얻은 개인적 인식을 측정하는 것이다.
주관적 확률 subjective probability 결정짓는 사람이 정한 확률 추정치.
주관적 효용 subjective utility 합리적인 의사 결정 과정에 관한 초기 이론들에서는, 사람드이 의사 결정에 필요한 여러 가지 대안의 기대값을 구하여 가장 기대값이 큰 대안을 선택한다는 모형을 제시했다. 그러나 기대값은 금전적 가치만을 다루기 때문에 적용범위가 제한되고, 따라서 가치 대신 효용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또한 효용은 돈의 액수 같이 객관적인 기준이 아니라 개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를 주관적 효용이라 한다.
주관적 효용이론 subjective utility theory 의사 결정에 관한 규범모형으로, 어떤 대안을 선택할 경우 여러 가지 가능한 결과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결과들의 긍정적 효용과 부정적 효용을 더한 순효용이 가장 큰 대안을 선택할 것이라고 보는 이론.
주관적인 subjective 주관을 바탕으로 한. 객관적인의 반대
주기성 음높이; 주기적 음의 고저 periodicity pitch 복잡한 음조에서 기저음을 제거해도 같은 음높이가 남아 있는 효과. ‘기저음 누락효과’라고도 한다.
주기성 periodicity 음파 패턴의 반복.
주변시 peripheral vision
주변적인 marginal 저선을 따라 어느 한 독립변수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주변평균 marginal means 주변평균들은 단순효과들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변평균들이 단순효과들을 잘 대변해 주는 경우는 상호작용이 없는 경우이다.
주분비선 master gland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대부분의 호르몬이 다른 내분비선을 통제하기 때문에 뇌하수체 전엽을 가리켜서 부르는 이름
주사 scanning 주의 주사, attention scanning를 보시오.
주사 scan 검사 항목과 STM 속의 항목과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검사 항목을 STM의 항목과 하나씩 차례로 비교하는 일.
주어진 정보/새로운 정보 책략 given new strategy 한 문장에서 어떤 정보가 이미 기억 속에 있는지를 결정하여 이 주어진 정보를 그 문장에 나오는 새로운 정보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문장을 이해한다는 문장 이해 책략.
주어진 정보 given information 말하는 이나 글쓰는 이가, 듣는이 혹은 읽는 이가 이미 알고 있으리라고 가정하는 정보.
주요정동장애 major affective disorder 심한 정동장애로서 단극성 우울증과 양극성 장애가 있다.
주위 환경의 광학적 배열 ambient optic array 환경과 관련된 빛이 사물 표면, 결에 의해 구조화 되는 형태.
주의 깜박임; 주의 무시; 주의 과실 attentional blink 신속순차제시(RSVP) 과제에서 순차적으로 제시되는 자극판 중 표적('X'가 있는 카드)을 탐지하도록 할 때, 이보다 두번째 ~ 다섯번째 앞에 제시된 다른 자극판의 식별이 어려워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표적에 대한 주의로 인해 이전에 제시된 자극의 처리가 힘들어진 탓으로 보인다.
주의 네트워크 attentional network 주의와 관련된 두뇌의 여러 신경 처리 장치들 간의 상호 연결관계.
주의 돌리기 directing attention 특정 대상으로 주의를 돌리는 것을 말한다.
주의 전환 attention shift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혹은 한 과제에서 다른 과제로 주의를 돌리는 것을 말한다.
주의 전환 attentional switching 한 대상에 주던 주의를 다른 대상으로 돌리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한 사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다가 다른 사람의 목소리에 주의를 돌리는 것이다.
주의 좁히기 attentional narrowing 시야의 넓은 영역에 퍼져 있는 주의를 특정한 영역 혹은 대상으로 주의 영역을 좁히는 것을 말한다.
주의; 주변 ambient 1. Gibson의 생태학적 접근에서 눈에 들어오는 주위 공간 전체를 가리키는 데 쓰인다. 예, ambient optic array 2. 시야의 중심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나머지 영역을 말한다.
주의과제 attention task 주의 작용을 요구하는 과제. 대체로, 여러 대상(과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거나, 다른 대상(과제)를 무시하고 한 대상(과제)를 지속적으로 처리하게 하거나, 동시에 둘 이상의 대상(과제)를 처리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주의단서주기 attentional cueing 주의해야할 대상(과제)를 단서를 써서 표시하는 것. 예컨대, 주의해야 할 대상이 반빡이게 하거나 다른 색깔로 표시하거나, 화살표로 그것을 가리키는 것 등이다.
주의의 자원모형 resource model of attention 주의를 총량의 한계가 있는, 일종의 자원 혹은 에너지로 보는 모형이다. 다중 자원 모형은 자원의 종류가 여러 가지임을 가정한다. Kahneman의 주의 용량 모형도 여기에 속한다.
주의의 현상학 phenomenology of attention 주의에 대해 의식에서 관찰되는 바를 자세히 묘사하는 것.
주의집중; 주의 attention 좁은 범위의 자극이나 사상에 인식의 초점을 두는 것. 주의는 유기체가 표적 정보를 받아들이려고 최적 준비 상태에 있는 경계 기능, 감각기관이 받아들이는 많은 정보들 중 대부분은 무시하고 몇몇을 택하여 의미를 처리한 다음, 적절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선택기능, 제한된 처리 용량을 둘 이상의 과제에 배정하는 기능 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주의는 마음에서 일어나는 여러 정보처리의 흐름을 제어하고, 이 흐름에서 심성 부호를 변형시키거나 통합한다.
주의편향 attentional bias 특정한 대상 혹은 특정한 속성에 주의를 더 많이 주는 경향성.
주제 theme 이야기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주로 주인공이 달성하려는 목표인 이야기의 일반적 초점을 제공한다.
주제적 지식 thematic knowledge 사고해야 할 상황에 대한 사실지식, 서술지식, 영역특수지식 등으로, 어떤 주장이 맞는가, 그리고 찬반 입장이나 대안 등을 생각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이다. 이러한 지식이 충분히 있어야 문제상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으며, 적절하고 타당한 추리가 가능하다.
주체 중심의 subject-centered
주파수 스펙트럼; 빈도 스펙트럼 frequency spectrum
주파수 점진 변화 탐지기; 주파수 훑기 탐지기; 오름내림 탐지기 frequency sweep detector 주파수가 급격하지 않게 증가하거나 감소할 때에만 발화하는 청각 피질의 뉴런.
주파수 튜닝 곡선 frequency tuning curve
주파수 특징; 빈도 특징 frequency characteristic
주파수에 대한 시간적 부호 temporal code for frequency 주파수가 신경충격의 시기에 의해 신호되는 부호. 시간적 부호의 한 예로 높은 비율의 신경 발화는 고주파를 신호하고 낮은 비율의 신경 발화는 저주파를 신호한다.
주파수에 대한 장소 부호 place code for frequency 청각체계 내의 최대로 자극된 장소에 의해 음조의 주파수가 부호화된다는 견해.
주파수영역 frequency domain 통신 및 제어 분야에서 이용되는 용어의 하나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시간 함수가 아닌 주파수 함수로 표시하는 평면. 반면, 시간 영역(time domain)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주파수 함수가 아닌 시간 함수로 표시하는 평면을 말한다.
주파수의 시기 부호; 주파수의 시간맞추기 부호 timing code for frequency 청각 자극의 주파수에 대한 감각 부호로, 자극 주파수는 신경 섬유들 혹은 신경 섬유 군의 신경 충격의 시기에 의해 신호된다.
주효과 main effect 한 독립변인의 효과가 다른 독립변인의 모든 수준에서 동일할 때
준비 preparation
준비반응이론 preparatory response theory CR과 UR간의 차이가 발견됨에 따라 점차로 준비반응이론(Preparatory Response Theory)이 생겨나게 되었다.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에서 학습되는 것은 US의 출현에 대해 유기체를 준비시키는 반응이라는 것이 이 이론의 기본 개념이다. 때로는 요구된 반응(즉 CR)이 UR과 거의 유사할 수도 있고, 다른 경우에는 UR과 좀 다를 수도 있다. 어쨌든 두 경우 모두 CR은 곧 일어날 일에 대해서 유기체를 준비시킨다.
준비성 연속선 continuum of preparedness 유기체가 어떤 것들은 학습하고 다른 것들은 학습하지 않는 경향이 유전적으로 만들어져 있다는 생각. 어떤 학습 상황에 처한 유기체는 그 학습을 하도록 유전적으로 준비되어 있거나(prepared, 이런 경우에는 학습이 빨리 일어난다), 준비되어 있지 않거나(unprepared, 이 경우에는 학습이 꾸준하지만 천천히 진행된다), 그 학습을 하지 않도록 준비되어 있다.
준비성 preparedness 학습심리학의 개념.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신체적·정신적 준비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어린이에게 학습을 시키려는 경우 그 어린이가 일정한 발달수준에 도달해 있어야만 한다.
준비성 readiness 동물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유전적으로 준비되어 있는 경향을 말하며, 이는 곧 동물이 어떤 것은 아주 쉽게 학습하는 반면, 다른 것은 아주 어렵게 학습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준비적 preparatory preparatory response theory를 보시오.
준비효과 warm-up effects 실험에 익숙해짐에 따라 최초 몇 시행 동안 아주 빠른 향상을 보이는 준비효과
줄 string 글을 가로나 세로로 벌인 것을 세는 단위.
줄기; 어간 stems 용언의 활용에서 변하지 않는 부분의 형태소.
줄무늬 피질 바깥 경로 extrastriate pathway
줄무늬 피질 바깥 시각 영역; 선조외 시각영역 extrastriate visual areas 시각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피질 영역으로, 선조 피질의 외부에 있다
줄무늬 피질; 선조피질 striate cortex 후두엽에 위치하는 피질의 시각 수용 영역.
줄무늬피질 바깥 extrastriate
줌렌즈 모형 zoom lens model 공간적 주의집중의 폭이 유기체의 필요에 따라 가변적이 될 수 있다는 주의모형 spotlight model
중 파장 medium-wavelength 가시 광선 영역인 400 ~ 700 nm 범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영역을 가리킨다. 특히 노랑-초록의 색 감각에 반응하는 추상체가 반응하는 영역과 관련된다.
중간계 scala media 내이의 와우각 속을 분할하는 세 방 중의 한 부분.
중간행동 interim behaviors 미신행동에 대한 설명에서 Staddon과 Simmelhag(1971)는 피험동물들이 초기에는 강화물 사이의 간격 동안에 특유한 패턴의 행동을 발전시킨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을 중간행동이라고 불렀다. 그렇지만 강화시간이 다가오면 먹이공급기 쪽에서 쪼는 행동을 하기 시작한다.
중계 변인 intervening variable 독립변인을 종속변인에 연결시키는 추상적 개념
중뇌 mesencephalon 뇌를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눌 때, 앞부분의 전뇌와 뒷부분의 후뇌 사이에 위치한, 뇌의 중앙부. 시개, 피개, 흑질 등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중뇌 midbrain 척추동물의 중추신경계의 한 영역. 중뇌수도를 둘러싸고 있으며, 중뇌개와 중뇌피개라는 두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뇌개; 시개 tectum 중뇌의 배측 부위에 있는 상구와 하구를 가리킨다.
중뇌보행영역 mesencephalic locomotor region 보행에 관여하는 망상체의 한 영역.
중뇌수도주변회백질 PAG 중뇌수도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물. 공격행동, 성행동, 통각의 처리 등에 관여한다.
중뇌수도주변회백질 periaque-ductal grey matter 중뇌수도 주변에 위치한 피개 회백질로 진통과 방여행동 역할을 하는 뇌의 부분.
중뇌피개; 피개 tegmentum 중뇌의 중간부분에 있으며 3번 및 4번 뇌신경핵, 망상체의 일부, 전뇌와 척수 또는 후뇌 사이의 일부 신경로등이 포함된 뇌구조물.
중다 비교 multiple comparisons 중다집단 실험에서 모든 가능한 처치 평균 짝간 차이의 평가.
중다수준 실험 multilevel experiment 독립변인의 수준이 셋 이상 포함된 단일변인 실험이다.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함수적 관계에 대해 알려주기 때문에 몇몇 연구자들은 이것을 함수적 실험(functional experiments)이라고 부른다.
중단이론 disruption theory 처벌의 효과에 대한 초기 이론(Estes, 1944; Guthrie, 1960; Skinner, 1953)으로서 처벌이 반응을 억압하는 이유가 혐오적 자극이 갖는 행동을 중단시키는 효과 때문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처벌이 충분히 강하면 효과가 지속적일 수 있으며, 행동과 수반적인 처벌이 더 효과적이라는 발견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중독 addictions 술, 담배, 아편 등 습관성 물질을 자주 즐김으로써 그것을 하지 않으면 정신적, 신체적으로 정상적인 상태를 갖지 못하게 되는 것.
중립점 neutral point 2색 색맹이 회색을 지각할 때의 파장.
중복 redundancy 중복 이득(redundancy gain)을 보라.
중복이득 redundancy gain 둘 이상의 과제나 정보가 상관되어 있을 때, 한 과제의 수행 혹은 정보처리는 다른 과제나 정보로부터 도움(이득)을 받게 되는데, 그 이득분을 중복이득이라 한다. 예컨대 색잉크로 쓴 색단어에서 색잉크의 색을 말하는 스트룹과제에서, 색단어와 색잉크의 색이 일치하면 과제가 더 쉬워진다.
중심 주파수 center frequency 소음 같은 복잡한 소리 자극에서 가장 높은 주파수와 가장 낮은 주파수 사이의 중간쯤에 위치한 주파수.
중심-주변 길항 작용 center-surround antaganism 중심-주변 수용장을 가진 신경절 세포의 흥분과정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이러한 속성을 지닌 신경절 세포는 흥분성 중심부분의 발화량에서 억제성 주변부분의 발화량이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전체 발화량이 결정된다.
중심-주변 수용장 center-surround receptive field 억제 영역으로 둘러쌓여 있는 대략적인 원모양의 흥분 영역, 혹은 흥분 영역으로 둘러쌓여 있는 대략적인 원모양의 억제 영역으로 구성된 수용장.
중심-주변 center-surround 신경절 세포의 수용장이 동심원(혹은 도넛)처럼 중신부와 중심부를 둘러싼 주변부로 구별되는데, 이 관계를 일컫는 이름이다.
중심-주변간 길항; 중심-주변 대립 center-surround antagonism 중심-주변 수용장의 중심과 주변 영역 간의 대립.
중심구 central sulcus 전두엽과 두정엽의 경계를 이루는 열구
중심와 forvea 가장 정교한 시각을 매개하는 망막의 중심 지점으로서, 추상체만 존재함
중심와 fovea 추상체만이 있는, 인간 망막의 작은 부분. 중심와는 시선(the line of sight)위에 위치하며 어떤 사물을 보았을 때 그것의 상이 중심와에 맺히게 된다.
중심화 시각 foveal vision
중앙경향성 central tendency 점수들 분포에서 중앙을 가리키는 기술 통계치; 평균치, 중앙치, 최빈치를 보라
중앙관리자 central executive 작업기억의 세 가지 성분 중 하나. 주의통제 및 판단과정을 개시하고 미래 행동 계획을 수립하며 언어 이해와 추론활동을 주관하고 장기기억으로부터의 인출 및 장기기억으로 정보를 전이시키는 작업 담당.
중앙치 median 집중 경향성의 측정; 분포의 중간 점수 또는 분포를 절반으로 나누는 점수
중의성 문장 ambiguous sentence 두 개 이상의 의미를 갖는 문장. 예를 들어, "영희는 철수와 영수를 때려주었다"는 문장은 '영희가' '철수와 영수를' 때린 것을 뜻할 수도 있고 '영희와 철수가' '영수를' 때린 것을 뜻할 수도 있다.
중의성 ambiguity 둘 이상의 의미를 가짐.
중이 장애 middle ear disorders 중이는 이소골 부위이다. 이소골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청력 장애를 말한다.
중이 middle ear 이도(auditory canal)와 청소골(ossicles)을 포함하고 있는 와우관(cochlea) 사이의 공기로 가득찬 작은 공간.
중이근 middle-ear muscles 중이의 청소골들에 연결되어 있는 근육. 인간의 몸에서 가장 작은 골격근으로, 매우 강한 소리에 대해 수축 반응하며 청소골의 떨림을 감소시킨다.
중이염 otitis media 중이의 감염.
중첩 overlapping 겹쳐지고 포개어짐.
중첩 overlap 깊이단서. 사물 A가 사물 B를 덮는다면, 사물 A는 사물 B보다 앞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첩 superposition 깊이지각에서 단안단서의 예; 두 물체가 중첩되어 가려져 보이면 가린 물체가 관찰자 가까이에, 가려진 물체는 관찰차 멀리 있는 것으로 지각된다.
중추신경계 CNS 뇌와 척수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뇌와 척수로 구성된다.
중추의 음높이 처리 기제 central pitch processor 음의 협음성분(tone's harmonics)의 패턴을 분석하고 그 패턴의 부분으로 가장 높게 추정되는 기본 주파수를 선택하는 가설적 기제.
중측두 피질 MT cortex MT를 보라.
중측두피질; MT MT 피질의 두정엽에서 좌측 혹은 우측 아래로 내려온 위치의 피질. 운동 정보를 처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파 색각결함; 제2유형 색맹 녹색맹 deuteranopia 중 파장에 민감한 추상체 시각 색소의 결핍으로 인한 적-녹색 이색시의 형태.
중파장 색소 medium-wavelength pigment 스펙트럼상의 중파장 빛을 최대한으로 흡수하는 추상체 시각 색소. 인간의 경우에 이 색소는 531nm일 때 최대한으로 흡수한다.
쥐-사람 역전 시연 rat-man demonstration “쥐같은” 혹은 “사람같은” 그림을 제시한 후 쥐 또는 사람으로 해석될 수 있는 그림을 보여주면 관찰자의 지각이 달라질 수 있다는 실례.
증강 strengthening 문제 해결 학습 과정 중 하나로, 한 조작자가 성공적으로 문제 상태를 바꾸었을 때 그 강도가 늘어나도록 한다. 증강과정 때문에 문제해결에 있어 한 조작자를 다른 조작자보다 더 선호하게 된다.
증강된 현실성 augmented reality 가상 환경과 관련된 기술로 가상적 장면들이 실제-세계의 장면에 첨가되어 제시된다. 증강 현실 기법에서는 전형적으로 외부 장면을 볼 수 있는 유형의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실제 장면 위에 가상적 대상들이 겹쳐져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된 현실훈련으로 착륙중 항공기 위치제어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증거 evidence 연구자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이론을 지지해줄 만한 자료에 해당하는 것
증상 대치 symptom subsitution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비판으로 제기된 것으로 증상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외적으로 드러난 증상만 치료하면 다른 증상으로 대치되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지행동치료가 정신역동이론만큼 증상의 원인을 다루는 치료법으로 인정될 수 있다는 증거들이 제시되었다.
증상 symptoms 환자가 직접 호소하는 질병이나 장애의 속성.
증상대체 symptom substitution 프로이드학파에 따르면 공포증과 같은 정신장애를 행동적으로 치료하는 것은 내재하는 병은 놔두고 한 증상을 다른 증상으로 대체하는 것일뿐이며 치료에 효과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즉, 뱀공포증이 성적 불안에서 시작되었다면 뱀공포증의 제거는 다른 공포증으로 대체되어 나타날 수 있다.
증폭 amplification 자극의 강도가 더 커지는 것. 예컨대 중이의 세 뼈(이소골)은 소리 자극을 22배 이상 증폭시킨다.
지각 기억 perceptual memory
지각 처리 perceptual processing 지각된 것을 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정신적 혹은 신경적 처리과정.
지각 항등성; 지각항상성 perceptual constancy 자극 조건이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남아있는 특별한 자극 속성(크기, 모양, 색채)의 지각.
지각 확인 검사 perceptual identification test 암묵기억 검사의 하나로, 각 단어가 짧은 시간 동안 제시되면그 단어를 식별하여 말해야 하는 검사.
지각 perception 감각 기관에 주어진 자극 혹은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의 정체나 사건, 환경의 구조와 변화 등을 알아차리는 것 혹은 그에 대한 연구.
지각발달 development of perception 지각 능력의 발달.
지각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constructivist approach to perception 어떻게 지각이 정신에 의해서 구성되는가에 초점을 맞춘 지각에 대한 접근. 정신 과정을 강조하는 이 접근은 Herman von Helmholtz와 Richard Gregory 등의 여러 사람이 관련되어 있다.
지각에 대한 생리학적 접근 physiological approach to perception 생리학적 과정과 지각 간의 관계에 근거한 지각과정에 대한 설명을 의미한다. 감각 체계의 생리학적 과정이 연구되기는 하지만 이것이 지각에 직접 관련되지는 않는 “순수” 생리학 연구가 지각에 대한 생리학적 접근과 관련되는 것이다.
지각에 대한 인지적 접근 cognitive approach to perception 지각이 어떻게 정신과정, 자극의 의미 그리고 관찰자의 지식과 기대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에 초점을 두는 지각에 대한 접근방법.
지각에 대한 정신물리학적 접근 psychophysical approach to perception 자극과 지각 간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해 정신물리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지각 접근법.
지각왜곡 perceptual distortion
지각의 모호 논리 모형 FLMP fuzzy logic model of perception. 다른 수많은 말소리 지각 현상과 마찬가지로, 범주 지각도 청각 형태의 특징들을 분류하는 문제의 하나로 이해될 수 있다. FLMP의 핵심 가정은 말소리 처리에서의 범주화는 다른 지각 상황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것과 같은 종류의 범주화 과정에 근거한다는 것이다
지각의 모호 논리 모형 fuzzy logic model of perception Massaro가 제안한 모형으로 말소리가 각 음절에서 전형적인 예와 비슷한 정도에 근거하여 분류하여 처리된다는 모형.
지각의 사적 특성 private nature of perception 지각 경험의 내용(예, 색깔 경험)은 경험자의 주관적인 내용이므로,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객관적으로 전달하기가 어렵다는 이론.
지각적 가설 perceptual hypotheses
지각적 경합 perceptual competition
지각적 군집화 perceptual grouping 작은 요소들을 큰 형태로 군집화하고 조직화하는 과정으로 본질적으로 지각적 조직화와 같다.
지각적 분리 perceptual segregation 한 사물이 다른 사물과 분리되어 보이는 지각적 조직화.
지각적 자력효과; 자력 효과 perceptual magnet effect 사람들이 특정한 음을 평가할 때 원형이 아닌 음에 비해 원형인 음과 비슷한 것으로 판단하는 효과(OWP 10).
지각적 표상 체계 Perceptual Representation System 일상생활에서의 여러가지 물체나 문자 등을 재인할 수 있게 하는 체계. 단어와 물체의 형태나 구조만 저장할 뿐, 단어의 의미나 물체의 용도와 이름 등에 관한 정보는 저장하지 않는다.
지각조직화; 지각체제화 perceptual organization 지각 장면에 있는 여러 형태 혹은 사물들이 더 큰 단위를 형성하는 현상. 여기에는 장면의 형(figure)과 바탕(ground)의 조직화와 집단화(grouping) 현상이 대표적이다. 지각 조직화의 결과로서 이전의 개별 요소들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출현 특징 (emergent feature)이 발견될 수 있다.
지각조직화의 법칙 law of perceptual organization
지각체제화 법칙 laws of perceptual organization
지각편향 perceptual biases
지각표상 percept 구성 요소들을 모두 통합함으로써 지각된 전체 표상.
지각학습 perceptual learning 학습의 역할이나 정신작용 가운데 비교적 지각이 중심이 되는 것. 학습의 역할이나 정신작용 가운데 비교적 지각이 중심이 되는 것. 일반적으로 근육운동학습과 연관지어 지각운동학습이라고도 한다. 교육현장에서는 빠르고 정확하게 보고 듣는 것이 중요하므로, 사물을 관찰하고 그 이름·형태·특성 등을 배우는 관찰학습이나 문자와 문장 등의 학습에 있어서 학교·공장·시청 등에 관하여 묻는 것은 지각학습에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지각학습은 잠재학습과 관련되고 지각운동학습은 숙련과 연습의 문제와 관련된다.
지각혼동 perceptual confusions
지도 supervised supervised learning을 보시오.
지도학습 supervised learning 지도 학습은 신경망을 학습시키는데 있어서 반드시 입력 x 와 원하는 목표치 d 의 쌍 (x, d) 가 필요하며, 이를 학습 패턴쌍 (training pattern pair) 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학습 절차는 학습 패턴쌍 (x, d) 를 입력하여 신경망의 출력 y 를 구하고, 그 차이에 근거하여 연결강도를 △w 만큼 변경한다. 변경된 연결강도 (w + △w)를 다시 비교하여 더 이상 연결강도가 변하지 않으면 학습을 종료한다.
지도훈련 supervised training supervised learning을 보시오.
지리적 방향 geographical orientation 방향에는 지리적 방향과 정밀한 방향의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지리적 방향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동서남북을 세분하여 16개의 방향으로 나눈 것이며 정밀 한 방향은 항상 필요로 하는 방향을 항상 정확하게 지시할수 있는 방향을 말 한다.
지배 결속 이론 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Chomsky의 원리 변수 이론(prin-ciples and parameters theory)의 다른 이름.
지속적 주의 sustained attention 한 과제나 대상에 주어를 계속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말하는 '집중'과 같은 뜻이다.
지수함수 power function
지시 instruction (무엇을 하라고) 일러서 시킴.
지식 마이닝 knowledge mining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이라고도 하며, 패턴 인식 기술뿐 아니라 통계적, 수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저장된 거대한 자료로부터 우리에게 유익하고 흥미 있는 새로운 관계, 성향, 패턴 등 다양한 가치 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지식 변형 knowledge transforming 글쓰는 이가 정보의 조직화를 계획하여 글 읽는 이가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쓰기 스타일. 즉, 이 책략은 글쓰기를 문제 해결 과정의 하나로 보는 것인데, 글 쓰는 이는 조직화를 어떤 식으로 하는 것이 자신이 나타내려는 생각에 가장 알맞은지를 계획하여야 한다. 자신이 하는 글쓰기 과제에서 그 전반적인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식을 검토하여, 자기가 가진 지식을 적극적으로 바꾼다. 따라서 글쓰기 자체의 행위, 특히 쓴 글을 훑어보고 바꾸는 일은 때로 글쓰기를 하는 사람의 편에서 새로운 통찰력을 갖게 해주는 것이 된다.
지식 습득 knowledge acquisition 새로운 정보를 LTM에 저장하는 것. 시연(또는 암송), 부호화, 그리고 심상화 전략들을 사용하여 지식 습득을 촉진시킬 수 있다.
지식 knowledge 사물에 관한 명료한 의식과 그것에 대한 판단 혹은, 배우거나 연구하여 알고 있는 내용, 또는 범위.
지식체제화 knowledge organization 장기기억내의 지식은 매우 체계적으로 조직화 되어있다. 예를 들어 도식이나 스크립트는 조직화된 지식의 예들이다
지연 경로 sustained channel
지연 표본대응 과제; 지연 표본-짝맞추기 과제 delayed matching-to-sample task 특정 자극(즉, 표본)이 제시된 후, 아무 자극이 없는 일정한 지연 기간을 두고 나서 둘 이상의 자극들이 제시되는데, 그 자극들 중 앞서서 제시되었던 자극에 대하여 반응해야 하는 과제
지연조건형성 delay conditioning 조건반응의 획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있다. 특히 자극을 제시하는 시간간격이 중요하다. 지연조건형성에서는 CS를 UCS에 앞서 제시하고 동시에 철회한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지연조건형성이고 가장 이상적인 시간간격은 0.5초라고 한다(Heth & Rescola, 1973).
지연조건형성 delayed conditioning CS가 US 이전에 시작되어서 US와 중복되게 되는 파블로프식 조건형성 절차. 예를 들어 버저를 5초 동안 울리면서 그 마지막 2초쯤에 사람의 눈에 공기를 분사하여 순막조건형성을 시킬 수 있다.
지연표본대응 delayed matching to sample 표본이 제시되고 나서 파지 기간 후에 그 표본에 대응되는 자극을 선택할 기회가 주어져 망각을 검사하는 한 방법으로 DMTS라고도 불린다(Blough, 1959). 피험동물의 망각을 연구하기 위한 절차로 예를 들면, 비둘기에게 세 원반을 제시하고 가운데 표본원반에 파란색 조명을 한 후 일정한 지연시간이 지난 후 양쪽 원반 중 어느 하나에 표본원반과 같은 색의 조명이 들어왔을 때 그 원반을 쪼면 강화가 주어진다.
지온; 지온; 기하소자 geon “기하학적 이온(Geometric ion)”: Biederman에 의해 제안된 3차원 모양(volumetric)의 기초 요소.
지적; 암시 indication 넌지시 알림, 또는 그 알린 내용
지프의 법칙 Zipf`s law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단어는 짧은 단어가 된다는 경향성.
지필 paper-and-pencil 설문지를 구성하는 형태로 주어진 질문에 응답을 기록하는 것
지향 과제 orienting task 자극의 특정 측면(물리적, 음운적, 어의적)에만 주의를 기울이라고 지시하는 과제. 제시된 단어에 대해 어떤 판단을 내려보라고 하고는, 그 단어에 대한 재생 검사가 나중에 실시될 것이라는 말은 해주지 않는 절차를 이용. 지향 과제를 수행하게 하는 목적은 발음이나 의미 같은 단어의 특정 측면에 관한 결정을 내리게 함으로써 그 단어에 대해 형성되는 기억 부호의 종류를 통제하려는 데 있다.
직관적 의사결정 intuitive decision making 의사결정유형의 하나로 빠르고 비교적 자동적인 의사결정 과정이 일어나는 것. 예를 들어, 도로 위의 장애물을 발견하고 자동차의 핸들을 돌리는 것
직교 분석 orthogonal analysis 요인분석 단계 중에서 최초의 해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한 과정인 요인의 회전방식 중 회전축을 직각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분석방법.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요인점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직각회전방식을 취해야만 요인점수들 간의 상관관계, 즉 multicolinearity를 방지할 수 있다.
직교 비교 orthogonal comparisons SS처치간을 k-1개의 중복되지 않은(“직교적”) 부분으로 나누는 것을 포함한 계획된 비교에 대한 접근
직교다항식 orthogonal polynomials 서로 수직인 다항식을 말하는 것으로 legendre, laguerre, chebychev 다항식이 있으며 이를 구하는 방법으로 Gram-Schmidt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직교성 orthogonality 정보의 독립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만일 두 비교계수들이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면, 두 비교계수들은 직교성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직렬계획 tandem schedule 일련의 단순계획들로 이루어진 복합 강화계획으로서, 그 중 마지막 계획이 완료되어야만 강화가 주어진다. 각 단순계획들은 상이한 자극들과 연관되지 않는다.
직무분석 mission analysis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하위목표와 목적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
직무분석 task analysis 연쇄 짓기에서 첫 번째 단계는 수행해야 할 과제를 그 구성요소로 분석하는 것인데, 이렇게 행동연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분석하면 정확한 순서대로 행동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직산 subitizing 몇 개 안되는 물체들은 일일이 세지 않고, 그 수를 바로 알(판단할) 수 있다. 이를 직산이라 한다. 그 범위는 5~6개 정도이다.
직선가속 linear acceleration 직선을 따라(즉, 일정 방향으로) 가속하는 운동을 말한다.
직접 경로 direct route 단어의 소리를 처리하지 않고 활자로 된 단어의 의미로 직접 접근한다는 가설.
직접 기억 검사 direct memory test 과거의 사건을 재생하거나 재인할 것을 요구하는 기억 검사로 외현적 기억의 척도이며,주로 개념 주도적이다.
직접 지각 direct perception 우리는 불변적인 것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수집하며, 지각은 더 이상의 처리를 요하지 않고 이 정보로부터 귀결된다는 J.J. Gibson의 이론.
직접 차이법 direct difference method 상관집단이나 반복측정 t 검증을 위한 계산법.
직접음 direct sound 음원으로부터 귀로 직접 전달되는 소리.
직접적 난독증 direct dyslexia 글을 크게 읽을 수는 있지만, 자신이 소리내어 읽고 있는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증상
직접적 반복 검증 direct replication 똑같은 결과가 얻어질 것인지 결정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비슷하게 실험을 반복함
진동 측정기 tonometer 눈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진리 조건적 의미론 truth-conditional semantics 의미에 관한 철학적 견해로, 의미란 상징과 세상에 있는 대상 모형 사이의 관계라고 설명한다. 진리조건적 의미론은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대응물들을 표상하는지에 관해서는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객관적인” 견해라고 알려져 있다. 대신 의미를 객관적인 상황과 실체에 관련된 추상적인 개념이라고 간주한다.
진보적 귀납 liberal induction 매우 적은 증거, 때로는 한 예만으로 일반화하기.
진실한 지각 veridical perception 지각의 특성을 일컫는 말로서, 지각의 결과는 대체로 사실 혹은 실재와 부합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착시, 착각에서 보듯이 지각이 반드시 진실한 것은 아니다.
진피 dermis 신경의 끝부분(nerve ending)과 감각기를 가진 피부의 내부 층(inner layer).
진행하는 스펙트럼 자극판; 연속 스펙트럼 표시 running spectral display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말 자극에 있는 주파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수많은 단기 스펙트럼들을 가지런히 늘어놓은 말 자극의 표상 방식
진화 evolution 하나의 집단에서 여러 가지 유전자의 빈도가 세대에 걸쳐서 변화하는 것; 모든 유전자는, 뇌에 직접적인 효과를 내거나 다른 기관에 간접적인 효과를 내어 행동에 영향을 주거나 간에 자연선택을 통해 진화하게 된다.
진화적 접근 evolutionary approach 진화적 접근(Calvin, 1990; Dennett, 1996)은 현존하는 인간마음 과정 자체의 이해를 직접적으로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종들의 인지과정들이 진화 역사에서 어떻게 발달하였는가를 이해함으로써 인간 인지에 대한 이해를 간접적으로 얻고자 하는 하나의 설명적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질적 설계 qualitative designs 사건들이 쉽게 숫자로 변환되지는 않는 설계방법.
질적 qualitative 내용이나 본질에 관계되는 것을 의미.
집단 내 변량 within-groups variance 한 실험에서 같은 집단 내에 있는 피험자들 간의 분산의 측정
집단 선택 group selection 동물의 이타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생겨난 개념으로서, 종 내의 어떤 집단은 서로에게 이타적이고 어떤 집단은 그렇지 않을 경우, 이타적인 집단이 살아남고 비협동적인 집단은 살아남지 못한다는 것이다.
집단 실험 group experiment between subject experiment(피험자간 실험)을 보시오.
집단 group 많은 사람이나 동물, 또는 물건이 모여서 무리를 이룬 상태.
집단간 변량 between-group variance 개별 집단 평균과 실험에서 얻은 모든 점수들의 전체 평균과의 차이에 관한 추정치.
집단간 변량 between-groups variance 실험에서 집단간의 분산의 측정치
집단내 변량 within-group variance 집단내의 참가자들이 서로 얼마나 다른가(또는 집단의 평균)에 대한 추정치
집단화 효과 grouping effect
집단화 grouping
집중 concentration 특정한 과제 혹은 활동에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주의를 주는 것. 좀더 전문적으로는 지속적 주의, sustained attention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집중사격 burst 여러 신경섬유가 한꺼번에 흥분하는 것.
집중한계공리 central limit theorem 표본 평균의 표집분포의 특성(평균 및 편차 점수)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학적 공리.
징후 signs 훈련을 받은 임상 전문가나 관찰가의 눈에 보이는 이상 징후 혹은 장애의 징표 (이에 비해 증상은 환자가 직접 이야기하는 내용임).
짝지은 집단 설계 matched-groups design 종속변인과 상관이 된다고 가정된 어떤 변인에 대하여 피험자를 짝지은 후 조건들에 무선 배정시키는 실험 설계
짝짓기 matching 피험자 변인과 짝지은 집단 설계를 보라
'진화의 새로운 백터-----진과 밈 > 두뇌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심리사전 -ㅋ-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0) | 2009.01.21 |
---|---|
뇌심리사전 -ㅊ-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0) | 2009.01.21 |
뇌심리사전 -ㅇ-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0) | 2009.01.21 |
뇌심리사전 -ㅅ-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0) | 2009.01.21 |
뇌심리사전 -ㅂ-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0) | 2009.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