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도 validity 한 관찰 또는 절차가 흠이 없거나 참된 것인지를 지칭함
타당한 valid 타당한 단서, valid cue와 같이, 단서가 표정을 제대로 지시할 때 사용한다. 타당도, validity를 조작하여, 단서가 타당한 정도를 조절하기도 한다.
타이로신; 티로신 tyrosine 카테콜아민의 전구물질로서, 음식물로 섭취하는 필수 아미노산이다.
타이핑 typing 타자기나 문서 작성 도구로 글자를 침.
타자 수준 모형 keystroke-level model 인간의 타자 수행을 이론화하는 대표적인 모형으로 과제 수행을 성분들로 쪼개고 각 성분들의 수행에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여 수행을 예측하고자 한다(Card et al, 1983). 과제의 수행성분이 잘 알려져 있을 때는 GOMS 모형이 좋은 모형이지만 잘 알려져 있지 않거나 사용자가 숙련되지 않은 경우에는 타자 수준 모형이 더 좋은 모형이다.
타행동 차별강화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zero responding(무반응 차별강화)을 보시오.
탄도운동 ballistic movement 말그대로 "던지는" 운동으로서, 너무 빨라서 되먹임을 통해서는 수정될 수 없다. 따라서 근육 운동의 순서가 사전에 프로그램되어야 하며, 각 근육은 적절한 시간에 활성화되어야 한다.
탄산리튬 lithium carbonate 조울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탈력발작 cataplexy 기면발작의 한 증상으로서, 환자가 갑자기 맥이 풀려 밀가루 푸대처럼 쓰러져 버리는 것. 즉 REM 수면시의 근육마비가 부적절한 시간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그런 후 의식이 완전한 상태로 몇 초에서 수 분까지 그대로 누워 있는다.
탈분극 depolarization 세포막 전위가 약 -70mV의 정상적인 안정전위(resting potential)에서 0V방향으로 감소하는것.
탈습관화 dishabituation 습관화는 특정대상에 주의를 기울인 후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흥미가 사라져 더 이상 그 대상에 대한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하며, 탈습관화란 어떤 대상을 기존의 것과 다르게 지각하면 주의가 옮겨져 그 대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탐구 전략 exploration strategy 발명-전 모양(preinventive forms)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
탐사어 probe 탐색 목표가 되는 단어(자극).
탐색 절차 exploratory procedures EPs. 3차원의 물체를 촉각으로 알아내는 동안의 손과 손가락의 움직임.
탐색학습 exploratory learning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연구의 주요 주제의 하나이다(Trudel & Payne, 1995, 1996; Rieman & Young, 1996). 탐색학습은 일종의 문제해결을 통한 학습과정으로서, 우리가 환경, 제품, 혹은 소프트웨어 등을 이리저리 시험하면서 그 구조와 기능 등을 배우는 과정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안내서 없이도 전자시계의 단추들을 눌러 보고 그 결과를 지켜보면서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다.
탐조등 searchlight
탐지 detection 자극의 존재를 알아차리는 것. 주로 제시되는 자극이 출현하였다고 단하는 것을 말한다.
탐지가능성 detectability 표적을 탐지할 수 있는 가능성.
탐지과제 detection paradigm 자극의 출현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과제. 실제 적용에서는 실험참가자가 무조건 자극이 출현했다고 판단하는 경향을 없애거나 줄이기 위해, 실제로 자극을 제시하지 않는 시행(catch trial)을 사용한다.
탐지하다 detect 탐지, detection을 보시오.
태생적 백내장 congenital cataract
터너 증후군 Turner`s syndrome 성염색체가 X 염색체 하나뿐인 경우. Y 염색체가 없으므로 고환이 발달하지 않으며, 두 개의 X 염색체를 필요로 하는 난소 또한 발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터너 증후군에 걸린 사람은 아무 생식선도 갖고 있지 않지만 정상적인 여성 내부 성기관과 외부 생식기를 지닌 여성으로 발달한다. 물론, 난자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아이를 낳을 수는 없다.
터너스 효과 Ternus effect 세 점이 나란히 있는 화면과 그 세 점이 한 칸씩 오른쪽으로 이동한 화면을 번갈아 보여주면, 가현 운동을 경험할 수 있다. 첫 화면에서 오른쪽이 두 점 혹은 둘째 화면의 왼쪽의 두 점은 언제나 제시되기 때문에, 관찰자는 첫 화면의 맨 왼쪽의 한 점이 다음 화면의 맨 오른쪽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지각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관찰자는 세 점이 한꺼번에 오른쪽으로 이동하였다가 제자리로 돌아오는 가현운동을 경험하는데, 이처럼 전체의 가현 운동을 경험하는 효과를 말한다.
터널 시각 tunnel vision 주변시가 거의 없을 때의 시각.
터키 검증 Tukey HSD test 모든 집단의 사례수가 동수 n이고 평균치간의 1대 1의 짝의 비교를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사후검정법.
텅스텐 빛 tungsten light 텅스텐 필라멘트에 의해 생성되는 빛. 텅스텐 빛은 단파장에 비해 장파장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강도를 지닌 파장 분포를 가지고 있다.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하나로서 고환에서 분비된다. 태아에게서 남성화 효과를 일으키며, 공격성에도 관여한다. angrogen
테스트; 검사; 시험; 검증 test 검사하여 증명하는 것.
텍스톤; 결요소; 결원소; 결소자 texton Julesz에 의해 제안된 사물 지각과 결의 분리를 위한 기초요소
텍스트 기반 textbase 담화 처리에서, 서술되기는 하지만 그 생각들을 정확하게 문구화 한 것은 아닌 생각들을 파악하는 심적 표상.
텍스트 text 글로 하는 의사소통에 가장 많이 쓰이는 형식으로, 소설, 뉴스, 보고서 등 다양한 형식을 띤다. 텍스트는 그 종류에 따라 담화문, 이야기, 기술문, 설명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이해자의 처리가 달라질 수 있지만, 텍스트의 이해와 기억의 근간을 이루는 응집성, 기억 표상 등은 텍스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처리 과정을 거친다고 가정된다.
토큰 token 행동치료 기법의 하나인 토큰경제에서 사용되는 명목화폐. 학습자가 기대에 맞는 행동을 하였을 때마다 제공되며 일정한 분량을 모으면 그에 해당되는 강화를 얻을 수 있다.
토큰경제 Token economy 행동치료 목적으로 응용되는 토큰 프로그램은 조작적 조건형성 원리에 근거한다. 토큰경제는 원하는 목표반응을 설정하고 그러한 행위를 했을 때는 명확하게 대가를 지불하는데, 대가로 받은 토큰이나 점수는 어떠한 강화물과도 교환이 가능하며 과제의 복잡성에 따라 토큰의 수에 차등을 둔다. 이 기법은 정신병원이나 교실상황에 적용되었다.
톤(색) tone 1. [색) 색상의 명도와 색의 채도를 사람들이 잘 분리(구별)하지 않고, 묶어서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어떤 색상의 명도와 채도가 이루는 영역의 여러 부분을 나누어 부를 때 그 영역을 OOO 톤이라고 한다. 예컨대, 생생한 톤, 어두운 통 등이 있다.
톨만 Tolman Edward Chace Tolman(1886-1959)은 학습이론에 인지적 개념들을 끌어 들이고, 왓슨이나 손다이크의 미시적 학습이론을 거부하였다. 톨만은 경험과 행동 사이에 중개변인 개념을 도입하고 그것을 조작적으로 정의하려 하였다. 그는 잠재학습(latent learning)에 관한 실험들을 기초로 '학습'(leraning)과 '수행'(performance)을 구별하였는데 한 실험에서 쥐에게 강화를 전혀 주지 않아도 쥐는 미로의 특징을 잠재적으로 '학습'할 수 있었다. 그리고 "차별적인 보상이 실제로 도입되는 바로 그 순간 잠재해 있던 학습이 비로소 겉으로 드러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수행이다. 톨만에게 있어서 학습이란 자극-반응의 연쇄를 형성하는 과정이 아니라, 게슈탈트적인 기호로 인지도(cognitive map)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통각성 시각실인증 apperceptive visual agnosia 시력은 정상이나 시지각에 결함이 있는 시각실인증의 한 형태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비교적 정상적으로 탐지하지만 대상물체의 모양을 보고 그것을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하는 증상.
통각성의 apperceptive 통각성 시각실인증을 보라
통각에 대한 중추 효과 central effects on pain
통계 검증력 power of a statistical test 통계 검증에서 영 가설이 틀렸을 때 영 가설을 기각하는 확률
통계 검증력 power 통계 검증에서 무위가설이 틀렸을 때 무위가설을 기각하는 확률
통계 statistics 일정한 집단적 현상을 그의 요소나 부분의 하나하나에 대하여 대량적으로 관찰하고 계량하여 그 대세를 숫자로 나타낸 것
통계 statistic 표본의 측정가능한 특성
통계가설 statistical hypothesis 여러 처치 모집단들의 모수치들에 대해 진술하는 가설이다
통계적 신뢰도 statistical reliability .05보다 작은 알파 수준을 낳는 통계 검증에 근거하여 무위 가설을 기각함
통계적 유의도 statistical significance 표본의 관찰된 특성이 우연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전집의 실재 특성이라고 과학자들이 말할 수 있는 통계적 확률에 도달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라고 말한다
통계적 추론 statistical estimation 표본으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모집단에 대한 추측, 또는 결정을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통계적 회귀 statistical regression 피험자들이 특정검사에서 매우 높은 점수를 얻거나 매우 낮은 점수를 얻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하여 선발되었을 때, 두 번째 검사에서는 그들의 점수가 평균을 향하여 옮겨가기 쉽다는 것을 말한다
통로 path 의미 연결망에서 개념들을 연결하는 이음.
통사 범주 규칙 syntactic category rule 말실수나 쓰기 실수 중 하나인 교환 오류에서 두 단어는 동일한 통사 유목에서 나오는 경향이 있다는 실수의 형태.
통사론 syntax 어떤 문장 구조가 허락되는지를 명세화한 규칙
통사적 모호성 syntactic ambiguity 더 이상의 정보가 제공되기 전에는 두 가지 이상의 다른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어 모호한 문장이나 구절.
통사적 문맥 syntactic context 단어 인지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 중 하나로, 문장내에서 표적 단어가 통사적으로 적절하게 연결될 수 있는 조건에서 반응이 더 빠르다. 예컨대, "If you bicycle is stolen, you must FORMULATE"와 "If you bicycle is stolen, you must BATTERIES" 라는 문장에서, 두 문장의 문맥은 동일하며, 표적 단어만 다르다. 문맥의 마지막 단어 must는 조동사이므로, 문법 규칙상 조동사 뒤에 동사가 오는 것이 적합하다. 표적 단어에 대한 어휘판단 결과, 동사인 표적단어 FORMULATE에 대한 반응이 더 빨랐으며, 이를 통해 문맥에 근거한 통사적 예측이 단어 인지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통사적 자동처리 가설 syntactic bootrapping hypothesis 아이들은 단어 의미 추론에 도움이 되는 통사적인 지식을 사용할 수 있다는 가설. 예를 들어 두 세 살 정도 밖에 안된 아기들도 물질 명사와 가산 명사를 구분하여 새로운 이름이 뜻하는 바를 결정할 수 있으며, 세 살 짜리 아이들은 새로운 단어가 명사면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이 형용사라면 대상의 속성에 집중한다.
통사적 자동처리 syntactic boot-strapping 아이들이 새로운 단어의 의미를 추론할 때 통사적인 지식을 이용하는 것.
통사적 틀 syntactic frame 발화 산출에서 단어들의 순서 짓기에 사용되는 심적 구조. 이 통사적 틀에는 단어가 하나씩 들어가는 끼움새(slot), 또는 자리 맞추개(placeholder)가 있는데, 단어는 그 언어의 통사적 규칙에 따라서 이 끼움새에 들어가 자리 잡는다. 예를 들어, "Bill이 Mandi와 입 맞추었다(Bill kissed Mandi)"의 경우, 동사 입 맞추다(kiss)(과거 시제로 표지 된다)는 동사 끼움새에 자리 잡는다. 또, 영어에서는 행위의 주체가 먼저 나오므로, Bill이 처음 나오는 명사 끼움새의 자리에 놓인다.
통제 과정 control process 지식 습득을 촉진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전략들로 이들 전략에는 시연, 부호화, 그리고 심상화 전략이 포함된다.
통제 변인 control variable 실험에서는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잠재적인 독립변인
통제 조건 control condition 피험자 내 설계에서 비교조건
통제 처리 controlled process 의식적 주의를 요구하는 정신 과정.
통제 control 다른 변인의 혼입 없이 독립변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피험자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
통제집단 control group 피험자간 실험에서 독립변인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변인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독립변인의 영향을 받는 실험집단과 비교된다.
통증 지각 pain perception 통증에 대한 지각. 일반적인 피부의 통증은 위해수용기가 감지한다. 그러나 외적 통증 자극이 없음에도 통증을 경험하는 환상지(phantom limb) 현상이 있다.
통증의 대문 통제 조절 이론 gate control theory of pain
통찰 문제 insight problems 단계를 밟아서 해답에 조금씩 가까이 가는 것이 아니라 아주 갑자기 해답에 도달하는 문제.
통찰 insight 사람들은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할 때 갑작스럽게 해결책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문제가 ‘통찰에 의해’ 해결되었다고 말한다. 통찰적 문제해결에 관한 가장 유명한 Kohler의 실험에서 원숭이는 시행착오 없이 순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행동에 대한 강화로 학습을 설명하려는 행동주의이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통찰적 문제해결 insightful problem solving insight learning을 보시오.
통찰학습 insight learning 시행착오적인 무선적인 반응의 반복이 아니라 환경의 자극요소들을 유의미한 전체로 관련짓고 의미있는 인지구조를 형성하는 통찰(insight)에 의해 학습하는 것. Ko¨hler(1925)는 문제상황에서 한참 동안 아무런 진전이 없다가 갑자기 문제가 해결되는 통찰학습에 대한 고전적인 연구를 수행한바 있다.
통합 pooling 개개의 집단내 자승화를 합하는 것
통합된 집단내 변량 pooled within-group variance 전반적 변량분석의 오차변량
통합적 대 분리적 integral versus separable
통합차원 integral dimensions
투과성; 투과율; 침투성 permeability 분자가 막을 통과할 수 있는지를 일컫는 막의 속성. 분자에 대한 투과성이 높다는 것은, 그 분자가 쉽게 막을 통과할 수 있다는 것.
투렛 증후군 Tourette`s syndrome 얼굴 찌푸리기, 왔다갔다하기, 빙빙 돌기, 소리지르기, 킁킁거리기, 기침하기, 중얼거리기, 특정 말(특히 상스런 소리)을 되풀이하기 등의 불수의적 근육 경련 및 음성 경련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인 유전적 장애. 흔히 강박장애 같은 정신과적 문제가 동반됨.
투명성 transparency 유리와 같이 빛을 전부 혹은 일부 통과시키는 물체가 갖는 지각적 성질(투명성). 투명한 물체를 없는 것으로 보지 않고, 그 물체의 투명성을 지각하는 문제가 바로 투명성 지각(transparency perception)의 문제이다.
투사 섬유 projection fiber 뇌의 한 영역에 위치한 세포체들에서 시작되어 다른 영역에 있는 뉴런들에게까지 가서 시냅스를 맺는 축색
튜링머신 Turing machine 1936년에 Alan M. Turing이 고안한 추상적 계산기계이다. 튜링머신은 순서에 따라 계산이나 논리조작을 행하는 장치로 적절한 기억장소와 알고리즘만 주어진다면 어떠한 계산이라도 가능함을 보여주어 현대 컴퓨터의 원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튜링머신은 직렬방식 계산의 단순성과 범용성과 함께 직렬방식으로 처리되기 어려운 함수가 존재할 수 있음도 보여주었다.
특성 주파수 characteristic frequency 청각계의 뉴런이 최저 역치를 가질때의 주파수.
특수 신경 에너지 이론 doctrine of specific nerve energies 뇌가 감각 신경으로부터 환경에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각 감각 신경들의 활동을 체크하여 서로 다른 감각들을 구별한다는 이론.
특수 신경 에너지설 doctrine of specific nerve energy 어느 감각신경이 반응하는가에 따라 다른 감각이 느껴진다는 이론
특수 언어 기제 special speech mechanism 말 지각에서 제안된 기제로, 말 자극은 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기제를 활성화시킨다는 가설.
특수 언어 장애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통사 능력에서 보면 언어 기술이 아주 형편없지만, 지능의 다른 비언어적 검사에서는 수행이 좋은 사람이 가진 장애. 이 장애를 가진 이들은 문법적 형태를 숙달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말하는 것이 느리고 조심스럽고, 문법적 오류가 있는 문장을 말하는 비율이 높다.
특수한 배고픔 specific hunger 유기체가 특수한 영양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음식을 찾도록 도와주는 유전적으로 프로그램된 맛 선호.
특정 부호화 specificity coding 특정한 감각 자극이 그 감각에 전문적으로 할달된 수경기에 의해 감지된다는 것. 보통 '~ 이론'이라 하여 그런 이론을 가리킨다.
특정성 이론 specificity theory 특정한 자극의 특성에 대해서만 발화하는 특수한 신경섬유의 활동에 의해 각각 다른 특성이 뇌에 전달된다는 이론.
특질 기하론 feature geometry
특징속성 characteristic attribute
특징적 세부특징 characteristic features 세부특징 비교 모형에서 세부특징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범주 소속성을 정의하는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세부특징인 정의적 세부특징, 범주 소속성을 정의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많은 범주 사례들이 공유하고 있는 세부특징을 특징적 세부특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새의 특징적 세부특징으로서 '날 수 있다', '크기가 작다' 등을 들 수 있다.
특징적 세부특징 characteristic feature 세부특징 비교 모형에서 세부특징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범주 소속성을 정의하는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세부특징인 정의적 세부특징, 범주 소속성을 정의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많은 범주 사례들이 공유하고 있는 세부특징을 특징적 세부특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새의 특징적 세부특징으로서 '날 수 있다', '크기가 작다' 등을 들 수 있다.
특징통합론; 세부특징 통합론 FIT Feature Integration Theory를 말한다. Triesman이 제안한 이론이다. 형태가 시각 체계에 입력되면 우선 형태의 여러 속성인 모양, 크기, 방향, 색상, 명도 등의 정보가 병행 독립적으로 처리된 다음 각 속성의 위치를 저장하는 특징 지도에 저장된다. 그 다음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초점 주의에 의해 형태의 여러 속성이 통합되어 대상파일(object file)에 저장된다. 이 파일이 재인되어 우리가 형태를 알아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틀 효과 framing 의사 전달을 어떤 틀(frame) 안에서 하느냐에 따라 전달받은 사람의 태도나 행동이 달라지는 것/효과. (그것을 이용할 목적으로 액자 <또는 틀>를 꾸미는/조작하는 일을 'framing'한다고 함.) 즉, 제시되는 정보의 배열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는 것 (예를 들면, A 형태의 정보 제시: 새로운 암 치료제는 45%의 생존율을 보인다, B 형태의 정보 제시: 새로운 암 치료제는 55%의 사망률을 보인다.) 다시 말해, 똑같은 제품인데도 정보 제시의 형태를 어떻게 바꾸느냐에 따라 평가가 급격하게 바뀔수도 있다.
틀문제 frame problem
틀효과 framing effect 사람들이 어떤 문제에 대한 여러 대안들 중 선택을 할 때, 각 대안이 어떻게 이야기되는가에 따라서 다른 대안을 선택하는 경향성. 즉, 어떤 문제의 “이득”과 “손실”이 논리적으로 동등할 때에도 어느 쪽의 관점에서 진술되는가에 따라서 그 해결안을 다르게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틈 램프 조사; 세극등 검사 slit lamp examinaton 각막과 수정체의 상태(condition)를 조사하는 검사
틈입 시계열 설계 interrupted time-series design 한 집단을 대상으로 실험적 처치 전에 여러 번의 관찰과 실험 처치 후에 여러 번의 관찰을 하는 준 실험 설계
틈입-시계열 설계 interrupted-time-series design 많은 수의 피험자의 행동에 대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처치의 조사를 포함하는 유사 실험
'진화의 새로운 백터-----진과 밈 > 두뇌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심리사전 -ㅎ-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0) | 2009.01.21 |
---|---|
뇌심리사전 -ㅍ-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0) | 2009.01.21 |
뇌심리사전 -ㅋ-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0) | 2009.01.21 |
뇌심리사전 -ㅊ-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0) | 2009.01.21 |
뇌심리사전 -ㅈ-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0) | 2009.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