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각파 격자; 사각파 줄무늬 square-wave grating 사각파 강도 분포를 가진 줄무늬 자극
사각파 square wave 예컨대 흑백의 줄무늬가 교대하는 패턴의 단면을 강도로 표시하면, 요철 모양의 그래프로 표시된다. 이처럼 강도의 그래프가 사각형이 엇갈린 모양(즉, 요철 모양)의 공간주파수 패턴을 말한다.
사건 관련 전위 event-related potentials 뇌파 측정의 한 방법으로, 동일한 자극을 반복 제시하고 각 자극에 의해 유발된 뇌의 전위드를 평균하여 측정치를 얻는 것.
사건 의존적 event-based 행위가 수행되기 위해 외부적 사건이나 단서가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사건 지각 event perception
사건 특수적 지식 event-specific knowledge 일반사건이나 인생기간보다 훨씬 짧은 기간 동안의 특정 경험을 말한다. 사건특수적 지식은 주로 심상이나 감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일반사건의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사건관련 전위 ERP 뇌전위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뇌활동에 대한 측정치. 특정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발생하며, 동일한 자극을 반복 제시하고 각 자극에 의해 유발된 전위들을 평균하여 측정치를 얻는 기법이다. 따라서 평균 유발전위(average evoked potentials)라고도 불린다.
사건관련전위 event-related potential 동일한 자극을 반복 제시하고 이들의 평균 전위를 획득하여 측정치를 얻는 기법이다. 이 ERP 기법은 시간 경과상의 두뇌활동의 특성을 반영하여 인지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대체로 초기의 ERP들은 자극의 특성을, 반응지연시간이 긴 후기의 ERP들은 피험자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다고 본다. 자극 제시 후의 정보처리 과정상에서 개인의 주의, 기대 등의 인지적 정보처리의 미세한 차이가 이러한 ERP들을 사용하여 측정되어진다.
사건기억 event memory 특수한 사건에 대한 기억으로 일화기억은 개인적인 사건기억에 관한 것이다.
사고 thinking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그 결론에 이르기까지의 심리 작용.
사고의 적응적 통제 adaptive control of thought
사고장애 thought disorder 정신분열증의 주요 증상으로서, 산만하고 비논리적인 사고가 특징이다.
사람 hominid 사람과의 동물(현대 인간과 모든 원시 인류)
사례사 case history 어떤 특정 사례에 대하여 일어난 일들을 자세하게 조사함으로써 해당사건이나 현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조사방법
사례연구 case study 어떤 행동의 특정한 경우 또는 사례에 대한 집중적인 조사; 원인과 효과에 대한 추론을 허용하지 않고 단지 기술에 그친다
사상판 cribriform plate 뇌의 문측 기저부에 있는 골격구조로서, 후각수용기의 세포체가 위치하고 있는 후점막이 이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사스 SAS 통계분석 패키지의 일종
사시; 사시 strasbismus 눈 균형간 협응 문제
사시 strabismus 눈 근육의 불균형이 두 눈 간 협응을 망가뜨린 상태
사실 인출 fact retrieval 기억되어 있는 사실 내용들을 재생해내는 것.
사실-지향적 학습 fact-oriented acquisition 문제에 대한 적용보다는 사실적 지식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재료를 부호화하는 일
사실 facts 가설이란 일시적 잠정적인 작업의 원리로서 그 가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경험적 검증이 요구된다. 만약 경험적 증거가 그 가설을 지지한다면, 그 가설은 사실의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
사실 fact 경험적 증거가 가설을 지지할 때 그 가설은 사실의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
사영; mapping 망막이나 피부의 자극점의 위치나 청각에서의 소리의 고저 등이 감각 피질의 신경세포에 체계적으로 대응되는 것을 말한다.
사용성 검수 usability inspection 전문 분석가들이 나름대로의 가이드라인 혹은 평가 목록에 따라 사용성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이 방법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드나, 상호관련성 및 심층적 문제점이 간과될 수 있다.
사용성 usability 사용자가 시스템을 얼마나 잘/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의 측면을 가리켜 사용성이라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사용자와 시스템이라는 두 측면의 사이에서 둘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 장치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휴대폰의 액정 화면이나 단추들은 물론 ‘글’ 소프트웨어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메뉴나 체제 등이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속한다.
사용자-중심 user-centered user-friendly를 보시오.
사용자-친화적인 user-friendly 사용자가 시스템의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사이버 공간 cyber space 인터넷이 만들어내는 정보활동 공간을 말하며, 이제 사이버공간은 단순히 정보를 주고 받는 정보통신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 경제, 문화의 공간이 되어가고 있고, 나름대로의 가상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독특한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사이버 공간 cyberspace 실재하는 현실의 세계가 아닌 컴퓨터 혹은 인터넷과 같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형성된 컴퓨터들간의 사이에 혹은 그 내부에 형성되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함
사이버 멀미 cybersickness 가상 환경에서의 운동 멀미감은 때로 “가상 환경에서의 사이버씨크니스(cybersickness in VE)”라고 불리기도 한다. 운동 멀미감의 주요 증상은 메스꺼움, 어지러움 혹은 방향상실 등이다.
사이버 cyber 사이버(cyber)란 말은 인공두뇌학을 의미하는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라는 용어로부터 차용한 것이고 윌리엄 깁슨(William Gibson)이 자신의 소설에서 사이버 공간(cyber space)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함으로써 일반 대중들에게 소개되었다. 현재는 인터넷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교육이나 상거래 또는 범죄 등의 사회현상을 나타내는 말로 알려져 있다.
사이버네틱스 cybernetics 생물체의 행동과 통신기계의 동작간의 동형성(同型性) 가정에서 출발하여 기계와 동물의 정보전달의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
사인파; 정현파; 정현파 사인 곡선 sine wave
사전단서주기 precueing 표적이 제시되기 이전에 미리 단서를 주는 것.
사전적 지식 dictionary knowledge 어휘 지식, 개념 지식.
사전차폐 premask
사지실행증 limb apraxia 팔과 손, 그리고 손가락의 운동에 문제가 있는 장애
사회과학 인용지표 SSCI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로 계간으로 발행되며 과학정보기구(Institute of Scientific Information)에 의해 매년 집적되고 모든 사회과학 분야의 1400개 잡지들에 포함된 논문을 수록하고 있는 인용색인.
사회과학인용지표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계간으로 발행되며 과학정보기구(Institute of Scientific Information)에 의해 매년 집적되고 모든 사회과학 분야의 1400개 잡지들에 포함된 논문을 수록하고 있는 인용색인.
사회생물학 sociobiology 이타행동 같은 사회적 행동의 진화에 대하여 기능적인 설명, 즉 하나의 행동이 왜 유용하고 자연선택이 왜 그것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다루는 학문
사회인지이론 social cognitive theory Bandura(1978, 1986)에 의해 제안된 이론으로 사회적 상황에서의 학습은 환경, 개인 변인과 행동간의 삼원적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학습에서 중요한 것은 사회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모델링과 조금만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학습자의 신념 즉, 지각된 자기효능감이다.
사회적 강화물 social reinforcers 학습에 사용될 수 있는 강화물에는 음식, 장난감 등과 같이 물건으로 보상하는 물질적 강화물, 칭찬, 미소, 안아주기와 같은 사회적 강화물, 별표, 스티커 등을 모아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토큰 강화물이 있다.
사회적 모방법 method of social imitation 사람들이 공포증을 극복하게 돕는 기법으로서 모델이 그들이 공포스러워하는 대상과 아무런 해를 입지 않으면서 상호작용하는 것을 관찰하게 하는 것이다. 토끼에 대한 공포증에 이러한 절차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Mary Cover Jones(1924)이다.
사회적 바람직성 social desirability 조사연구에서 피험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반응을 하는 경향을 말함.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한 편향 social desirability bias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대답하는 경향.
사회적 분산 인지 social distributed cognition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적 자원을 공유하고 협동 작업을 하는 분산인지의 한 형태. 어떤 정보를 인터넷 게시판에 올려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이 사회적 분산인지의 사례
사회적 태만 social loafing 사람들이 집단 속에서 덜 열심히 일하는 현상. 사람들이 집단으로 일할 때 종종 자신의 노력에 대해 “고삐를 늦추는”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집단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일부의 사람들에게 일을 떠넘기려는 의도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사후 소급 ex post facto 말 그대로 사실 후; 실험에서 실험 전에 결정되어지지 않고 어떤 조작이 자연적으로 발생되어진 후에만 정해지는 조건들을 가리킴
사후검증 post hoc tests Posteriori Tests 혹은 post hoc tests. 비교가 실험을 수행하기 전에 계획될 때 처치 평균간 비교를 허용하는 계산 절차.
사후검증 posteriori tests 비교가 실험을 수행하기 전에 계획될 때 처치 평균간 비교를 허용하는 계산 절차 .
사후비교 post-hoc comparison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가 나타나서 이에 대한 부분적인 비교분석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계획되지 않은 비교를 의미함
사후설명 debriefing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에게 실험에 대한 모든 상세한 내용을 설명해 주는 절차로 모든 연구자의 윤리적 의무이다.
삭제와 증식 deletion and accretion 깊이지각의 단서 중 하나. 이 단서는 중첩과 운동시차가 결합된 것으로서 모서리에서의 상대적 거리를 정확히 판단하는데 유용하다.
산출규칙 production rule 특정 행위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충족되어야 하는 사전 조건을 명시하는 조건적 규칙.
산포도 scatter diagram 상관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 두 변인에 대한 개인들의 점수를 도표화해서 두 변인간 관계의 정도를 나타내주는 그림
산포도 scatterplot 각 축에 나타난 변인들의 값들로 결정된 위치에 자료를 표시하는 방법
삼단 논법 syllogism 두 개 이상의 전제에서 직접 관련되지 않았던 항목들간의 관계에 대해 결론을 내리거나 주어진 결론이 연역적으로 타당한지 판단하는 추리.
삼단논법 syllogisms 두 개 이상의 전제에서 직접 관련되지 않았던 항목들간의 관계에 대해 결론을 내리거나 주어진 결론이 연역적으로 타당한지 판단하는 추리.
삼단논법추리 syllogistic reasoning 두 개 이상의 전제에서 직접 관련되지 않았던 항목들간의 관계에 대해 결론을 내리거나 주어진 결론이 연역적으로 타당한지 판단하는 추리.
삼원 변량분석 three-way ANOVA 세 개 요인의 처치에 평균차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가설검증방법
삼원색이론 trichromatic theory 1802년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의사인 Thomas Young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각기 다른 파장에 최대로 민감한 세 유형의 추상체의 상대적인 반응 비율에 의해서 색채를 지각한다는 이론.
삼환계 항우울제 tricyclic antidepressant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이 종말단추로 재흡수되는 과정을 억제하여 우울증을 치료하는 약물
삽입 규칙 insertion rule Dell의 상호작용 이론에서 가정하는, 각 수준(의미, 통사, 형태소, 음운 수준)의 처리과정을 구체화하는 처리 기제 중 하나. 이 규칙은 각 수준의 표상에 어떤 항목을 선택할 것인지를 가정하는데, 범주 규칙에 만족하는 항목 중에서 가장 활성화 수준이 높은 항목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통사 수준에서 동사 범주를 표상에 포함시키고자 할 때 동사 중에서 가장 활성화 수준이 높은 동사를 표상에 포함시킨다.
상 올리브 핵 superior olivary nucleus 달팽이관에서 청각피질에 이르는 청각 경로에 존재하는 핵. 이는 와우핵으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상(常)염색체 autosomal chromosome
상관 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 -1.00에서 +1.00까지 변할 수 있는 수로 두 변인사이의 관계 정도를 가리킨다
상관 연구 correlational research 두 변인의 관계의 정도와 방향성을 보여주는 관계 연구
상관 correlation 두 변인사이의 반드시 인과적이 아닌 관계된 정도에 대한 측정
상관물 correlates
상관비 correlation ratio 곡선적 상관을 기술하는 방법으로 eta 계수라 한다.
상관집단 설계 correlated groups design 반복측정 설계(repeated measures design)와 유사한 설계방법. 단, 통제 및 실험 집단의 피험자들이 서로 짝지어지긴 하나 동일한 피험자가 아닌 점이 반복측정설계와 다름.
상구 superior colliculus 눈운동 조절에 중요한 뇌의 기조부에 있는 구조. 시신경 내의 신경 섬유중 일부는 상구에서 시냅스를 이룬다. 중뇌의 상부에 있는 돌출부로 시각계의 일부이다.
상기 reminiscence 파지 간격 후에 기억 수행이 향상되는 것.
상대 균형화 conterbalancing 실험에서 검사시간의 효과를 골고루 분포시키기 위하여 조건들의 순서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어떠한 기법들이든지를 지칭함
상대가설 alternative hypothesis 영가설에서 공식적으로 진술되는 동등성(equality)에 상반되는 논리적 상태.
상대빈도 relative frequency 특정한 급간 내에 떨어지는 자료집합에서의 점수 비율
상대역 relative threshold 다른 역치에 비례하여 표현되는, 겨우 탐지될 수 있는 자극 에너지량. 예를 들어, “500-nm의 빛을 탐지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양은 540-nm의 빛을 탐지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양보다 두배 높다.”(
상대적 가치이론 relative value theory 강화물을 자극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고, 다른 행동들에 대한 그 행동의 상대적 확률에서 강화물의 효과의 원인을 찾는 강화 이론. 어떤 특정 순간에 서로 다른 종류의 행동은 상대적으로 서로 다른 가치를 가지며 하나의 행동이 다른 행동을 강화할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그 행동들의 상대적 가치만을 알면 된다(Premack, 1965).
상대적 불응기 relative refractory period 활동전위가 일어난 직후, 축색이 새로운 활동전위를 일으킬 수는 있으나 그러기 위해서는 평소보다 더 강한 자극을 필요로 하는 기간. 나트륨 통로는 보통 상태로 돌아가 있지만 칼륨 통로는 아직도 열린 상태이기 때문이다.
상대적 운동 relative movement
상반행동차별강화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incompatible behavior 원치 않는 행동에 상반되는 반응이 체계적으로 강화를 받는 강화계획의 한 형태. 약자로는 DRI. 예를 들어, 학생들이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지 않고 왔다갔다하는 학급을 맡은 교사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책상에 앉아 있는 것은 교실 안을 돌아다니는 것과 양립 불가능하다. 즉 그 중 하나를 하고 있다면 다른 것을 하기는 불가능하다. 교사가 자기 자리에 앉아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칭찬하거나 그들에게 말을 걸면, 학생들이 자기 자리에 앉아 있는 시간이 증가하게 마련이다. 그렇게 되면 돌아다니는 시간은 필연적으로 감소될 것이다.
상승작용 synergism 종속변인에 대해 독립적으로 취해진 각 변인의 개별적 기여도보다 더 큰 효과를 일으키는 두 실험변인의 상호작용.
상염색체 유전자 autosomal gene 성연관 유전자와 한성 유전자 포유류의 염색체는 한 쌍만 제외하고는 모두 상(常)염색체(autosomal chromosome)이고, 이들 염색체 상에 있는 유전자는 상염색체 유전자(autosomal gene)로 불린다.
상올리브복합 superior olivary complex 와우핵으로부터 청각정보를 받아들이는, 연수에 위치한 구조물
상위 수준 범주 superordinate category 범주의 위계적 조직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 큰 범주로, 가구, 연장, 운송 용구 등이 그 예이다. 이 수준에서는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속성이 거의 없다.
상위인지 metacognition '자신의 인지 또는 사고에 관한 지식'과 '자신의 인지 또는 사고에 관한 조절, 조정'의 두 가지 측면을 포함하는 인지를 말한다. 전자는 자신의 사고상태와 내용, 능력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초인지적 지식)을 말하며, 후자는 문제해결 과정에 있어 계획하고, 적절한 전략을 선택·사용하고, 과정을 점검·통제하고, 결과를 반성·평가하는 사고기능(초인지적 기능)을 말한다. 초인지의 연구에서 두 가지 측면이 다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사고과정이나 문제해결 과정을 점검·조정하는 집행적 인지과정으로서의 초인지적 기능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초인지의 동기적 성격에 대해서도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이는 1970년대 이후에 제시된 개념으로, 기억, 이해, 주의집중,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상위집합 superset 다른 집합들을 포함하는 집합.
상징 접근 symbolic approach 1980년대 중반 연결주의 접근이 등장하기 전까지 문제해결 분야를 지배해 온 접근으로 인간의 사고가 필연적으로 상징적 심성활동이라고 주장하며, 각 지식은 장기기억의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표상되어 있다고 본다. 또한 정보처리 흐름을 제어하는 중앙집행기를 가정하고 있으며, 따라서 상징접근은 순차적인 정보처리에 의한 판단을 강조한다. 상징접근에서 문제해결이란 문제에 관한 분명한 표상을 만들고 (문제공간) 여기서 출발 상태에서 목표 상태로 이르는 경로를 검색하면 된다.
상징 symbol 어떠한 사상이나 개념 등에 대하여, 그것을 상기시키거나 연상시키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감각적인 말로 바꾸어 나타내는 일, 또는 그 사물이나 말.
상징적 symbolic 언어 정의에 필요한 측면 중 하나로, 아이디어를 표상하기 위해 말소리나 표기된 단어 같은 기호를 이용하는 것을 뜻한다.
상측구; 상측열 superior temporal sulcus 대뇌의 상측 측두열. STS.
상태 의존적 학습 state-dependent learning 내적 단서가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예로써,특정한 생리적 상태(예컨대 알코올에 취했을 때)동안에 일어나서 그 상태가 지나가면 상실되는 학습.
상태의존적 기억 state-dependent memory 원래 사건이 일어났던 당시에 경험했던 무드를 재연하는 것이 회상에 도움이 되는 현상. 즉,약호화 과정의 정서와 인출시의 정서상태가 동일하면 회상이 증가.
상하처리; 하향식 처리 top-down processing 자극이 제시된 맥락 같은 높은 수준의 정보 분석과 더불어 시작되는 처리과정.
상해탐지기 nociceptor 피부에 해를 입히는 자극에 반응하는 섬유
상향 처리 bottom-up processing 먼저 기초요소와 같은 세부 단위를 분석함에 의해 지각을 구성하는 과정. Treisman의 처리의 전 주의단계는 상향처리 과정의 예이다
상호 배타성 가설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아이들이 한 대상은 단지 한 개의 이름만 가진다고 가정하는 경향성. 아이들이 새로운 단어를 배울 때, 그 단어의 의미와 그 단어로 가리키는 대상은 아직 이름을 모르는 대상이라고 생각하게 되므로 새로운 단어에 의미를 할당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상호 보상 처리 interactive compensatory processing 글 읽는 능력이 모자란 사람들이 단어를 소리내어 읽어보지 않고 맥락에 근거하여 그 단어가 무엇인지 추리해내려고 하는 경향성.
상호 이타주의 reciprocal altruism 동물들이 자신의 도움에 보답할 수 있는 다른 동물들을 돕는다는것
상호 작용적 모형 interactive model 문장 이해는 여러 하위 처리기들의 동시 병렬적 작업과 이들간의 광범위한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모형. 하위 처리기에는 정보의 수준에 따라 음운처리기, 단어처리기, 통사처리기, 의미처리기 등이 존재하는데, 이들간의 정보 처리 흐름은 양방향적이다.
상호배타적 mutually exclusive 두 사건이 상호배타적이라는 것은 두 사건 중 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이 두 사건이 일어날 단순확률의 합과 같다는 확률이론.
상호성 견해 interactive view 언어와 다른 인지 과정이 처리의 모든 단계에서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
상호작용 대비 interaction contrast 두개의 단순비교들, 즉 요인 A의 비교들과 요인 B의 비교들을 조합하여 상호작용을 보다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즉 상호작용대비는 전반적 상호작용의 모든 가능한 2×2행렬에 대한 세부분석이다.
상호작용 이론 interactive theory
상호작용 interaction 한 독립변인의 효과가 다른 독립변인의 수준에 의존할 때 발생하는 실험 결과
상호작용비교 interaction comparison 한 처치효과가 다른 처치에 따라 달라지는 상호작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수많은 부분요인분석을 지칭함.
상호작용적 활성화 모형 interactive activation model McClelland & Rumelhart(1981)에 의해 제안된 정보처리 모형으로, 정보처리는 기본적인 처리 단위인 마디와 이 마디들을 이어주는 연결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마디는 하나의 신경 세포와 같은 것으로 그 활성화 수준은 입력에 따라 변화하는데, 입력에는 흥분성과 억제성이 있다. 어떤 시점에서의 한 마디의 활성화 수준은 그 시점에서의 모든 흥분성 입력의 총합에서 억제성 입력의 총 합을 뺀 값에 비례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그 움직임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상호작용효과 interaction effect 변인들이 서로 영향 주는 방식. 한 실험 변인의 효과가 다른 실험 변인의 수준에 의해 영향받을 때 발생함.
상황 모형 situational model Kintsch의 담화 표상의 세 수준 중 하나. 텍스트에서 전달되는 문장들이 복합적으로 기술하는 상황을 표상한 것으로, 텍스트 내의 사건이나 행위들의 원인과 동기를 설명하고 텍스트의 총체적 내용과 주제를 반영한다. 이는 텍스트에서 주어지는 정보가 사전지식의 도움으로 정교화되어 통합된 표상으로, 깊은 수준의 이해와 관련된다.
상황 지어진 인지 situated cognition 문제 해결이나 학습과 같은 인지 활동들이 상황과 맥락에 의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지능적 행동은 한 개인의 인지적 표상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도구나 환경단서 아니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의존함을 강조한다. 즉, 덧셈이나 뺄셈을 잘 못하는 사람도 파티에서 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눌 수 있고, 거스름돈을 주고받는 데 전혀 문제가 없다. 아이들도 자신이 잘 풀지 못하는 문제에 봉착했을 때 혼자 고민하는 대신 눈짓이나 그 밖의 방식으로 적절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상황모형 situation model 글 속에 묘사된 상황에 관한 이해를 구축하기 위해 사전 지식과 글 속 정보를 통합해 놓은 것.
상황자각 situation awareness 직면한 “상황”에 대한 자각을 말하며(Endsley, 1995; Garland & Endsley, 1995) 선택적 주의에 의해 걸러진 외부 단서(상향 처리)나 장기기억의 세상지식(하향처리)에 근거하여 현재나 앞으로의 세상 상태에 관한 가설을 만들어 내는 기초가 됨
색 대립 세포 color-opponent neurons
색 대응실험 color matching experiment
색 명명 color naming
색 입체 color solid
색 지각; 색채 지각 color perception
색 표면 color surface
색 혼합 color mixing 새로운 색을 만들어내기 위해 둘 혹은 그 이상의 색을 섞는것
색검색 color search
색동화 color assimilation 인접한 두 색의 색상이 서로 가까운 방향으로 지각되는 현상. 배치에 따라 어느 한 색의 색 동화만 일어날 수동 있다.
색맹 Daltonism 비정상적인 색경험을 기록한 Dalton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자세한 것은 blindness를 참조하시오.
색맹 color blindness 색을 보지 못하는 시각 이상. 단색시, 이색시, 완전 색맹 등이 있다.
색부호화 color coding 신속한 위치 찾기(localization)에서 색으로 부호화된 표적은 빠르고 쉽게 눈에 띈다. 그러므로 표시판 내의 표적이나 핵심 요소를 색부호화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다
색상; 색 color 사물과 빛이 빨강,초록, 흰색 등과 같은 성질을 갖도록 하는 지각적인 반응
색상 hue 빨강, 초록, 노랑, 파랑 또는 이들 색의 혼합색과 같은 유채색의 경험(experience)
색소 재생 pigment regeneration 시각 색소 분자가 탈색된 상태에서 원래의 탈색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되는 것
색소 탈색; 탈색; 색소표백 pigment bleaching 시각 색소 분자가 빛을 흡수할 때 시작되는 과정. 분자는 모양을 바꾸고, 간상체 시각 색소의 색도 빨간 색에서 투명하게 바뀐다. 가끔 이 과정의 초기에 시각전도가(transduction) 난다.
색소 pigment
색소결핍증 albinism 무색소 피부, 흰 머리카락 및 분홍색 망막의 눈을 가지고 태어나는 증상.
색소상피 pigment epithelium 망막 아래 안구의 안쪽에 줄지어 있는 세포층
색인 index 책 속의 낱말이나 사항 등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일정한 순서로 배열해 놓은 목록. 찾아보기.
색정상인; 삼색시자 trichromat 스펙트럼내 다른 파장을 만들기 위해 세가지 파장이 필요하나 일반적인 삼색시와는 다른 비율로 이들 파장을 섞는 것이 필요한 사람
색지각의 대립과정설 opponent-process theory of color vision 우리의 색지각은 두개의 대립하는 기제(파랑-노랑 기제와 빨강-녹색 기제)의 활동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 각 기제에서 두 색에 대한 반응은 각각 대립되며, 하나는 흥분 반응을 다른 하나는 억제 반응을 한다(이 이론은 또한 흑-백 기제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기제는 밝기지각과 관련된 것이다)
색지각의 레티넥스 이론 letinex theory of color perception
색채 대비 color contrast 특히 보색 관계에 있는 두 색을 동시에 나란히 두거나, 순차적으로 교대 제시하면, 각 색이 더 선명하게 지각된다. 이처럼 다른 색의 영향으로 어느 한 색의 채도가 높게 지각되는 것을 말한다.
색채 선별적 순응 selective adaptation for color
색채 순응 chromatic adaptation 유색광(chromatic light)에 대한 눈의 순응. 색채 순응은 가시 스펙트럼의 특정 부분의 파장에 대한 선택적 순응이다
색채 항등성 color constancy 우리의 색지각이 다른 스펙트럼 민감도를 가진 세 개의 추상체 수용기 기제의 활동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하는 이론
색채시 결함; 색각 결합 color deficiency 색각 결함이 있는 사람들(가끔 ‘색맹’이라고 불리운다)은 정상적인 색각을 갖은 사람들보다 더 적은 수의 색을 보며, 스펙트럼 상의 한 파장과 같도록 만들때 더 적은 수의 파장을 혼합해야 한다
색채시 color vision
색채시의 삼원색설 trichromatic theory of color vision 우리의 색지각이 다른 스펙트럼 민감도를 가진 세 개의 추상체 수용기 기제의 활동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하는 이론
색체 지각의 영-헬름홀쯔 이론 Young-Helmholtz theory of color vision ‘색채시각의 삼원색 이론’을 볼 것
색환; 색원 color circle 색을 원의 둘레에 늘어 놓은 것(배열). 일반적으로 보색관계에 있는 색을 대척점에 배치시킨다.
생략훈련 omission procedure 생략훈련은 강화가 정적 보상에 기초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벌훈련과 유사하다. 쥐가 먹이를 얻고자 일관성 있고 고정적으로 지렛대를 누르도록 보상훈련을 사용했다고 가정할 때 갑자기 지렛대를 누르는 것이 더 이상 강화를 받지 못하고 지렛대를 누르지 않으면 강화를 바꾼다. 즉, 지렛대를 누르지 않고 5초가 지나면 먹이가 주어지도록 하면 쥐는 먹이를 얻기 위해 반응을 생략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생리적 기제 physiological mechanisms 감각이나 지각 현상을 발생시키는 신경생리학적인 장치 혹은 그런 이유.
생리적 physiological
생물진화 organic evolution 진화를 보시오.
생물학적 리듬; 생체리듬 biological rhythm 유기체의 수면이나 각성상태의 주기.
생물학적 시계; 생체시계 biological clock 수면 혹은 철새의 이동과 같은, 규칙적인 스케줄에 따라 일어나는 행동을 통제하는 내적인 기제. 동물의 일주율은 빛이 없어도 지속되기는 하지만, 빛은 그 리듬의 기초가 되는 생체시계(biologi-cal clock)를 주기적으로 재설정하는 데 결정적인 것이다.
생물학적 운동; 생물학적 운동 biological motion biological movement를 보라.
생물학적 운동 biological movement 생물체에 의해 만들어지는 움직임. 생물학적 운동에 관한 대부분의 실험에서는 자극으로 관절과 팔,다리에 발광체를 붙이고 걸어가는 사람을 사용했다
생산적 사고 productive thinking 문제의 ‘심층구조’를 이해하여 문제에 대한 가능한 새 해결책을 생성하기.
생성 규칙 production rules 어떤 특정 조건하(IF)에서 어떤 행위가 수행되어야(THEN) 하는지를 규정하는 규칙. 산출 규칙은 조건(condition) 부분과 행위(action)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자는 ‘만약’ 절에, 후자는 ‘다음에’ 절에 해당한다. 산출규칙의 조건이 충족되면 행위가 수행된다.
생성 전략 generation strategy 심상을 통한 발명 과정에서 발명-전 모양을 생성하는 전략.
생성 체제 production systems 생성이란 'IF .. THEN'(만약 ..이면 ..이다)라는 조건 규칙으로, 생성체제는 이러한일련의 생성들이 하나의 집합을 이루어 장기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뜻한다. 예컨대, 거리를 지나다가 어떤 사람이 '미소 짓는 것'을 본다면 이 정보는 작업기억에 들어간다. 작업기억의 내용(지나가는 사람이 미소짓는다)이 장기기억에 있는 IF부분(만약 지나가는 사람이 미소짓거든)과 배합되면 이 규칙의 THEN부분(미소해주라)이 조준되어 실행된다.
생성적 generative 언어 정의의 결정적 세 측면 중의 하나로, 한정된 개수의 단어가 끝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무한정 많은 문장을 생성하는 역량을 뜻한다.
생식선자극 호르몬 gonadotropic hormone 생식에 관련된 생리 현상과 성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 생식선자극 호르몬은 생식선(난소와 고환)을 자극하여 성호르몬을 분비시킨다 두 가지 생식선자극 호르몬은 난포-자극 호르몬(FSH: follicle-stimulating hormone)과 황체형성 호르몬(LH: luteinizing hormone)인데 여성에게 작용하는 효과를 본떠 명명한 것이다. 그러나 남성에게도 같은 호르몬들이 생산되어 고환을 자극하여 정자를 생성하게 하고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게 한다. 생식선자극 호르몬에 반응하여 생식선은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비한다. 난소에서는 에스트로겐(estrogen) 호르몬 계열의 일종인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이 생산되며, 고환에서는 주로 테스토스테론(안드로겐의 한 종류)이 생산된다.
생식선자극호르몬-분비 호르몬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하여 생신선자극 호르몬을 분비시키는 호르몬
생체내 기법 in-vivo techniques 살아있는 유기체의 구조나 기능을 알아보는 다양한 연구 기법들을 말함.
생체역학 biomechanics 다양한 제어장치들을 다루는 인간의 수행에 미치는 인체측정학적/인체역학적 요인들을 연구하는 분야. 예를 들어, 마우스를 제어장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마우스가 움직일 수 있는 마우스 패드의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석과 같이 작업 공간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우스를 제어장치로 선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생태적지위 niche 생물의 생태적 지위를 말함. C.R. 다윈이 《종의 기원(Origin of Species, 1859)》에서 <자연의 경제에 있어서의 위치>라고 표현한 개념이 후에 생태학에서 구체화되어 니치(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어떤 생물이 생물군집(生物群集) 내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기술하는 데에 사용된다. <아프리카 사바나의 타조의 니치는 오스트레일리아 초원에서 에뮤가 차지하는 지위와 비슷하다>라는 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최초로 이 낱말을 정착시킨 사람은 미국 요세미티의 동물상(動物相)을 연구한 J. 그리넬이다. 종(種)이라는 것은 각각 특유의 서식장소(棲息場所)가 생기면 그곳을 메우는 방향으로 진화한다고 그는 생각하여 그 최소의 분포단위를 생태적 지위라고 규정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서식장소란, 단순한 비생물적 환경뿐만 아니라 식생(植生)과 먹이와 적(敵), 경쟁자도 포함한 환경을 뜻한다.
생태학적 디스플레이 ecological displays 어떤 주어진 환경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운동을 지각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시각적 단서들[즉, 자체운동(egomotion)을 지원해 주는 직접적 지각 단서들]을 디스플레이에 이용하는 것
생태학적 자극 ecological stimuli
생태학적 접근 ecological approach 자연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지각에 대한 연구를 강조하는 지각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 특히 관찰자의 운동의 역할을 강조한다
생태학적 타당도 ecological validity 한 실험 상황이 조사되어지는 문제의 환경과 짝 지워지는 정도; 실험의 외부 타당도에 위협
샤논-파노 원리 Shannon-Fano principle 가장 효율적이고 가장 적은 기호를 가진 코드는 물리적 메시지의 길이가 메시지의 정보내용에 비례할 때 생성된다는 원리
샤논-파노 원리 shannon fano principle Shannon-Fano principle을 보시오.
서골비기관 vomeronasal organ 후각자극에 반응하는 기관의 하나. 공중에 떠다니는 분자들을 탐지하는 후구와는 달리, 오줌이나 다른 물질에 들어 있는 비휘발성 화합물에 민감하다.
서술기억체계 declarative memory system 단어, 정의, 이름, 날짜, 얼굴, 사선, 개념 및 사상 등 사실적 정보에 대한 기억을 포함하고 있는 체계로 외현기억을 처리.
서술적 지식 표상 declarative knowledge representation 사실적 정보에 관한 지식들이 머리 속에 표상(대상을 어떤 상징이나 다른 형태로 추상화하여 다루는 것) 되어 있는 것.
서술적 지식 declarative knowledge 사실적 정보에 관한 지식. 사실 관련 정보의 표상과 조직을 강조.
서술적 타당성 descriptive adequacy 문법에 대한 언어학적 서술을 평가하는 한가지 기준으로, 이 기준에 따르면 문법은 어떤 문장이 허용되는지, 또 서로 다른 문장 구조가 각기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명세해야 한다.
서열 척도 ordinal scale 대상이나 속성이 순서 지워지지만 점수들 간의 간격이 같지 않은 측정 척도
서열위치효과 serial position effect 자유회상에서 목록의 중간에 위치한 단어들보다 첫 부분과 끝 부분에 위치한 단어들을 더 잘 재생하는 현상
서파수면 slow-wave sleep 낮은 주파수의 델타 활동이 나타나는, 3-4 단계의 수면
선 그래프 line graph 연속적인 직선이나 곡선으로 변인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법
선별적 반사 selective reflectance
선별적 반사 selective reflection 한 사물이 스펙트럼의 특정 파장을 다른 파장보다 더 많이 반사할 때
선별적 퇴화 가설 selective degeneration hypothesis
선언적 기억 declarative memory 사실에 관한 지식을 표상하고 있는 기억. 그 기억 내용에 의도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말할 수 있다.
선언적 declarative "포고하다, 공표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선언하다(declare)에서 나온 말로, 의식에 접근할 수 있고, 자신이 경험한 것을 말로 표현할 수 있음을 뜻한다.
선율 도식 melody schema 사람의 기억속에 저장되어 있는 친숙한 선율의 개념
선율 통로화 melodic channeling 음계 착각’을 볼 것
선율; 가락 melodic line 음들이 연결되어 들리는 소리의 흐름.
선조외피질 extrastriate cortex 선조피질을 둘러싸고 있는 시각연합피질
선조외피질영역 extrastriate cortical area extrastriate cortex를 보라.
선조전피질 prestriate cortex 선조피질을 둘러싸고 있는 시각연합피질 영역. 선조외피질 또는 선조주변피질이라고도 함.
선조주변피질 circumstriate cortex 선조전피질 또는 선조외피질과 동의어로서, 선조피질을 둘러싸고 있는 시각연합피질 영역
선조체 striatum 미상핵(꼬리핵)과 피각(조가비핵)을 함께 일컫는 말로서 기저핵에서 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영역임
선착, 닻내리기 anchor 디스플레이 “세계”에서 변하지 않는 어떤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선착에 해당되는 것과 그 위치는 여러 디스플레이들에 걸쳐 다른 것들에 비해 현저하게 부각된다.
선천성 가설 nativist hypothesis 언어 사용에 필요한 많은 지식이 선천적이라고 보는 가설.
선택 기능 selection function 주의의 선택 기능을 말한다.
선택 단계 selection stage 형태 인식 단계 바로 다음 단계로 어떤 정보가 기억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선택 반응 시간 choise reaction time 여러 자극들 중 하나가 제시되었을 때 여러 반응들 중 한 반응을 하는 데 걸린 시간
선택 편향 selection bias 피험자들이 무선적으로 선택되지 않았을 때 발생한다
선택 selection 여러 정보, 대상, 과제, 반응 중 하나를 택하는 것을 말한다.
선택반응시간 choice reaction time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자극들 중에서 하나의 자극을 선택하는 데 걸리는 반응시간.
선택적 교배; 선택교번 selective breeding 특정 특성이 나타나거나 나타나는 정도가 비슷한 동물끼리 교배시키는 방법; 같은 종에 속하는 고등동물의 다양한 행동의 차이에 대한 유전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방법.
선택적 노출 selective exposure 자신과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과 함께 클럽을 만들고 친구관계를 가지는 등의 행위.
선택적 순응 selective adaptation 사람이나 동물이 선별적으로 하나의 자극에 노출된 다음 이 노출의 효과를 넓은 범위의 자극으로 구성된 검사에 의해 평가하는 절차. 한 사람을 수직 막대에 노출시킨 후 모든 방위의 막대에 대한 민감도를 검사하는 것이 방위에 대한 선별적 순응의 한 예이다. 선별적 순응은 또한 공간 주파수, 파장, 말소리 등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 양육 selective rearing
선택적 투과성 selective permeability 특정 분자들을 다른 분자들보다 막 사이를 훨씬 더 자유로이 통과시키는 성질.
선택적 selective 여러 대상 혹은 한 대상의 여러 속성이 있을 때, 그 중 하나에만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선택 주의, 선택적 순응 등으로 쓰인다.
선택주의 selective attention 여러 대상 혹은 한 대상의 여러 속성 중 어느 하나에만 주의를 주는 것을 말한다.
선행효과 precedence effect 두 개의 동일하거나 매우 비슷한 소리가 청자의 귀에 50∼100msec이내의 간격을 두고 제시될 때 일어나는 효과로, 청자는 자신의 귀에 먼저 도달하는 소리를 듣게 된다
선험적 방법 a priori method Peirce에 따르면 특정 사상의 조리가 있음에 기인하여 믿음을 확정시키는 한 방법
선험적 확률 prior probability 특정 사상(건)이 일어날 것에 관한 추가 정보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알고 있는 그 사상(건)의 확률.
선험적 prior 특정 사상(건)이 일어날 것에 관한 추가 정보를 확보하지 못한. '선험적 확률'이란 용어로 주로 사용됨
선형 경향성 linear trend 두 변인간 직선을 닮은 불완전한 함수 관계성의 경향성
선형 분리가능한 linearly separable linear separability를 보시오.
선형 분리성 linear separability 출력 값이 1인 훈련된 모든 입력 벡터들이 결정 경계의 한쪽에 놓여 있고, 출력값이 -1인 훈련된 모든 입력 벡터들이 경계의 다른 쪽에 놓여 있도록 하는 가중치들이 있다면, 이러한 문제는 선형 분리가 가능하다. Minsky와 Papert는 1988년 단층 신경망은 선형 분리성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XOR 문제와 같은 선형 분리 불가능한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선형 조망 linear perspective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의 공간을 표현하는 기법. 깊이지각의 단서 중 하나.
선형 linear 일직선으로 나타나는. 독립변인을 한 단위 변화시키는 것이 항상 종속변인을 일정한 양만큼 주어진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선형적 회로 linear circuit 수렴 없이 개개의 뉴런들끼리 연결 되어 있는 회로
선형함수 linear function 일직선으로 나타나는 함수. 등식 Y〓 a+bX(여기서 a는 Y절편이고 b는 직선 기울기)에 의해 나타내지는 직선 함수.
선형회귀분석 linear regression analysis 두 변인간 선형 경향성을 가장 잘 기술해 주는 방정식의 해.
선형회귀분석 linear regression 두 변인간 선형 경향성을 가장 잘 기술해 주는 방정식의 해.
설계 design 연구방법을 결정한 뒤 세부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
설계순환 design cycle 시스템 설계는 일반적으로 도면계획으로부터 시작하여, 대량 생산이 시작되기 전 결점을 파악하는 검사를 하는 시제품(prototype) 제작을 거쳐, 검사들이 종결되고 시스템이 최종적으로 생산되고 "실세계"에서 사용되도록 만들어지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것을 설계순환이라고 한다. 설계순환에 필요한 시간은 시스템의 복잡성에 의존하는데 어떤 소프트웨어 상품은 몇 주만 필요하지만 우주 왕복선이나 우주정거장 같은 복잡한 우주시스템은 몇 년이 걸린다.
설단 현상 tip of the tongue phenomenon 정보를 알고 있다고는 느끼지만 그 즉시는 그 정보를 인출할 수 없는 상태를 뜻한다.사람들은 특정 생각이나 의미를 표현할 단어를 거의 기억해내지만, 완전히는 기억해내지 못하는 경험을 할 때가 종종 있는데, 나중에 가서 그 단어가 생각해내기도 한다. 이는 앞서 경험한 실패의 원인이 저장의 문제라기보다는 인출의 문제임을 입증하는 증거이다. 즉, 그 단어가 저장은 되어 있었는데도 인출을 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이는 정보의 저장이 곧 정보의 인출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단 tip of the tongue 정보를 알고 있다고는 느끼지만 그 즉시는 그 정보를 인출할 수 없는 상태.
설단현상 tip-of-the-tongue phenomenon 알고 있는 것을 일시적으로 기억하지 못하거나, 저장되어 있으나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이 설단현상은 인출실패로 볼 수 있지만 저장된 정보에 접근가능성을 도와주는 인출단서가 있으면 회상 가능.
설명 explanation 특정한 사상이 왜 그리고 언제 발생하는가에 대하여, 실험적 방법으로부터 얻은 인과 관계적 진술
설명기반 견해 explanation-based view 개념 구조와 범주화 과정에 대한 견해로, 개념의 정보에는 그 개념이 다른 개념들과 관련되는 방식에 관한 정보(또는 그 개념의 사례가 다른 대상들과 관련되는 방식에 관한 정보) 그리고 개념 속성들간에 존재하는 기능적·인과적·설명적 관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고 본다. 예컨대, “책상”이라는 개념에는 사람들이 의자에 앉아서 책상 위에 놓인 책을 읽거나 어떤 작업을 한다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으며, “새” 개념에는 새가 깃털을 갖고, 알을 낳으며, 다리가 두 개이도록 만드는 어떤 유전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설명적 타당성 explanatory adequacy 문법에 대한 언어학적 서술을 평가하는 한 가지 기준. 이 기준에 의하면, 문법은 어린이의 언어습득에서 나타나는 사실들과 일치해야 한다.
설명절감원리 explanation discounting principle 대안적 설명의 존재는 설명간의 경쟁적 과정을 거쳐 특정한 결론이 참일 가능성에 대한 신뢰성이나 가용성을 감소시킨다는 것
설문지 questionnaire 지필(paper-and-pencil) 형태의 설문조사 방식.
설문지연구 questionnaires 설문지를 이용한 연구방법
설인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혀의 뒷 부분에 위치한 수용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신경
설회 lingual gyrus 후두엽 내측면의 선조외피질 영역의 일부
섬광기억 flashbulb memory 정서적인 각성을 일으키는 놀라운 사건에 대한 생생한 기억
섬모세포 hair cells
섬유간 활동양상 부호화 이론 across-fiber pattern coding theory 많은 신경 섬유에 걸친 반응패턴에 의해 감각질(quality)이 전달된다는 이론
섭식 행동 ingestive behavior 물이나 영양소가 고갈된 신체의 저장고를 다시 채우는 수정기제; 섭취하는 행동과 고갈된 저장고가 재충전되기까지는 시간 지연이 있기 때문에, 섭식 행동은 체계변인을 감시하는 탐지기 뿐 아니라 포만기제(satiety mechanism)에 의해서도 조절된다.
성격 및 사회심리학지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성격심리학과 사회심리학 관련 연구들을 다룬 학지
성긴 의미 처리 coarse semantic coding 다소 관련성이 약한 다양한 의미를 가동시키는 처리로 우반구에서 이루어진다.
성대 vocal tract 폐에서 목으로 나오는 공기를 여닫는 기도의 한 부분이다. 유성음이란 발성할 때 성대가 울려서 나오는 소리이다.
성별차폐 gender masking online상에서 사용자의 성에 대한 단서를 모호하게 하여 성차별로 인한 사용자의 문제를 최소화하는 것을 말함.
성분 세포 component cells 단일 격자의 운동 방향에 대해 반응하는 뉴런. (패턴 세포를 볼것)
성분을 통한 재인 RBC recognition by components. 물체 지각에서 기하적 요소(geon)라는 성분들의 종류와 그 결합관계를 파악하여, 인간이 물체의 정체를 인식하게 된다는 이론.
성상세포 astrocyte 교세포의 일종. 별 모양이며, 뉴런에 의해 분비된 화학물질을 흡수, 저장하여 뉴런에게 다시 돌려주거나 혈액으로 전송하는 일을 한다.
성연관 유전자 sex-linked genes 포유류의 성염색체에 있는 유전자; 생물학자들이 성연관 유전자를 언급할 때에는 보통 X연관 유전자를 말한다.
성인 지향어 adult-directed speech 아동지향어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성인들에 향하는 말의 형태.
성장호르몬 growth hormone 신체 전반을 통해 성장을 촉진하도록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하는 호르몬.
성장호르몬 somatotropic hormone 신체 전반을 통해 성장을 촉진하는 호르몬.
성적 과시행동 sexual displays 성공적인 생식을 위해 하는 성적인 과시행동. (공작이 알록달록한 날개를 펴는것과 같은)
성적 이형 행동 sexually dimorphic behavior 수컷과 암컷이 서로 다르게 행동하는 것
성적 이형핵 sexually dimorphic nucleus 수컷과 암컷에게서 서로 다른 모양이나 특징을 갖는, 뇌 속의 신경핵
성조 언어 tonal language 음성의 높낮이 변화로 서로 다른 음소를 만들어내는 언어.
세로토닌 serotonin 카테콜아민성 신경전달물질의 하나.
세부특징 비교 모형 feature comparison model 전형성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Smith, Shoben, & Rips(1974)가 제안한 모형으로, 개념은 세부특징들의 목록으로 기억에 표상되어 있으며 문장 검증은 세부특징들의 비교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
세부특징 탐지기; 특징 탐지기 feature detector 자극의 세부 특징에 대해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뉴런.
세부특징 feature
세부특징론 feature theory
세부특징분석 feature analysis
세부특징자; 세부특징마 feature demon
세부특징통합 feature integration
세부특징통합론; 특징 통합 이론 feature integration theory 어떻게 사물들이 기초 요소로 나누어 지고, 다시 그 기초 요소들이 그 사물로 지각이 되도록 결합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Treisman이 제안한 일련의 단계.
세부특징표적 feature target
세상-중심 표상 exocentric representation 관찰자를 포함한 환경내 사물간의 공간적 관계가 강조되는 표상. 세상-중심표상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자기중심 표상이 환경내에서의 자신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측정치와 통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나무가 지금 내 오른쪽에 있을 때 내가 한바퀴 돈다면 나무는 내 왼쪽에 있게 된다.
세상-중심 표상 world-centered representation exocentric representation을 보시오
세상-중심 exocentric exocentric representation을 보시오.
세트 set stimulus set에서, 한 실험에서 과제 수행에 사용되는 자극판 전체를 일컫는다.
세포군 cell assembly 특정한 자극에 대해 함께 발화하는 뉴런들의 집단
세포내액 intracellular fluid 세포 내의 체액
세포외 기록 extracellular recording
세포외액 extracellular fluid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
세포외유출 exocytosis 세포 내에 있는 소낭이 세포의 외부막으로 이동하여 막과 융합되어 터지면서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체액으로 내용물이 방출되는 것
세포질 cytoplasm 세포막 내의 액체
세포체 cell body 다른 뉴런들로 부터 자극을 받는, 뉴런의 일부분
세포체 soma 핵, 리보솜, 미토콘드리아등의 구조들이 있는 신경세포의 한 부분; 신경세포는 세포체, 수상돌기, 축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거 extinction 고전적 조건형성에서 소거란 US 없이 CS를 거듭해서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작적 학습을 한 후에 소거(extinction)란 행동을 강화하는 결과를 주지 않는 것이다. 소거는 망각과 혼동될 때가 자주 있는데, 이 두 가지는 아주 다른 것이다. 소거 후에는 CS가 CR을 다시 유발할 수 있는데, 이 현상을 자발적 회복이라고 한다.
소거격발 extinction burst 소거의 초기 단계에서 반응률이 갑자기 증가하는 것. 행동 문제들을 치료하는 데 소거가 사용될 경우, 소거격발로 인해 문제를 해결하는 게 아니라 더 악화시켰다는 인상을 준다. 그러나 소거가 계속되면, 소거 격발 후에는 일반적으로 그 행동이 안정적이고 상당히 빠른 속도로 감소하는 일이 뒤따른다.
소거법 extinction method 파지 기간 후의 소거율을 훈련 직후의 소거율과 비교함으로써 망각을 측정하는 방법.
소거에 대한 저항 resistance to extinction 보상을 철회한 뒤에도 조작반응을 계속하려는 경향. 소거에 대한 저항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강화계획이다. 고정간격계획이나 고정비율계획 하에서 학습된 반응은 쉽게 소거되는 반면, 변동간격계획이나 변동비율계획 하에서 학습된 반응은 소거가 잘 안 된다.
소낭; 주머니 vesicle 축색종말에 신경전달물질 분자를 고농도로 저장하고 있는 아주 작은 주머니.
소뇌 피질 cerebellar cortex 소뇌의 표면;
소뇌 cerebellum 대뇌의 아래, 연수의 뒤에 있는 타원형의 뇌 구조물;학습된 운동반응을 비롯하여 운동통제에 중요한 구조다. 소뇌, 즉 cerebellum이란 용어는 라틴어로 작은뇌(little brain)라는 뜻이다. 소뇌의 손상되면 정확한 조준과 타이밍을 요하는 일련의 빠른 탄도운동에 장애가 생긴다.
소뇌각 cerebellar peduncle 소뇌를 교와 연결시켜주는 백질 다발
소뇌심부핵 deep cerebellar nucleus 소뇌안에 있는 핵군으로서 소뇌피질과 정보를 상호전달한다.
소리 스펙트로그램 sound spectrogram 말 자극의 강도와 주파수의 형태를 보여주는 그림
소리 크기 보충 loudness recruitment 소리의 크기가 강도의 크기와 더불어 갑작스럽게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청각 결함과 관련이 있다
소리 크기에 대한 임계 대역 critical band for loudness 주어진 강도에서 소리의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주파수 대역의 넓이
소리 sound 물리적으로는 공기의 진동 (압축과 팽창)을 말하지만, 심리적으로 보면 인간의 청각 기관을 통해 감지한 공기의 진동을 말한다.
소리압력; 음압 수준 sound pressure level 음조의 데시벨 평정을 위해 사용된 참조 압력이 청각에서 가장 민감한 주파수 범위에서의 역치 근처인 2×10-5 Newtone/m2에 설정되어 있음을 가리키기 위해 쓰이는 명칭.
소리의 진폭 amplitude 순음의 정현파와 같은 반복되는 음파의 경우 진폭은 기압(atmospheric pressure)과 그 파의 최대압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소리크기 loudness 부드러운 소리에서부터 시끄러운 소리까지의 소리의 질(quality). 특정한 주파수의 소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데시벨이 증가할수록 소리의 크기도 증가한다
소멸 decay 사용되지 않는 기억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망각되는 현상.
소멸이론 decay theory 기억에 저장된 정보가 단순히 시간 경과에 의해 망각될 수 있다는 이론으로, 망각이 소멸에 의해 일어난다고 가정.
소박한 물리학 naive physics 중력, 마찰, 증발과 같은 물리적 체계에 대한 틀린 심적 모형.
소발작 petit mal seizure 발작이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으나 사람이 하던 것을 멈추고 몇 초 동안 먼 곳을 응시하며 눈을 계속 깜박거리고 무반응 상태가 되는 것으로, 발작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대체로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이 알아채지 못한다.
소비자행동 consumer behavior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나 행동으로 구매자 특성, 판매자 특성, 제품 특성, 상황 특성 등이 영향을 미친다.
소음-포화 딜레마 noise-saturation dilemma 한 자극을 부호화하는 약한 신호가 소음 속에서 상실되지 않으려면 증폭될 필요가 있다. 그렇기는 하지만 지나친 증폭은 예상외의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것을 소음-포화 딜레마라고 한다(Grossberg, 1980). 외측억제(lateral inhibition)는 보다 활성화된 마디의 활성화를 증폭시키고 덜 활성화된 마디들의 활성화를 억압함으로써 이러한 상황을 처리한다.
소음; 잡음; 소음 noise 신호탐지 실험에서 신호와 혼동될 수 있는 무선적 장애
소음에 의한 청력 상실 noise-induced hearing loss 큰 소음이 섬모세포를 퇴화시켜 발생하는 감각신경성 청력 상실
소집단 기저선 설계 small-N baseline design 소수의 참가자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단일 변인 실험의 한 형태
소집단 설계 small-n design 작은 수의 피험자를 사용하는 연구 설계 AB 설계; ABA 설계; 교대-처치 설계; 다중-기저선 설계
소형구조 microstructure 텍스트의 한 문장 한 문장에 관한 국소적 표상구조.
속도 전환(치환) velocity transposition
속도 조율 곡선 velocity tuning curves
속도 지각 velocity perception 물체의 운동 속도에 대한 지각.
속도-정확도 교환 speed-accuracy tradeoff 제시된 자극에 대한 판단을 반응단추를 눌러서 표시하는 과제(즉, 반응시간 측정과제)의 경우 반응시간 자료와 판단의 정확성 자료가 얻어진다. 이때 일반적으로 반응시간이 짧을수록 정확도가 떨어지고, 그 반대로 반응시간이 길수록 정확도가 높아지는 관계가 성립한다. 이처럼 반응속도와 그 정확도가 서로 교환되는 관계에 있는 것을 말한다.
속도-정확성 교환 speed-accuracy trade-offf 반응시간 과제와 속도가 중시되는 수행에서 사람들이 흔히 에러를 범하게 되는데, 신속하게 반응하려 할 때 더 많은 에러를 범한다는 반응시간과 에러간의 상호성을 말한다.
속성 빈도 법칙 feature frequency rule 새로운 항목의 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을 가장 많이 갖는 범주를 선택하는 분류 전략.
속성 학습 attribute learning 개념을 정의하는 규칙을 말해주면, 그에 적절한 속성을 찾아내야 하는 개념 확인 과제.
속성; 성질 property property는 주로 대상이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성질, 혹은 속성을 가리키는 데 쓰인다. attribute와 비교하라.
속임수 deception 참가자가 기획의 어떤 측면에 과해서 잘못 알게 하는 연구 기법; 비윤리적일 수도 있음
손가락 미로 finger maze 눈을 가린 상태에서 A지점부터 B지점까지 손가락으로 길을 따라가야 하는 검사. 검사 도구는 나무로 만들어져 있으며 뚫린 길과 막다른 골목으로 통하는 막힌 길이 있음.
손상 lesion 뇌 조직이 잘려나가는 것. 대개 사고나 외과 수술로 인해 발생함
손상연구 lesion study 뇌의 한 영역을 손상하고 그에 따른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영역의 기능을 추론하는 방식의 연구
손잡이 handedness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 중 하나의 특성
수뇌 myelencephalon 척수가 끝나고 뇌가 시작되는 부위에 있는 구조물인 연수를 가리킨다.
수다쟁이 증후군 chatterbox syndrome 정신지체 중, 기대보다 높은 수준의 언어 능력을 동반하는 경우의 장애. 이런 장애를 가진 사람은 아주 말을 많이 하고 정확한 문법 형식을 사용한다.
수단-목표 분석 means-end analysis 문제에서 현 지점과 원하는 지점 간의 거리를 분석하여 다룰 수 있는 하위목표들로 문제를 나누어 두 지점의 차이를 줄여나가는 전략.
수단-목표 분석 means-ends-analysis 문제에서 현 지점과 원하는 지점 간의 거리를 분석하여 다룰 수 있는 하위목표들로 문제를 나누어 두 지점의 차이를 줄여나가는 전략.
수동적 촉각 passive touch 고정시켜 놓은 피부에 촉각 자극을 제시하는 것
수동제어 manual control 인간이 제어장치 및 조작부의 기능을 조정하는 것
수량적 설계 quantitative designs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연구기법들로 사건들이 수량화될 수 있어서 그 데이터가 숫자로 나타나게 되며 실험과 상관적 관찰이 이러한 설계에 포함된다.
수량적 이론 quantitative theories 수학적 용어로서 관계를 진술하려 한다. 이것은 변인의 범주간 관계의 방향뿐만 아니라 이 범주들이 수량적으로 어떻게 관계되는지에 대해 명시한다
수렴 계열 설계 converging-series design 점진적으로 대립되는 이론들을 제거해나가기 위해 실시하는 일련의 실험들
수렴 조작 converging operations 한 집합의 실험 결과들을 설명할 수도 있는 대안 개념을 제거하는 둘 이상의 조작의 집합이다.
수렴 조작 converging operation 같은 실험 결과들을 설명할 수 있는 대안적인 가설들을 감소시켜 가장 적절한 가설을 찾아내기 위해 가설을 체계적으로 반복검증해나가는 방법
수렴; 시선수렴 convergence 신경계에서 수많은 입력 자극들이 (수렴하여) 하나의 요소 (예컨대 한 개의 뉴런)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수렴적 사고 convergent thinking Guilford(1950)는 사고 유형으로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와 수렴적 사고(convergent thinking)를 제안하였는데, 수렴적 사고의 경우 사고가 문제에 대한 적절한 답으로 ‘수렴’하도록 되어 있어 수렴적 사고를 하는 사람들은 하나의 정답이 있는 문제들을 선호한다. IQ검사의 질문들은 수렴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수렴적 타당화 converging validity
수면마비 sleep paralysis 정상적으로는 REM 수면 동안 일어나는 근육 마비가 각성 상태에서 유발되어 일시적으로 움직임이 불가능해지는 상태
수면발작 sleep attack 아무 때고 일어나는, 저항할 수 없는 잠에 대한 욕구. 갑자기 잠에 빠져들어 대략 2-5분간 수면(정상적으로 보이는)이 지속되며, 깨어나면 상쾌함을 느낀다.
수면방추 sleep spindle 2-4 단계 수면 동안 관찰되는, 낮은 진폭과 12-14 Hz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
수반성 contingency 수반성이란 일종의 if-then 진술문이다. X라는 사건이 발생할 때 오직 그 때에만 Y라는 사건이 발생할 경우, 사건 Y는 사건 X에 수반된다. 한 사건은 자극 수반적(한 자극의 출현에 의존적)일 수도 있고 반응 수반적(한 행동의 출현에 의존적)일 수도 있다.
수반성공간 contingency space CS가 제시될 때와 제시되지 않을 때의 모든 가능한 조합의 US 확률을 보여주는 수반성 공간을 말한다. CS 존재시 US의 확률이 CS 부재시 US 확률보다 높다면 흥분적 조건형성인데 비해 반대의 경우에는 억제적 조건형성이 되며 두 확률이 같으면 아무런 조건형성도 일어나지 않는다.
수반자극효과; flanker effect flanker(수반자극)는 표적의 좌우에 나란히 제시되는 자극을 말한다. 표적과 수반자극간의 관계에 따라, 수반자극이 표적의 처리를 촉진하기도 하고 방해하기도 한다. 예컨대, 표적과 같은 반응이 할당된 수반자극은 표적에 대한 판단을 빠르게 하는데, 이를 일치성 효과라고 한다.
수상돌기 가시 dendritic spine 수상돌기에 나 있는 짧은 옹이 모양의 조직.
수상돌기 dendrites 다른 뉴런들로 부터 자극을 받는 세포의 신경 돌기
수상돌기 dendrite 뉴런의 세포체에서부터 넓게 가지를 뻗는 가느다란 섬유로서 말단으로 갈수록 그 굵기가 가늘어진다. 뉴런의 정보 수신 축을 형성한다
수신자 조작특성 곡선 ROC curve 신호탐지론에서 수신자의 탐지행동을 드러내는 민감도를 고정시켜도 반응편중에 따라 각기 다른 탐지와 헛경보를 보이는 곡선을 나타낸다. 신호탐지
수신자 receiver 송신자로부터 데이터나 메시지를 받는 측
수양액 aqueous humor 눈의 각막과 렌즈 사이의 공간에 있는 액체
수용-발견 acceptance-finding 창의적 문제 해결법의 세 성분(문제에 대한 이해, 아이디어 산출, 행동을 위한 계획짜기)중 행동을 위한 계획의 단계 중 하나. 가능한 해결책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모든 항목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실천을 위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수용기 세포 교대 receptor cell turnover
수용기 전위 recepter potential 감각수용기가 자극을 받아서 일어나는 세포막전위
수용기 receptor 감각 수용기는 환경에너지에 만감한 신경세포로, 환경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꾼다
수용성 receptivity 교미하려는 능력과 의도. 수컷의 접근을 받아들여 수컷이 올라타려 할 때 가만히 있고 척추전만 자세를 취해 주는 정도를 가리킨다.
수용야 receptive fields 내부의 어떤 감각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영역. 예를 들면 시야의 중앙에 해당하는 중심와에 있는 세포들은 주변부의 세포들에 비해 훨씬 작은 수용장을 가지고 있음
수용영역 receiving area 외부 자극이 주어지면 수용기 세포(예, 망막의 시각세포)가 자극되고, 이 신경흥분은 상위의 신경절 세포로 전달된다. 이때 같은 신경절 세포로 신경흥분을 전달하는 수용기 세포의 범위를 수용 영역이라 한다. 수용 영역에는 흥분성, 억제성, 중심-흥분 주변 억제성, 중심-억제 주변 흥분성 등이 있으며, 이보다 더 복잡한 구조의 것도 있다.
수용자 반응 특성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신호 탐지 실험의 결과가 수많은 다른 반응 기준에 대한 적중율 대 오경보율로 그려진 그래프
수용장 receptive field 자극이 가해지면 신경세포의 발화율에 영햐을 주는 수용기표면(시각의 경우, 망막;촉각의 경우 피부) 상의 영역을 말한다. 하나의 예외는 올빼미의 청각적 공간 지각을 위한 수용장의 경우이다 이경우에 수용장은 수용기 표면 위 영약이라기 보다는 공간내의 위치(location)이다
수의적 응시 voluntary gaze 시야의 특정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기 위해 의식적으로 눈운동을 조정하는 것.
수작업공포증 manuphobia 손으로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수정 revision 글쓰기에서, 생성된 문장들을 저자의 의도, 독자의 수준, 수사학적 기준에 비추어 고치고 편집하는 과정.
수정체 유화법; 수정체유화 phacoemulsification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수정체를 파괴하고 주사바늘을 통해 그 파편을 빨아내어 백내장을 제거하는 기술
수준 효과 level effects 한 담화의 명제 위계망에서 높은 쪽에 있는 것일수록 정보에 대한 기억이 더 많다는 것.
수준 효과 levels effect 한 담화의 명제 위계망에서 높은 쪽에 있는 것일수록 정보에 대한 기억이 더 많다는 것.
수초 myelin sheath 뉴런의 축색을 둘러싼 일종의 절연 물질로서, 흰색을 띠고 있으며 신경 충동의 전파를 더 빠르게 함.
수초화 myelination 수초를 형성하는 발달 과정. 쉬반세포나 핍돌기 교세포들에 의해 뉴런의 축색을 감싸는 과정.
수초화 myelinization 수초라는 지방질은 신경 섬유를 덮어 신경 충격의 전달 속도를 빠르게 하는데, 이러한 수초가 만들어지는 과정.
수평 비율 원리 horizon ratio principle 만일 한 사람이 평탄한 땅위에 서 있다면, 수평선을 가로 지르는 한 사물 상의 한 점은 지면위로 눈높이가 되는 지점에 있고, 지표면과 닿아 있는 두 개의 사물이 크기가 같다면 그 사물들의 수평선 위와 아래 부분의 비율은 모두 같다는 원리
수평 비율 horizon ratio 수평선으로 나누어진 사물의 수평선 아래 부위에 대한 수평선 윗 부위의 비율
수평-수직 착시 horizontal-vertical illusion 같은 길이의 수평선보다 수직선이 더 길게 보이는 착시.
수평세포 horizontal cells 망막 세포의 일종으로서, 추상체 또는 간상체들을 수평적으로 연결하여 공간적 총화를 이루어 빛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외측억제과정에 관여한다.
수평세포 horizontal cell 망막을 가로질러 측면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뉴런. 수평 세포는 감각기 및 양극 세포와 시냅스를 한다
수평절편 horizontal section 지면과 평행하게 잘라서 위에서 볼 수 있는 뇌구조를 보여주는 면
수행 침입성 performance intrusion 작업기억의 부하를 조작하기 위해 일차과제와 이차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을 때 이차과제의 수행이 일차과제의 수행을 간섭하거나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
수행-자원 함수 performance-resource function 어떤 과제의 수행의 수준을 투입된 자원의 함수로 표시하는 것.
수행 performance 수행의 일반적인 의미는 어떠한 주어진 일을 해 내는 것이지만, 언어에서의 수행은 언어 사용에 포함된 심적 과정을 뜻한다. 언어수행은 언어학자들이 연구하는 언어능력과는 반대로 심리학자들이 연구하는 분야이다.
수화 sign Language 손짓으로 하는 말.
순간노출기 tachistoscope 시각적인 자극들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제시할 수 있도록 제작된 심리학 실험기구
순서가설 sequential hypothesis 간헐적 강화 동안 강화받은 행동과 강화받지 못한 행동의 연속적 순서가 소거 시에 반응에 대한 S+가 되기 때문에 부분강화효과가 일어난다는 이론(Capaldi, 1966, 1967). 연속 강화에서는 레버를 누를 때마다 강화를 받으며 이는 S+가 됨을 의미한다. 소거 시에는 레버를 눌러도 강화가 나오지 않으므로 단서(강화의 존재)가 없어진다. 연속 강화 이후에 소거가 신속하게 진행되는 것은 수행을 위한 단서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순서효과 order effect 피험자가 처치를 경험하는 순서로부터 초래되는 효과. 예컨대, 반복측정 ANOVA 설계에서 4개의 처치조건이 있다면, 4번째 처치 조건에서 수집된 자료는 그 피험자의 피곤함이 반영된 자료일 수 있다.
순수단어맹 pure word blindness 글을 읽을 수는 없으나 쓸 수 있는 장애로서, 순수실독증 또는 실서증 없는 실독증이라고도 불린다.
순수실독증 pure alexia 글을 읽을 수는 없으나 쓸 수 있는 장애로서, 순수단어맹 또는 실서증없는 실독증이라고도 불린다.
순수음 청력측정법 pure-tone audiometry 순음 주파수의 함수로 청각역을 측정하는 것
순위화 ranking 점수의 크기에 따라 배열하는 것.
순음; 순수음 pure tone 하나의 정현파 곡선에 의해 묘사될 수 있는 압력의 변화를 가진 음조
순응 격자 adaptation grating 공간빈도 잔여효과를 보이기 위해 사용되는 순응 자극 패턴. 통상 흑과 백의 규칙적인 교차띠로 구성된다. 공간빈도 잔여효과
순응 시야; 순응영역 adapting field 감각기를 순응시키기 위해 비추어진 빛의 영역
순응; 적응 adaptation 1. 어떤 자극이 지속되면, 신경계 혹은 수용기가 처음에는 이에 대해 반응하다가 점차 반응 율이 떨어지거나 나중에는 반응하지 않게 된다. 이를 순응이라 한다. 2. 발달이나 학습 분야에는 행동이 환경의 특성에 맞추어 변하게 되는 것을 말하며, 이때에는 주로 '적응'이라고 한다.
순차 대비 successive contrast 색상 자극판이나 흑백도 자극판 등이 순차적으로 제시될 때, 이전 자극에 의해 나중에 제시된 자극에 대한 경험(색상이나 명도)이 대비되는 현상.
순차 처리; 계열 처리 serial processing 여러 정보를 시간상에서 차례대로 혹은 한번에 하나씩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병행처리와 대비된다.
순차적; 계기적 successive 둘 이상의 분리된 사건들이 시간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발생하는 경우에 쓰인다.
순행간섭 해제 release from pi 기억해야 할 자극의 범주가 달라지면 간섭의 영향이 감소하는 현상. Wickens(1972)의 순행간섭 실험에서, 처음 세 개 시행과 네 번째 시행에 상이한 범주의 단어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세번째 시행까지는 정확 회상율이 떨어졌으나 네번째 시행에서는 상이한 범주의 단어일수록 정확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순행간섭 proactive interference 이전에 학습한 자료가 시간상 순행적인 방향으로 현재의 자극 재생을 간섭하는 것.
순행성 기억상실증 anterograde amnesia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지 못하는 것으로, 뇌가 손상되기 전에 일어났던 사건은 기억할 수 있지만, 손상 이후에 접한 정보를 파지하지 못하는 현상. 하지만,지각학습과 감각-반응학습, 운동학습에 대한 기본적인 능력은 정상이며 복잡한 관계학습을 하는 능력을 상실.
순행성 표지법 anterograde labeling method 어떤 뉴런의 부근에 특정 화학물질을 투여하면 이 물질이 그 뉴런의 세포체나 축색으로 흡수되어 축색종말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뇌 부위들 사이의 연결을 추적하는 방법
순행의 proactive proactive interference를 보시오.
순향간섭 proactive interferencn 학습에 선행한 활동에 의해서 학습내용의 보호·유지가 방해되는 현상. 역향억제(逆向抑制)에 반대된다. 학습내용의 보호·유지 기간이 장기에 미치는 경우의 망각(忘却)은 순향억제에 의한 영향이 크다. 이는 어떤 사항을 학습하면, 학습에 선행한 활동의 보호·유지가 일시적으로 억제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억제가 자연적으로 회복되기 때문이며, 이것이 순향억제로서 후속의 학습의 보호·유지를 방해한다. 이 경향은 선행학습량이 많을수록 커진다.
순환적 cyclic
숨겨진 단위 hidden units 다층구조 신경망에서 숨겨진 층에 포함되어 있는 단위
숨겨진 층 hidden layer 다층구조 신경망에서 입력층(input layer)과 출력층(ouput layer) 사이에 존재하는 층으로 입력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변수값들의 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을 비선형함수로 처리하여 출력층 또는 다른 은닉층으로 전달한다. 다층구조 신경망에서는 여러 층의 숨겨진 층을 둘 수 있으며, 숨겨진 층에는 여러 개의 숨겨진 단위(hidden unit)들을 굴 수 있다.
숫자폭 digit span 숫자폭 (Digit span) 숫자들을 잠깐 동안 보여준 다음 평균 몇 개까지 기억해낼 수 있는가를 기초로 측정한 단기 기억 능력 (보통 6-8개 정도임).
쉐페이 검증 Scheffe test 사후 다중비교의 한 종류. 조건 수준간 가능한 수의 쌍별 및 조합비교를 허용하도록 1종 오차를 수정하는 사후비교법.
스넬른 시력 검사표 Snellen eye chart 크기가 다른 문자들을 상하로 배치하여, 시력을 검사하는 표.
스마일리 smiley 이모티콘과 같이 기호를 써서 표정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기호.
스크립트 script 정형화된 상황에서 통상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들에 관한 도식적 지식. 즉 스크립트는 판에 박힌 사건들에 관한 도식으로서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상황들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스키너 Skinner B. F. 신행동주의의 리더로서 1930∼40년 무렵 동물실험에 의한 기초연구로부터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을 확립했다. 고전적 조건형성과 달리 조작적 조건형성은 유기체의 반응과 강화간의 수반성에 근거한 학습을 다루었기 때문에 스키너는 강화계획에 의해 나타나는 반응의 차이에 관해 세밀하게 연구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의 동물실험을 비판하고 유기체의 행동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기록할 수 있는 스키너상자를 고안하여 독특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성과에 입각하여 인간의 학습행동, 언어조건화 등에 관해 연구를 진행시키고, 티칭 머신의 개발에 의한 프로그램 학습, 행동약리학, 행동수정을 이용한 임상기술, 행동요법 등 여러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스키너 Skinner Skinner B. F.를 보시오.
스키너상자 Skinner box B.F. 스키너가 고안한 자발학습실험장치. 기본적으로는 상자 내부의 벽에 지레가 있고, 동물이 그것을 조작하면 먹이가 자동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 생체반응은 별도의 기록기에 전달되어 누적반응곡선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에 의해 자발반응과 강화 유무 및 시간과의 관계가 객관적으로 정리되어 나타난다
스태타퀘스트4 StataQuest4 통계패키지의 일종.
스트레스 반응 stress response 스트레스가 주어질 때 보이는 유기체의 반응으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반응을 보인다.
스트레스 유발인 stressor 어떤 상황에서 유기체가 스트레스반응을 일으키도록 유도하는 외적 혹은 내적 요인들
스트레스 stress 어떤 상황에서 주어지는 외적 혹은 내적 요구가 유기체의 능력범위를 넘어설 때 발생하는 생리적 심리적 적응과정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무통 stress-induced analgesia 유기체가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할 때 발생하는 무통증
스트로보 운동; 스트로보스코픽 운동; 가현운동 stroboscopic movement 공간에 두 사물이 떨어져 있을 때, 그중 하나가 짧은 시간에 켜졌다 꺼지고 짧은 지연시간을 가진 후에 다른 하나가 켜졌다 꺼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운동의 착시
스트룹 간섭 효과 stroop interference effect Stroop effect를 보시오.
스트룹 효과 stroop effect 색채 단어(예, '빨강')를 유색 잉크(예, '파랑')로 쓴 자극판이 있을 때, 잉크 색상의 이름(즉, '파랑')을 빨리 말하기가 어렵고 대신 단어(즉, '빨강')를 말하는 실수를 범하기 쉽다. 이런 현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학자의 이름을 따서 스트룹 효과라고 한다. 스트룹 효과는 잉크 색상을 말하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단어를 잘못 말하는 실수로 드러난다. 이를 응용하여 동물 그림 속에 그림과 틀린 동물 이름을 써 놓은 자극판 등에서 나타나는 간섭 현상도 스트룹 효과라 한다.
스트룹 Stroop 스트룹 (간섭) 효과를 보시오.
스티븐스의 멱함수 법칙 Stevens` power law 감각 자극과 감각 경험 간의 관계가 멱함수 (power function, 지수 함수)로 표시된다는 공식화를 말한다. 감각의 종류에 따라 멱함수의 계수와 지수가 다르다. 이 법칙은 페흐너의 법칙을 포함하여, 더 다양한 종류의 감각 경험을 설명하는 장점이 있다.
스페어맨의 순위 상관 Spearman`s rank-order correlation 상관검증에서 종속측정치가 심하게 편포되어 있거나 서열척도일때 사용한다.
스페어맨의 순위 상관계수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 두 순위 척도로 된 변인들의 연합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통계치
스펙트럴 구성 spectral composition 음파가 여러 주파수로 구성되어 있을 때, 그 주파수들의 분포 혹은 구성된 모습.
스펙트럼 민감도 곡선 spectral sensitivity curve 빛에 대한 간상체 체계의 민감도를 광파장 함수로 보여주는 그래프
스펙트럼 민감도 spectral sensitivity 가시 스펙트럼의 각 부분에 대한 시각 수용기의 민감도. ‘스펙트럼 민감도 곡선’을 볼 것
스펙트럼도; 분광파형도; 분음파형도; 분파형도 spectrogram 1) 방출되는 빛의 영역을 주로 색깔로 표시하는 그림. 2) 소리, 말 자극의 주파수를 표시하는 그림으로서, 주로 가로축은 주파수로 세로축은 자극의 강도로 나타낸다.
스펙트럼분석 spectral analysis 특히 소리 자극을 스펙트럼으로 분석하는 것.
스펜스 Kenneth Spence 스펜스는 파블로프의 이론에서 생리학적인 면은 제외하고 흥분과 억제의 개념들을 받아들여 변별학습이론을 수립하였다. 변별에 대한 연속성이론이라고 알려진 Hull-Spence이론에 따르면 자극을 정적 강화와 짝지으면 흥분을, 부적 강화와 짝지으면 억제를 일으키며 흥분과 억제는 그것과 연합된 자극차원을 따라 일반화하여 원래의 자극과 다를수록 반응이 약화된다. 이러한 Hull-Spence이론의 예측은 정점변경(peak shift)라는 현상을 잘 설명한다.
스포트라이트 은유; 조명 비유; spotlight metaphor 주의에 대한 한 비유로서, 주의가 무대 조명처럼 시야에 들어 오는 공간 혹은 물체들) 중 일부를 집중적으로 비추듯이 주의가 주어진다는 것을 말한다. 이 비유에 따르면 주의의 강도 및 범위는 변할 수 있고, 주의는 공간적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습관화 habituation 어떤 반사 반응을 계속해서 일어나게 하면 결국 그 반응의 강도 혹은 확률이 감소하게 되는 현상. 예를 들면, 임신 말기 3개월 동안에는 산모의 배를 자극하면 태아가 움직인다. 이때 자극을 규칙적인 방식으로 반복해서 주면 태아의 반응은 서서히 약해진다(Leader, 1995).
습관화된 habituated 자극을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그 자극에 대한 반응이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현상.
승무원 자원관리 crew resource management 조종실내 승무원간 협력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승무원들이 지니고 있는 능력의 한계,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의사소통, 의사결정, 갈등관리 및 인적오류관리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여 항공안전과 직무성과를 향상시키려는 것
시 주의 visual attention 시 감각기관과 관련된 주의. 여기에서 시 감각기관이란 눈과 시각 신경경로를 말한다.
시각 맹 visual blindness 맹, blindness를 보시오.
시각 무시 visual neglect 손상을 입은 뇌와 반대 쪽 시야에 제시된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을 하지 못하는 현상.
시각 버퍼 visual buffer 시각적 심상이 후두엽에 활성화된다고 보는 Kosslyn 모형의 구성요소.
시각 벼랑; 시각 절벽; visual cliff 인간의 유아 및 동물의 어린 새끼들의 깊이지각 능력을 연구하기 위해 Gibson 등이 창안한 실험장치. 큰 유리책상으로 되어 있으며, 중간의 나무판을 경계로 하여 두 부분으로 구성됨. 즉, 한 쪽 부분은 유리판 바로 아래에는 바둑판 무늬가 붙여져 바로 밑처럼 보여지는 부분이며, 다른 한 쪽 부분은 유리판에서 3피트 아래에 위치한 푹 꺼진 것처럼 보이는 부분(즉 절벽)으로 되어 있음.
시각 보철 visual prosthesis 손상된 시각 능력을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나 그런 기구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안경이나 렌즈나 인공수정체 등을 가리키는 데에 쓰이기보다는, 두피를 자극하여 인공적인 영상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현대적 기법을 가리키는 데에 주로 쓰인다.
시각 색소 탈색 visual bleaching 망막에 있는 시각 세포의 상피 세포 내의 색소가 빛을 감지하여, 탈색하는 것을 말한다.
시각 손상; 시각 색소 visual pigment 추상체와 간상체의 외측 분절에있는 빛에 민감한 분자. 빛에 대한 이분자의 반응은 수용기 안에서 전기 반응을 생성시킨다
시각 손상 visual impairment 시감각 기관의 손상. 망막 박리, 시각 상피세포 손상, 백내장, 녹내장, 시신경의 이상 등이 있다.
시각 수용 영역 visual receiving area 후두엽에 있는 영역으로, 줄무늬 피질로도 불리며 외측 슬상핵으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시각 실인증; 시각 부지증 visual agnosia 실명은 아니지만 시지각에 결함이 있는 증상으로 뇌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통각성 시각 실인증(apperceptive visual agnosia)은 각각의 구성 요소는 비교적 정상적으로 탐지하지만 대상은 지각하지 못하는 것이다. 연합성 시각실인증(associative visual agnosia)은 지각된 대상의 형태를 그와 비슷한 대상과 짝지울 수는 있지만 시각적으로 지각한 대상의 명칭을 말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시각 영상; 시각이미지 visual images 이미지는 원래 두뇌에 남아 있는 감각적 흔적을 말한다. 시각 영상(이미지)는 시각 자극의 결과로 남는 감각상이다. 흔히 영상이라고도 한다. 이와 달리 청각 자극(소리)에 대한 이미지는 청각적 상(auditory image)라고 한다.
시각 자극 visual stimuli 도형이나 그림과 같이 시각 기관을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제시되는 자극.
시각 체계의 병렬적 통로 parallel pathways in visual system
시각 포착; 시각 포로 visual capture 1) TV의 백색 소음 화면에서 화면 위에 작은 동그라미를 흔들면, 동그라미 속에 있는 (화면의) 백색 점도 동그라미와 함께 움직이는 듯이 보이는 현상. 2) 소리는 다른 곳에서 나오는데, 화면의 한 가운데 있는 화자의 입에서 소리가 나오는 것처럼 지각하는 현상이다. 복화술 효과라고도 한다.
시각 피질 visual cortex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신피질 영역. 후두엽에 해당한다.
시각 확산 비율 rate of angular expansion
시각(도)의 법칙; 시각도 법칙 law of visual angle 사물의 크기 지각은 단지 사물의 시각(visnal angle)에 의해서만 결정된다고 원리. 이 “법칙”은 깊이 정보가 전혀 없거나 매우 적을 때 대게 들어 맞는다
시각-음운-의미 통로 visual-to-phonological-to-semantic route
시각-의미 통로 visual-to-semantic route
시각-의미 visual-to-semantic
시각; 시력; vision 1. (시각) 시각 기관(눈)을 통한 감각 지각 과정을 일컫는다. 2. (시력) 눈이 정확하게 혹은 세밀하게 물체를 지각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시각검색; 시각 검색 visual search 시야의 여러 대상들 중, 표적을 찾는 과정을 말한다.
시각경로 visual pathway 신경계에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들을 묶어서 부르는 이름이다.
시각도; 시각 visual angle 관찰자의 눈으로 부터 확장된 두선 사이의 각으로 한선은 사물의 한끝으로 확장되고 다른 한선은 사물의 다른 끝으로 확장된다. 사물의 시각도는 항상관찰자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사물의 시각도는 사물과 관찰자간의 거리에 따라 변한다
시각에서의 형-바탕 분리 figure-ground segregation in vision
시각우세 visual dominance 시각과 청각, 시각과 촉각 등, 다른 감각과의 관계에서, 정보처리가 더 신속하거나 더 강력한 경향성을 말한다. 예컨대, 촉각적으로는 거친 결이, 시각적으로는 부드럽게 보이게끔 하였을 때, 사람들은 결이 더 부드러운 쪽으로 경험한다.
시각의 이중 체계 이론 duplicity theory of vision 망막의 간상체와 추상체가 다른 조건에서 작동되고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이론
시각의 visual '시각 기관과 관련된'이란 뜻이다. 눈으로 경험하는 것 일반을 가리킨다. 좁은 뜻으로는 색이나 명암의 지각과 같이, 눈으로만 경험할 수 있는 감각질과 관련하여 사용되며, 깊이나 거리 지각과 같이 '공간적'과 대비되어 쓰인다.
시각적 실어증 optic aphasia 실어증의 한 유형으로, 한 번에 한 글자씩은 읽을 수 있으나 단어 자체는 읽지 못한다.
시각적 유발 전위 visual evoked potential 후두 위에 전극판을 꽂아 기록된 시각 자극에 대한 전기적 반응. 이 전위는 시각 피질의 많은 신경세포의 활동을 반영한다
시각정보저장고 visual information store 정보처리 모형에서 시각 정보를 약 1/4초라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 보관하는 감각 저장고이다.
시각주사; 시각 주사 visual scanning 시야에 있는 여러 대상을 훑어보는 것을 말한다. 시각검색과 같은 뜻이다.
시각타성 visual momentum 대상을 일관성 있게 지각하려는 성질. 시각타성 개념은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이나 혹은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중다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때 “길을 잃게 되는” 문제에 대한 하나의 공학적 설계 해결책을 제시해 준다(Wise & Debons, 1987; Woods, 1984; Woods, Roth, Stubler, & Mumaw, 1990). 가령 가상 공간에서 서로 관련이 있는 두 개의 지도들을 보여주거나 개념적 공간에서 메뉴나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노드 또는 데이터의 그래프 등을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시각표집 visual sampling 시각 자극판에서 여러 대상을 탐색하는 것을, 자료의 표집에 빗대어, 말하는 것이다.
시각화 visualization 자료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도표가 그 예이다.
시간 공유; 시분할 time-sharing 둘 이상의 과제가 동시에 수행될 때, 완벽하게 병행 처리될 가능성도 있지만,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교차되면서 두 과제가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시간을 잘게 쪼개어 둘 이상의 과제를 동시 처리할 때의 양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시간 의존적 time-based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이나 특정 시간에 행위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시간 지연 설계 time-lag design 검사 시간 효과를 통제하기 위하여 연령이 피험자 변인일 때 사용되는 유사실험 설계; 특정한 연령
시간-선분 분석 time line analysis 주의가 두 과제 이상으로 분산되는 이러한 시간분할(time-sharing) 상황에서는 처리자원의 가용성에 따라 처리부담(정신적 작업부하 mental workload)이 올라가거나 단일과제의 수행보다 저조하게 된다. 이때 최적의 인간수행을 낳기 위해서는 이러한 작업부하를 면밀히 고려해서 작업의 스케줄을 짜야 하는데 각 과제에 소요되는 시간의 길이를 병렬적으로 표시하여 특정 시간대에 따른 작업부하의 추이를 비교하는 방법
시간공유; 시간분할 timesharing time-sharing을 보시오.
시간맞추기 부호 timing code 소리의 고저 지각에 대한 설명에서, 특히 저주파수(저음) 지각에 대한 설명으로서, 여러 신경 섬유들이 일제히 흥분하도록 시간 조절을 해 주는 신경 부호를 가리킨다.
시간적 근접성 temporal contiguity 조건형성과 같은 연합학습에서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사상들이 시간적으로 근겁하여 일어나야 한다. 그러나 맛-혐오 학습에서 볼 수 있듯이 시간적으로 매우 떨어진 사상들간의 연합학습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시간적 총화 temporal summation 서로 다른 시각에 주어지는 둘 이상의 시냅스 입력들이 내는 효과의 조합.
시간적 패턴 temporal patterns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드러나는 체계적인 변화를 가리킨다.
시간지연 time delay 시간의 지연. 자극이 주어진 다음, 정상적으로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많은 지체(지연)이 발생하는 것. 신경 회로의 구성에 따라 '시간 지연'이 일어날 수 있다.
시개척수로 tectospinal tracts 시개에서 척수로 연결되는 축색다발로 머리, 몸통운동, 눈운동의 협응에 관여한다.
시계 측정법 visual perimetry 시야의 다양한 위치에 제시되는 작은 점 자극을 탐지하는 능력을 검사하는 시각 검사 절차
시계; 전망 view 눈으로 봄 혹은 눈으로 보이는 영역(field of view)을 말한다.
시계열분석 time-series analysis 시계열 데이터에 바탕을 둔 분석방법. 경기변동 등의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통계숫자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기록한 통계계열을 시계열 데이터라고 하며, 이 계열의 시간적 변화에는 여러 원인에 기인한 변동이 포함되어 있다.
시공간 메모장 visual-spatial sketch pad Baddeley의 작업 기억 모형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하나로 시각/공간 정보를 조작하고 유지하는 일에 관여한다.
시공간 메모장 visuospatial scratchpad Baddeley의 작업 기억 모형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하나로 시각/공간 정보를 조작하고 유지하는 일에 관여한다.
시공간적 스케치판 visuospatial sketchpad
시교차 optic chiasm 시신경의 축색 절반이 뇌의 대측으로 교차하는 부위
시교차상핵 suprachiasmatic nucleus 생물학적 시계 역할을 하는, 시상하부의 한 핵
시냅스 소포낭 synaptic vesicles
시냅스 전달 synaptic transmission 화학적인 방법으로 (때로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뉴런과 뉴런, 혹은 뉴런과 근육 세포간의 의사전달.
시냅스; 연접부 synapse 한 축색의 종말단추와 다른 뉴런막 사이의 접합부
시냅스전 수용기 presynaptic receptor 축색의 끝에 있는 종말 상에 있는 수용기
시냅스전 종말 presynaptic terminal 뉴런에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축색의 끝부분.
시냅스전막 presynaptic membrane 종말단추의 막
시냅스전부 신경세포; 연접전 신경세포 presynaptic neuron 연접수 신경세포로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는 시냅스의 보내는 쪽 뉴런
시냅스후 수용기 postsynaptic receptor 종말단추에서 분비된 신경전달물질과 결합하는, 시냅스후막에 위치한 특수한 단백질 분자
시냅스후 신경세포 뉴런; 연접후 신경세포 postsynaptic neuron 연접전 뉴런으로부터 신경전달 물질을 받아들이는, 시냅스의 받는 쪽 뉴런
시냅스후막 postsynaptic membrane 종말단추로부터 정보를 받는 뉴런의 막
시드만 회피 Sidman avoidance Sidman avoidance procedure를 보시오.
시드만 회피절차 Sidman avoidance procedure 전기충격과 같은 혐오적 자극과 관련된 신호가 주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피험동물은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전기충격을 받으며, 피험동물이 레버를 누르면 15초간 전기충격을 지연시킬 수 있다. 피험동물이 지연 기간이 끝나기 전에 다시 레버를 누르면 전기충격이 다시 15초간 지연되므로 레버를 규칙적으로 누른다면 전기충격을 완전히 회피할 수 있다. 회피학습에 대한 이과정 이론은 이 시드만 회피절차를 사용한 실험을 통해 부정되었다.
시력; 정밀도 acuity 1. (시력, visual acuity) 눈으로 대상의 세부 사항들을 볼 수 있는 시각적 해상력. 여러 개의 문자를 사용한 Snellen 시력 검사나 여러 방향으로 터진 고리를 사용한 Landolt 시력 검사가 있으며, 한국인의 경우 한천석이 고안한 시력 검사가 있다.
시력 visual acuity 사물의 세부 사항들을 볼 수 있는 해상력
시뮬레이션 simulation 복잡한 문제를 해석하기 위하여 모델에 의한 실험, 또는 사회현상 등을 해결하는 데서 실제와 비슷한 상태를 수식 등으로 만들어 모의적(模擬的)으로 연산(演算)을 되풀이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 일.
시사 suggestion 함축적 의미를 나타냄
시상 thalamus 간뇌의 가장 큰 부분으로 시상하부위에 위치한다. 정보를 대뇌피질의 특정 영역에 투사하거나 대뇌피질의 특정 영역에서 정보를 받는 핵들을 ≠側?있다.
시상간교 massa intermedia 제3뇌실의 중앙을 가로질러 좌우의 시상을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하는 신경조직
시상면 sagittal 머리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수직으로 자른 단면.
시상의 thalamic 시상의
시상절편 sagittal section 시상면을 보시오
시상침 pulvinar 시상의 한 핵으로서, 시각정보처리에 관여함.
시상하부 hypothalamus 시상 아래 뇌의 기저부에 위치는 비교적 작은 구조물이지만 매우 중요한 부위로서,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를 통제하고 종(種)의 생존과 관련된 행동들을 조직화한다.
시소자; 시 소자 visual primitive 시각적 형태 지각에서 가장 기초적인(요소적인) 자극 단위를 가리킨다. 연구자에 따라, 색, 선분의 끝, 선의 방향성, 운동 방향, 결 등이 언급된다.
시신경 손상 optic nerve damage
시신경 optic nerve
시신경원판 optic disk 시각 정보를 전달하는 축색들이 함께 모여 시신경을 통해 눈을 떠나는 지점. 시신경원판에는 수용기 세포가 없으므로 맹점이 된다.
시야 검사 visual field test 중심와와 주변시의 시력을 측정하는 검사
시야에서의 높이 height in the field of view 깊이 단서의 하나. 지평선 아래에 위치한 사물이 시야에서 더 높이 있을수록 더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인다
시야에서의 크기; 시작장에서의 크기 size in the field of view 깊이 단서. 시각장에서 작은 부분을 차지하는 사물은, 다른 모든 것이 같을 때 시각장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사물보다 멀리 있는 것으로 지각된다
시연 rehearsal 정보가 제시된 이후에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어떤 정보가 단기기억에서 더 많이 시연될수록 그 정보는 장기기억으로 전환되기가 쉽다고 본다. 만약에 어떤 사람이 정보를 단기기억 속에 유지하면서 더 이상의 노력을 거의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유지시연(maintenance rehearsal)이라고 불린다. 장기기억 속으로 정보가 기억되기 위해서는, 장기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연관지어서 장기기억 속에 있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재조직하는 정교화된 시연전략(elaborated rehearsal)을 해야만 한다.
시작하는 말 pre-sequences 대화에서 말하는 이가 사용하는 기법으로, 듣는 이가 앞으로 뭇느 정보가 나올 것인지 준비할 수 있게 하는 방법. 예컨대, "아내가 물어볼 게 있는데"하는 것은 질문으로 유도되는 시작하는 말이다.
시제품; 원형 prototype 도면계획으로부터 대량 생산이 시작되기 전 결점을 파악하는 검사를 할 수 있는 시제품 또는 어떤 개념의 전형적인 사례(事例).
시지각 visual perception 시각 감각기관에 의한 지각을 시지각이라 한다.
시차폐 visual masking 잔상을 제거하거나 정확한 시각의 통제를 위해, 시각 자극의 제시 전후에 제시되는 차폐를 말한다. 차폐를 보라.
시청각적 말 지각 audoi-visual speech perception 청각적, 시각적 자극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 말 지각. 예를 들어, ‘가’라고 말하고 있는 사람을 보여주고 ‘바’라는 소리로 대치하면 ‘다’라고 지각하게 된다
시행 trial 심리학의 실험에서 연구자가 의도적으로 독립변인을 조작한 자극을 한 차례 피험자에게 제시하여 종속 측정치를 얻어내는 절차를 말한다.
시행간 간격 intertrial interval 조건형성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연속된 시행간의 간격을 말한다. 시행간이 간격은 1초일수도 있고 몇년일 수도 있다.
식별; 확인; 동일시 identification 물체의 정체를 알아보는 것. 사회심리학, 발달심리학, 정신분석학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므로 주의한다.
식역; 역; 역치 threshold
신경 인지심리학 neuro cognitive psychology 모든 인지과정은 대뇌와 신경계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생물적 과정과 연관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특정한 인지과정이 뇌를 비롯한 신경계의 특성과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인지심리학의 한 분야
신경 촬영법 neuroimaging 컴퓨터 단층 촬영이나 자기 공명 촬영 같이, 뇌의 구조와 뇌손상 부위를 드러내는데 사용되는 기법을 지칭하는 일반적 용어.
신경 축색 nerve axon 신경 섬유를 볼것
신경 충격 nerve impules 신경섬유를 따라 흐르는 전위의 빠른 변화
신경 특수부호화 이론 neural specificity theory 특정 신경의 자극은 특정한 감각을 낳는다는 가설이다. 예컨대 시신경세포는 압력을 가해도 촉각이 아니라 시각 경험을 일으키게 된다는 것이다.
신경 회로 nerve circuit 시냅스에의해 연결된 뉴런들
신경 흥분의 포화 saturation neural response
신경 nerves 축색 다발을 일컬음
신경과학 neuroscience 뇌의 해부학적,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
신경근접합 neuromuscular junction 운동뉴런의 종말단추와 근섬유 사이의 시냅스
신경망 모형 neural network model
신경망 neural network 신경망은 폰 노이만식의 알고리즘과 달리 생물학 모델에 근거하여 인간과 유사한 적응성과 자기조직화 능력을 가진 알고리즘을 개발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초기의 신경망 모형은 단층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선형적으로 분리가능한 문제에만 적용될 수 있었지만 McClelland & Rumelhart(1985)에 의해 제안된 다층 구조의 신경망 모형은 다양한 인지현상과 실제문제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신경부호 neural code
신경생성 neurogenesis 뉴런의 생성, 발달, 소멸의 순환. 이 과정은 후각과 미각의 수용기에서 일어난다
신경섬유 nerve fiber 대부분의 감각 뉴런에서,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뉴런의 긴 부분
신경섬유간 패턴 이론 across-fiber pattern theory across-fiber pattern coding theory를 보라.
신경섬유내의 칼륨 potassium in nerve fibers
신경성 식욕부진; 거식증 anorexia nervosa 아사상태에 이를 수 있을 정도로 음식을 적게 먹거나 먹기를 거부하는 장애
신경성 청력 상실 neural hearing loss
신경세사 neurofilament 긴 단백질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막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세포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막 속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위치를 조절한다.
신경심리학 잡지명 neuropsychologia 신경심리학 잡지명
신경의; 시선 수렴 neural 많은 수의 뉴런이 그보다 적은 수의 뉴런으로 시냅스하는 과정
신경전달물질-의존성 이온통로 neurotransmitter-dependent ion channel 신경전달물질이 결합하면 열려서 세포 안팎으로 특정 이온을 통과시키는 통로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 다른 뉴런이나 근육 세포를 흥분시킬 수 있는 뉴런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저장되었다가 방출되는 여러 종류의 화학 전달물질을 총칭함
신경절 세포 ganglion cells 양극세포와 애머크라인 세포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망막의 뉴런. 신경절 세포의 축색은 시신경에서 시상의 외측 슬상핵으로 뻗어 있는 신경 섬유이다
신경절세포 ganglion cell 망막에 있는 양극세포로부터 입력을 받아 뇌로 시각정보를 전달하는 세포로서, 이 세포들의 축색이 시신경을 구성한다.
신경조절물질 neuromodulator 신경전달물질처럼 뉴런의 종말단추에서 방출되지만 더 많은 양이 분비되고 더 멀리 확산되어 특정 뇌 부위에 있는 많은 뉴런의 활동을 조절하는 화학물질. 자기 혼자서는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지만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면 그 효과를 증폭시킨다. 어떤 신경조절물질은 혈관으로 흡수되어 뇌의 다른 부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신경처리 neural processing
신경통합 neural integration 특정 뉴런에서 일어나는 흥분성 시냅스와 억제성 시냅스의 상호작용 효과
신근성 효과 recency effect 계열 위치 효과에서 목록의 끝 부분에 위치한 단어들을 더 잘 재생하는 현상.
신뢰 confidence 정확하게 측정되어 믿을 수 있음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 모집단 평균이 특별한 신뢰도(일반적으로 95% 혹은 99%)를 가지고 놓여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점수 구간.
신뢰도 수준 confidence level 유의도 수준을 보라
신뢰도 reliability 실험 결과의 반복 가능성을 지칭한다; 추론 통계는 한 발견이 반복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추정치를 제공한다; 또한 검사를 두 번 치른 참가자에게서 얻은 점수
신속 경로 transient channel
신속 반응 transient response 감각수용기의 흥분을 신경섬유가 신속하게 중추로 전달하는 것.
신속 순차 시각 제시 RSVP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의 약어이다. 여러 장의 화면(그림 카드)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제시하는 실험 기법을 말한다. 시간 간격은 실험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겠으나, 통상 150 ~ 200 msec 이하이다.
신속순차시각제시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신연결주의 neoconnectionism 신경망 모델에 근거하여 인지현상을 설명하려고 하는 인지심리학의 한 부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자극에 대한 표상은 특정한 장소에 기억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신연결주의에 따르면 자극에 대한 표상은 여러 위치에 분산되어 저장되며, 저장되는 정보도 자극과 관련된 의미 차원들의 행렬들의 조합으로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신인식기 Neocognitron 인식기(cognitron)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Fukushima(1975)가 제안한 패턴인식 모형이다. 둘 다 인간의 시각피질처럼 멀티레이어 계층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신인식기는 Hubel과 Wiesel에 의해 제안된 시각시스템 모델과 더 일치한다. 따라서 신인식기는 회전, 이동, 왜곡 및 축척변화와 패턴을 인식하는 능력면에서 인식기보다 훨씬 더 강력하며 인식기처럼 훈련을 통해 자기조직화한다.
신전; 신장 extension 신근이 수축하여 팔이나 다리가 펴지는 것
신체운동뇌도 motor homunculus 일차운동피질이 담당하는 신체 각 부위들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
신체적 의존성 physical dependence 약물 투여가 중지되었을 때 강한 신체적 혼란을 나타내는 적응적 상태
신피질 neocortex 대뇌피질 중 가장 최근에 진화된 부위
신행동주의 Neobehaviorism Watson의 행동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 신행동주의의 대표적인 인물은 Tolman과 Hull이다. 초기 행동주의와 비교할 때 ① 작은 단위의 자극-반응 관계로만 행동을 분석하기보다 환경에 대한 유기체의 능동적·목적지향적 반응을 중시하고, ② 자극-반응간의 직접적 관계를 다루기보다 조작 가능한 환경조건과 관찰 가능한 반응 사이에 가설적 중개변인(intervening variables)을 도입한 점이 신행동주의의 특징이다.
신혈관화 neovascularization 당뇨성 망막증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가는 혈관의 형성
신호; 신호 signal 피험자에게 제시되는 자극
신호없는 회피 unsignaled avoidance 혐오자극에 규칙적으로 선행하는 자극이 없는 도피-회피 훈련 절차. Sidman회피라고도 불리운다.
신호추적 sign tracking Epstein과 Skinner(1980)의 실험에서 사용된 절차로 화면에 광점을 보여주고는 이를 이동시켜 광점이 화면의 가장자리에 도달하면 비둘기가 먹이를 받았다. 비둘기가 먹이를 얻기 위해 해야 하는 일은 아무 것도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비둘기는 마치 자신이 그 광점을 화면상에서 움직여가게 하는 것처럼 그 이동하는 광점을 쪼기 시작했다. 이렇게 유기체가 무엇을 하는가와는 관계없이 자극 뒤에 강화물을 주면 행동에 수반한 강화 없이도 특정한 행동을 조성할 수 있다.
신호탐지 signal detection
신호탐지이론; 신호탐지 이론 signal detection theory 자극의 탐지가 피험자의 자극에 대한 민감도와 피험자의 반응 기준에 달려있다는 이론
실무율 all-or-none law 축색에서 하나의 활동전위가 일어나기만 하면 그 크기와 모양(진폭)이 거의 동일하게그 섬유의 말단까지 전파되는 상태
실무율 all-or-none principle 활동전위의 크기는 한 수준에 고정되어 있어서 활동전위는 발생하거나 하지 않는 두 가지 상태만을 가질 뿐 그 중간 크기의 활동전위는 없다는 것.
실무율적 반응 all-or-none response 신경충격은 발화하던가 아니면 안하던가 둘 중의 하나이다. 신경충격이 발화할 때는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의 강도에 무관하게 발화의 크기가 같다
실무율학습 all-or-none learning 점진적인 학습과 반대되는 용어로 학습에 요구되는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서 한꺼번에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가령 Kohler의 통찰학습에서 유기체는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더라도 그 정보들을 조직화할 때까지 의도하는 학습기준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실서증 없는 실독증 alexia without agraphia 글을 읽을 수는 없으나 쓸 수는 있는 언어장애. 순수실독증(pure alexia)이라고도 한다.
실서증/필기불능증 agraphia dysgraphia 시각과 손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 글을 못 쓰는 경우.
실세계 계산 프로젝트 real world computing 1992년에 일본에서 시작된 신경망 컴퓨터, 병렬 및 광학 컴퓨터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기술의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실수; 슬립 slip 상황에 대한 인식도 올바르고, 올바른 의도도 있었지만 잘못된 행동이 우발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대표적인 사례가 타자수가 잘못된 자판을 누르는 것, 또는 운전기사가 전조등 대신에 앞 유리 와이퍼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실시간 real time
실시간 realtime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한 즉시 응답이 가능한 시스템. 온라인이 결합되어 실시간 온라인 게임이나 증권업무가 가능해진다.
실어증 aphasia 말을 하지 못하거나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글을 쓰지 못하는 이상 증상
실용적 추리 도식 pragmatic reasoning schemata 허락을 받거나 책무를 완수해야 하는 실제적 장면을 평가할 때 이용되는 조직화된 지식 구조.
실용적 추리 도식 pragmatic reasoning schema 허락을 받거나 책무를 완수해야 하는 실제적 장면을 평가할 때 이용되는 조직화된 지식 구조.
실인증 agnosia 뇌 손상으로 인하여 대상에 대한 인식이 안 되는 증상이다. 일반적인 실인증의 특성은 대상이나 형태에 대해 지각하는 것인 가능하지만, 지각된 대상이 무엇인지 인식할 수 없다. 감각양상에 따라 시각실인증, 청각실인증, 통각적실인증, 연합성 시각실인증등이 있다.
실재론 realism 연구절차가 실세계의 특성들과 필적되는지의 정도
실제 운동 real movement 자극의 물리적인 운동
실행 주의; 집행적 주의 executive attention 정보를 처리하는 각 심리과정들의 시작, 진행, 종료 등을 통제하는 주의를 말한다. 작업기억 모형에서 중앙집행 기능과 관련되는 주의이다.
실행 execution
실행속도 run rate 유기체가 강화를 받고 난 후 일단 다시 반응하기 시작했을 때 반응하는 속도.
실행실서증 apraxic agraphia 자발적으로 글씨를 쓸 수는 있으나 받아쓰기 같이 지시에 의한 글쓰기는 불가능한 장애 ??????(확인 요)
실행제어; 실행통제; 집행 통제 executive control 과제 수행의 시작, 진행, 종료 등의 제어/통제를 말한다.
실행증 apraxia 근육에는 이상이 없어서 자발적인 움직임은 가능하나 지시에 따른 운동을 하지 못하는 장애
실험 경제학 experimental economics 경제학 원리를 연구하는 데 강화계획을 사용하는 것. 행동 경제학이라고도 불린다.
실험 집단 experimental group 실험에서 독립변인에서 관심 있는 수준을 받는 집단. 무작위로 실험 처치에 할당된 집단
실험 후 질문법 post-experiment questioning 실험을 마친 후 실험자가 즉석에서 물어보거나 구조화된 필답식 설문지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조사형태.
실험 experiment 행동에 대한 환경의 조작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어떤 환경을 체계적으로 조작; 특정한 비교를 생성한다
실험가설 experimental hypothesis 대립가설이라고 불림. 영가설에서 공식적으로 진술되는 동등성(equality)에 상반되는 논리적 상태.
실험설계 experimental design 가설의 검증을 위한 실험을 행하기 위해 조건들을 미리 계획하는 것.
실험신경증 experimental neurosis 원래의 조건자극과 새로운 자극의 유사성이 높을수록 변별학습은 상대적으로 어렵게 된다. 실험용 개에게 매우 유사한 두 조건자극을 변별하도록 요구하면 개가 어떤 자극에 반응해야 할지 몰라 쩔쩔매는 신경증과 유사한 상태가 되는데 Pavlov는 이러한 현상을 실험신경증이라 하였다.
실험실 laboratory 실험을 목적으로 설치한 방.
실험심리학 계간: 비교 및 생리심리학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Comparative and Physiological Psychology 생리심리학적 연구 및 다양한 비교연구를 수록한 학지
실험심리학 계간: 인간실험심리학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Experimental Psychology 인간을 대상으로 수행한 다양한 실험결과를 수록한 학지
실험심리학의 모델로서 견과학 hard science 심리학 역사의 초창기에 과학을 강조하는 심리학에서 자신의 모습을 물리학이나 화학과 같은 이미지에서 찾으려는 것.
실험심리학지: 동물행동과정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Animal Behavior Processes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연구한 학술지
실험심리학지: 인간지각과 수행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인간의 지각과 인지, 수행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을 보여준다
실험심리학지: 학습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학습, 기억, 인지에 관한 다양한 실험연구들을 보여주는 학지
실험오차 experimental error 실험에서 통제되지 않은 모든 변량원들.
실험자 편향 experimenter bias 결과가 실험자가 바라는 방향대로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발생되는 편향
실험적 절제 experimental ablation 뇌에서 특정 영역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그로 인해 동물이 더 이상 수행할 수 없는 행동을 관찰하여 손상된 뇌 영역의 기능을 추론할 수 있다.
실험적 통제 experimental control 종속변인에 대한 어떤 효과를 독립변인의 조작으로 인한 것이라고 귀인할 수 있도록 실험에서 과외변인을 일정하게 유지시킴
실험집단 experiment group 독립변인의 처치를 받는 피험자 집단
실험하기 experimentation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밝히기 위해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통해 그 가설을 검증하는 절차를 거친다. 가설은 원인이 되는 독립변인과 그 결과가 되는 종속변인과의 가설적 관계에 대한 진술이다. 실험법은 엄밀하고 신뢰로운 방법이지만 실험의 수행과 분석에 많은 비용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실현성 분석 realizability analysis 시스템이 원래 설계되거나 의도된 바대로 제작되거나 실현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
심근 cardiac muscle 평활근과 골격근의 중간적인 특성을 갖는 심장 근육. 동물의 모든 운동은 근육의 수축에 의존하는데, 척추동물의 근육은 평활근, 골격근, 심근으로 나뉜다.
심리과학 학술지 Psychological Science 심리과학 학술지
심리시간 분석법 mental chronometry 자극을 제시한 순간부터 반응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며 이 반응시간의 특성으로부터 정보처리과정의 즉, 심리적 과정의 특성을 추론하는 것을 말한다.
심리신경면역학 psychoneuroimmunology 면역계와 행동(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
심리언어학 psycholinguistics 언어를 이해하고 산출하는데 포함되어 있는 심적 과정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하는 학문.
심리적 반사 psychological reflex 조건반사라고도 하며 중성자극과 무조건자극이 반복해서 주어지면 중성자극이 무조건자극에 의해서만 유발되던 반사를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즉, 종소리와 먹이가 반복하여 주어지면 종소리만 들려도 침이 흘러나온다.
심리적 불응기 psychological refractory period
심리적 창의성 psychological creativity 이미 누군가가 처음 생각했지만, 개인이 생각하기에 새로운 창의적 산물이나 사고를 지칭하기 위해 Margaret Boden이 쓴 용어.
심리측정 척도 psychometric scaling 입력이 명백하게 상세화되지 않은 심리학적 개념의 측정
심리측정 psychometrics 인간의 심리적 속성을 체계적이고 수량적으로 측정하는 학문. 즉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대상이 심리적 속성과 관련된 행동을 얼마나 많이 보이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것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을 뜻한다.
심리측정 psychometric 인간의 심적 능력을 측정하는 것.
심리학 개관 학술지 Psychological Review 각 분야의 연구를 개관해 놓은 논문들을 수록한 학술지
심리학 초록 Psychological Abstracts 심리학 주제와 연관되어 있는 거의 모든 학술지 논문의 초록을 등재한, APA가 발행하는 학술지
심리학의 원리 principles of Psychology 기능주의 심리학의 선구자인 William James의 저서로 1890년도에 출간.
심박률 heart rate 일정시간동안 심장이 박동하는 정도.
심박조절기 pacemaker 심근을 수출시켜 심박율을 조절하는 심장의 부분.
심상 가능성 imagery potential 개념을 심상화하기 쉬운 정도로, 단어의 심상 가능성은 사람들에게 단어를 제시하고, 그 단어에 대한 심상 형성 용이성을 주어진 척도 상에 평정하게 함으로써 측정된다. 대개 구체적인 단어의 심상 가능성은 높게 그리고 추상적인 단어의 심상 가능성은 낮게 평정된다.
심상 도식 image schema 세상의 물건이나 상황에 대해 그 기본적인 측면을 표상하는 단순한 심성 모형. 예컨대, 부분-전체 심상 도식은 사물들이 여러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생각을 나타낸다.
심상 imagery 기억하기 위해 마음 속에 형성하는 상.
심상가 imagery value 심상화하기 용이한 정도. 예컨대, 요술쟁이, 옷, 편지, 호텔과 같은 구체적 단어는 심상가가 높으며, 노력, 의무, 본질, 필요와 같은 추상적 단어는 심상가가 낮다.
심성어휘집 lemma 단어들의 정보가 장기기억에 표상되어 있는 시스템. 특정 단어의 제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을 뒤져 보는 것 처럼 심성어휘집을 통해 특정 단어가 가지고 있거나 연관된 정보들을 활용하게 된다.
심신관계론 mind-body question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론
심신문제 mind-body problem 어떻게 신경 자극과 같은 신체적인 과정이 지각경험과 같은 정신적인 과정을 발생시킬 수 있느냐에 대한 문제
심인성 기억상실증 psychogenic amnesia 뇌손상 등의 기질적 원인이 아니라 심리적 외상 (예: 아동 학대)으로 인해 기억을 상실하는 것.
심적 갖춤새 mental set 문제 상태를 거의 의식하지 못하고 판에 박힌 사고에 파묻히는 것. 사람들이 문제를 풀려고 할 때 보통 전에 쓴 절차를 쓰거나, 그 문제를 어떤 한 방식으로만 공략하려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보통 옳은 해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해법에만 몰두하고, 그 방법이 그 문제에 부적절하면, 사고가 판에 박히게 된다. 그 결과, 사고는 그런 식으로 틀이 잡혀가는 부적절한 심적 갖춤새를 갖게 된다.
심적 수행 mental operation 심적 회전이나 심적 주사, 혹은 심적 분류와 같이 인간의 정신세계에서 일어나는 아날로그적 지식표상의 활용행태
심적 어휘집 mental lexicon 단어들의 정보가 장기기억에 표상되어 있는 시스템. 특정 단어의 의미 등을 찾아보기 위해 사전을 찾아 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심성 어휘집을 뒤져서 특정 단어가 가지고 있거나 연관된 정보를 활용하게 된다.
심적 조작자 mental operator 문제 해결에서 한 상태를 다른 상태로 바꾸려 할 때 필요한 계산하기 또는 조작을 가하는 행위인 조작자를 뜻하는데, 이는 머리속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심적 조작자이다.
심적 표상 mental representation 물체, 문제, 일의 상태, 배열 등에 관한 지식이 마음에 저장되는 방식. 이 세상에서 사물이 조작되는 방식과 비슷하게 조작될 수 있다.
심적; 정신적; 심성적 mental 인간의 정신, 마음에 관한 것.
심적모형; 정신모형; 심성모형 mental model 세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이나 상황을 묘사하는 마음의 표상.
심적분비 psychic secretion 파브로프의 조건형성실험에서 여러 번 먹이를 받아먹었던 동물은 입 속에 무언가가 들어오기도 전에 침을 흘리기 시작하는데 이것을 심적 분비라고 한다. 파블로프도 이 심적 분비가 동물의 생각, 기억, 또는 소망에 의해 유발된다고 가정했다.
심적지도 mental map 실제 측량에 의한 지도와 달리 자신만의 중요한 혹은 의미있는 지역에 대하여 형성된 개인의 내적인 지도표상을 말한다.
심적회전 mental rotation 시각심상의 심적 조작의 한 형태로 내적 이미지를 평면적 또는 입체적으로 회전시키는 조작.
심층 구조 deep structure 문장 요소들 사이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구절 구조. 문장이 실제로 서술되는 방식과는독립적이다.
심층 난독증 deep dyslexia 뇌 손상으로 인한 읽기 장애로, 단어를 소리 중심으로 파악하지 않고 단어의 시각적 모양 중심으로 파악한다. 추상 단어보다 구체 단어를, 기능 단어보다 내용 단어를, 비단어보다 단어를 더 잘 알아본다.
심층 철자체계 deep orthography 철자와 소리 사이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거의 없는 철자 체계로, 영어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심혈관계 반응 cardiovascular activity 심장과 혈관의 순환체계 활동
싸이크릿 PsycLIT 심리학 요약 CD-ROM 데이타 베이스 Psychological Abstracts;PsycINFO
싸이크인포 PsycINFO 대부분의 심리학 학술지의 초록을 담고 있는 컴퓨터화 된 데이터베이스
쌍 연합 paired-association 인접 단어들간 결합으로, 인간의 언어 학습은 문장 속에 있는 인접 단어들간 결합을 학습함으로써 이루어질 것이라는 생각.
쌍대연합학습 paired associate learning 단어나 다른 자극들의 쌍으로 구성된 학습 과제로 순행간섭을 연구하기 위해 많이 사용한다. 피험자에게 각 쌍의 첫 번째 항목을 제시하고 두 번째 항목을 말하게 한다. 전형적인 예는 배고프다-아름답다 같이 쌍으로 된 단어 목록을 학습한 후 첫 번째 단어(배고프다)가 주어지면 피험자가 두 번째 단어(아름답다)를 말하는 것이다.
쌍별비교 pairwise comparison 흔히 연구자들은 처치평균들의 모든 가능한 쌍들의 차이에 대한 유의도를 평가하는데 관심을 갖는다. 이 때 행하는 비교절차이다.
쎄타활동 theta activity 1단계 수면에서 나타나는 3.5-7.5 Hz의 뇌파
sone 소리크기의 단위. 1 sone은 40dB에서 1,000Hz 소리 크기이다. 데시벨과 소리 크기의 관계는 지수가 0.6인 지수함수이다. 쏜 단위는 1 쏜을 기준으로 크기 추정법으로 측정한 것이므로, 주관적인 크기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쏜다이크 Thorndike.E.L. 미국 태생의 심리학자로 William James의 영향을 받았으며 문제상자(puzzle box)를 사용한 고양이 실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반응은 점차 발생확률이 증가하지만 부정적 결과를 가져오는 반응은 점차 발생확률이 감소한다는 효과의 법칙을 주장하였다. 이것을 시행착오학습이라고 하며 도구적 조건형성이라고도 한다.
쓰리마일 섬 three mile island 1979년 3월28일 미국의 펜실베이니아주 쓰리마일섬에 있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가압냉각수형(加壓冷却水型) 원자로의 노심(爐心) 파손사고.압력 이상에 대비한 안전판도 고장나고 종업원의 조작 잘못까지 겹쳐 한때 폭발위험에 이르렀다.이 사고로 원자로내의 온도가 고온이 됐을 때 작동하게 돼 있는 긴급노심냉각장치가 작동하지 않았다는 설계상의 잘못이 지적됐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