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은현(호서대학교 교수)-

1. 들어가며
2. 창의적 인지능력 검사
3. 창의적인 인성검사
4. 기타 창의성 측정을 위한 검사들

5. 나가며

1. 들어가며

  창의성 측정과 검사 방법은 끊임없이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주제로 아직 뚜렷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혼돈 속에서 창의성 측정과 관련된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이를 범주화하면 창의적 인지 능력에 관한 검사와 창의적 인성에 관한 검사가 가장 많고 이 외에 창의적 산물과 창의적 환경, 복합적이고 비대칭적인 것에 대한 선호도, 단어를 연관짓는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들로 분류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창의적 인지능력 검사와 창의적 인성 검사들을 소개하고 다른 검사들은 기타 창의성 측정을 위한 검사로 분류하여 소개할 것이다.

2. 창의적 인지능력 검사

  창의적인 인지 능력을 측정할 때 확산적 사고력의 주 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등을 측정하는 경향이 일반적이다(성은현, 2000, 2001, 2002). 확산적 사고에 기초하여 창의적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들은 토란스 창의적 사고력 검사(TTCT;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미커(Meeker)의 확산적 사고 검사, 젤렌과 얼반(Jellen & Urban)의 창의적 사고 그림 검사(TCT-DP; Test for Creative Thinking Drawing Production)가 있고,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것으로는 정원식과 이영덕(1993)의 표준화된 창의성 검사와 전경원(1999)이 개발한 유아종합 창의성 검사 등이 있다.

  1) 토란스 창의적 사고력 검사(TTCT;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토란스 창의적 사고력 검사는 창의성 측정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로 7문항으로 구성된 언어 검사와 3문항으로 구성된 도형 검사로 나누어진다. 언어 검사와 도형 검사는 모두 동형 검사인 A형 검사와 B형 검사를 갖고 있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A형 검사이다.
A형 언어 검사의 처음 세 문항은 아래 그림을 보면서 답하는 것으로 ‘그림 속의 장면에 대해 질문하기’와 ‘그림 속의 장면이 일어나게 된 원인 이야기하기’ 및 ‘결과 이야기하기’ 이다. 그리고 이외에도 ‘코끼리 인형을 재미있게 변화시키는 방법 생각하기’, ‘상자의 용도 말하기’, ‘상자에게 질문하기’, ‘하늘에서 밧줄이 내려오는 가상의 세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상상하기’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험자는 되도록 남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독특하고 다양한 방법을 많이 대답하도록 요구받는다.

                                   〔그림 1〕 토란스 언어 검사 중 장면에 대한 질문, 원인 및 결과
                                                                   이야기하기에 사용된 그림 (김영채, 1999에서 인용)

  A형 도형 검사는 ‘그림 구성하기’, ‘도형 완성하기’, ‘평행선 완성하기’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문항에 사용된 그림은 아래와 같다.

〔그림 2〕 Torrance 도형 검사 중 (a)‘그림구성하기’, (b)‘도형 완성하기’,
                     (c)‘평행선 완성하기’에 사용된 그림 (김영채, 1999에서 인용)

   도형 검사에서도 피험자는 되도록 다양하고 독특한 생각을 많이 산출하도록 요구받는다. 언어검사와 도형 검사의 각 문항을 해결하는 데는 문항에 따라 5분 또는 10분의 제한 시간이 있으며 채점자는 (언어검사와 도형검사에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 제목의 추상성 등을 채점한다.
   이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하기 위해 토란스와 그의 동료들은 종단적 또는 단기종단적 연구를 실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하는 결과들을 제시하였지만(Torrance, 1988),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와는 달리 창의적 성취와 TTCT 결과 사이에 높은 상관을 보고 하지 않는 연구도 있어(Barron & Harrington, 1981) 이에 대한 검증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미커(Meeker)의 확산적 사고 검사

  길포드의 지능 구조 모형(Structure of Intellect Model)을 기초로 미커(1969)는 26개의 하위검사를 포함하는 ‘지능구조 학습 능력 검사(Structure of Intellect Learning Abilities Test; SOI-LA)를 제작하였다. 이 중 세 개 검사가 유창성과 융통성 및 독창성의 창의적 사고를 측정하고 있다. 이 검사는 사용 빈도가 높은 창의성 검사 여섯 가지에 속하는 것으로 Cooper(1991)의 연구에서 소개된 바 있다.

   3) 창의적 사고 그림 검사
         (TCT-DP; Test for Creative Thinking Drawing Production)

   젤렌과 얼반(Jellen & Urban, 1986)에 의해 만들어진 창의적 사고 그림 검사(TCT-DP)는 아래 그림과 같은 여섯 개의 불완전한 부분 도형을 보여 주고 자유로운 상상과 해석을 유도하여 창의성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이나 세모, 평행선이 아닌 불규칙적이고 추상적인 부분 도형 자극을 제시함으로써, 자극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데 개입할 수 있는 환경과 교육의 영향력을 배제하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 세모, 평행선 모양의 물건들이 야구공, 삼각뿔, 기찻길 등의 덜 독창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것에 비해, 이러한 추상적인 부분 도형 자극들은 지각적 오염에서 벗어난 반응을 산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창의적 사고 그림 검사(TCT-DP)는 검사와 채점 시간이 짧고 집단검사가 가능하여 경제적이라는 장점과 함께,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림 3〕 TCT-DP검사에 사용된 자극들(유연옥,허미자(1999)에서 재인용)

  4) 국내에서 개발된 창의적 인지능력 검사

  이미 오래 전에 개발하여 보완된 정원식과 이영덕(1993)의 표준화된 창의성 검사와 전경원(1999)이 개발한 유아종합 창의성 검사 등이 있다.
정원식과 이영덕의 창의성 검사는 이전의 것을 1993년 개정한 표준화된 창의성 검사로 초등학생용과 중ㆍ고등학생용이 있다. 검사는 창의적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아홉 개의 소검사와 인성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 진술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등학생용과 중ㆍ고등학생용 검사에서 공통적으로 측정하는 요인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조직성, 지각적 개방성, 성격 요인이며, 중ㆍ고등학생용 검사에서는 정교성을 추가 측정하고 있다.
   전경원(1999)이 개발한 유아종합 창의성 검사는 만 4세에서 6세 유아를 대상으로 언어영역, 도형영역, 신체영역과 관련된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한 4개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처음 두 개 검사(언어검사인 ‘빨간색 연상하기’와 도형 검사인 ‘도형완성하기’)는 유아의 응답을 근거로 상상능력과 도형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고, 나머지 두 개 검사(신체검사인 ‘동물 상상하기’와 ‘색다른 나무치기’)는 유아의 상상력과 동작성을 교사가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검사에서 주로 측정하고자하는 요인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및 상상력이다.

3. 창의적 인성검사

  창의적 인성(동기?태도 포함)과 가치관을 측정하는 검사들에는 형용사 체크리스트(ACL; Adjective Check List, Gough & Heilbrun, 1983), 카테나-토란스 창의성 지각 검사(Khatena-Torrance Creative Perception Inventory, Khatena & Torrance, 1976), GIFT(Rimm & Davis, 1976), GIFFI I, II(Davis & Rimm, 1982) 등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김종안(1998), 하주현(2000) 등의 관련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이들 검사는 대부분 자기 보고식이며 검사를 실시하고 채점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모든 자기보고식 검사가 갖고 있는 한계인 검사결과의 객관성에 취약점을 갖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1) 형용사 체크리스트(ACL) 중 창의적 인성척도(CPS; Creative Personality Scale)

  형용사 체크리스트(Gough & Heilbrun, 1983)는 심리적 욕구, 자아기능성, 지능, 창의성과 관련된 성격 특성을 나타내는 300개의 형용사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을 잘 나타내는 형용사를 체크하도록 지시한다. 창의적 인성척도(CPS)는 이 중 창의성과 관련된 30개 문항이다. 이 문항들은 유능한, 자기중심적인, 유머감이 풍부한, 독창적인, 자신을 신뢰하는 등 18개 정적 문항과 관습적인, 겸손한, 보수적인 등 12개의 부적 문항으로 나누어진다. 다른 창의성 검사들과의 준거 타당도가 높고(최인수, 2000), 내적 일치도와 타당도가 높다(Davis, 1986)는 것이 창의적 인성척도(CPS)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2) 카테나-토란스 창의적 지각 검사
       (KTCPI; Khatena-Torrance Creative Perception Inventory)

  카테나와 토란스(1976)는 개인의 창의적 능력은 개인의 성격, 사고 방법, 사고 전략, 산물 속에 나타난다고 생각하여 이를 반영하는 창의성 검사를 제작하였다. 이 검사는 권위의 수용, 자신감, 호기심, 다른 사람에 대한 의식, 정돈된 상상력을 측정하는 ‘당신은 어떤 사람입니까?(WKOPAY; What Kind of Person Are You?)’와 환경에 대한 민감성, 주도성, 자아의 힘, 지성, 개별화, 예술성을 측정하는 ‘나 자신에 대하여(SAM; Something About Myself)’로 나누어진다. 각 하위 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수는 요인에 따라 다섯 개 내지 열두 개이며, 각 요인의 문항 내적 합치도에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최인수, 2000).

  3) GIFT(Group Inventory For Finding Talent)

   이 검사는 초등학교 1, 2학년용(32문항), 3, 4학년용(34문항), 5, 6학년용(33문항)으로 나누어지며, 대상의 연령에 따라 문항수와 내용에 다소 차이를 두고 있다. 이들 검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은 독립성, 융통성, 호기심, 인내, 다양한 관심, 창의적 활동 경험에 관한 것이다.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하게 되어 있고, 실시가 비교적 간편하고 높은 신뢰도를 갖고 있다(Rimm & Davis, 1980).

  4) GIFFI(Group Inventory For Finding Interests)I, II

   GIFFI I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GIFFI II는 그 이상의 연령을 대상으로 만들어 졌으며 5점 척도로 되어 있다. 독립성, 자기 신뢰, 위험감수, 에너지, 모험심, 호기심, 숙고성, 유머감각, 예술적인 관심 및 창의적인 경험과 취미를 자기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가 간편하고 비교적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고 있다(Davis & Rimm, 1982).

  5) 국내에서 개발된 창의적 인성 검사

   하주현(2000)은 창의적 인성 검사를 개발하였는데 이 검사는 4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호기심, 자기 확신, 상상, 인내/집착, 유머감, 독립성, 모험심, 개방성의 여덟 개 요인을 측정한다. 요인 분석 결과 개방성 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김종안(1998)은 통합적 차원에서 창의성을 측정하려는 시도를 하였는데 이 안에 창의적 인성 검사가 포함되어 있다. 창의적 인성 검사는 인내심/적극성, 개방성, 호기심/상상, 유머, 비순응성, 모험심, 자기 확신의 일곱 가지 요인을 측정하고 있으며, GIFT 검사 결과를 준거로 할 때 비순응성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높은 신뢰도와 공인 타당도가 있음을 인정받았다.

4. 기타 창의성 측정을 위한 검사들

  다음에서는 창의성을 통합적인 개념으로 보려는 시도에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창의적 산물 검사와 통합적인 창의성 검사를 소개하고 창의적 환경, 복합적이고 비대칭적인 것에 대한 선호도, 단어를 연관짓는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 등 창의성과 관련된 기타 검사들을 소개할 것이다.

  1) 창의적 산물 검사와 통합적 창의성 검사

   스턴버그(Sternberg, 1995), 아마빌(Amabile, 1982) 등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등 확산적 사고 요인을 통해 창의성을 측정함으로써, 마치 창의성이 확산적 사고와 같은 것이라는 오류에 빠지게 하는 기존의 제한적인 측정 방법에서 벗어날 방법을 궁리하였다. 마침내 이들은 창의적 산물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 개인의 창의성을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생각을 반영한 것이 합의에 의한 평정기법(CAT;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인데 방법은, 연구 대상에게 창의적 산물을 만들게 하고 전문가들이 그 작품의 창의성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스턴버그(1995)는 글쓰기, 그림, 광고, 과학 영역에서 각 영역마다 제목 리스트를 주고 그중에서 두 개 제목을 골라 작품을 완성하도록 하고 그 분야의 전문가들이 작품의 창의성 정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마빌(1982)은 언어적 창의성, 공간 수학적 창의성, 예술적 창의성 등을 측정하였다. 예를 들어 예술적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피험자에게 콜라주를 되도록 재미있게 완성하도록 요구하고, 그 작품의 창의성 정도를 전문가 또는 그 분야에 어느 정도 소양이 있는 사람에게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창의성을 측정함에 있어서 인지적 또는 인성적 측면에 치우치지 않고 개인의 실제 창의성과 근접한 창의성을 측정하려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이외에도 창의성의 다원적 접근에 부응하여 통합적 창의성 검사가 만들어 졌는데 창의성 평정 검사(CAP; Creativity Assesment Packet, Williams, 1980)가 그것이다. 이 검사는 확산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 부모나 교사가 학생의 창의적 인성을 평가하는 검사, 학생 자기 평가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창의성을 좀더 거시적 안목에서 측정하려는 시도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인정되지만 아직 내용 타당도와 구성 타당도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에서는 김종안(1998)과 김혜숙(1998)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통합적 접근의 창의성 검사도구 개발을 연구하였다.

  2) 기타 창의성과 관련된 검사들

   창의성 연구에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화, 환경의 영향력이 강조되는 학문적 흐름에 따라 아마빌(Amabile, 1989)은 내적 동기와 창의적인 환경을 알아보는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이 검사는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 또는 ‘아니오’로 답하게 되어 있어 비교적 시행이 간편한 검사이다.
   바론(Barron, 1963)은 창의적인 사람은 단순한 것보다 복합적인 것을, 질서 있는 것 보다는 무질서한 것을 선호한다는 가정 아래, 그림들 가운데 단순하고 질서 있는 그림을 선호하는지, 무질서하고 복잡한 그림을 선호하는지를 알아보는 도구인 그림 선호도 검사(Barron-Welsh Figure Preference Test)를 개발하였다.
   메드닉(Mednick, 1962)은 창의적인 사람일수록 관련성이 먼 단어들을 결합해내는 능력이 있다고 가정하고 먼 결합능력 검사(RAT; Remote Associates Test)를 제작하였다. 이 검사는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험자는 각 문항에서 제시된 세 개 단어와 관련 있는 어떤 단어를 찾아야 한다. 예를 들어 피험자는 ‘쥐’, ‘농가의 작은 집’, ‘푸른색’을 연결하는 단어를 찾도록 요구받는데 답은 ‘치즈’가 될 수 있다(쥐는 치즈를 좋아하고, 농가에는 취가 많고, 농가에서 치즈를 만들며, 군데군데 푸른곰팡이가 보이는 치즈를 연상하면 될 것이다).
   행동과 동작에서의 창의적 사고(TCAM; Thinking Creatively in Action and Movement, Torrance, 1981) 검사는 유치원생 및 초등학생의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을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 이 검사에서는 어떤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동작과 행동으로 표현하게 하고 그 동작의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등을 측정한다. 토란스(Torrance), 카테나(Khatena), 커닝톤(Cunnington)이 만든 소리와 단어를 사용한 창의적 사고(TCWSW; Thinking Creativity with Sounds and Words, Torrance, Khatena Cunnington, 1973) 검사는 소리와 관련된 상상력을 측정하는 검사로, ‘의성어와 이미지 검사’, ‘소리와 이미지 검사’의 하위 검사로 나누어진다.

5. 나가며

  창의성을 측정하는 검사는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다양하다. 각 검사들은 나름대로의 장점과 단점이 있으며 이들 검사 중 어느 것이 가장 우수한 도구인지에 대해서는 일치되는 의견이 없다. 이렇게 많은 검사를 소개한 것이 오히려 독자에게 혼란을 가중시켰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Cooper(1991)의 사용 빈도가 높은 창의성 검사 여섯 가지를 소개하며 글을 마무리하려 한다. Cooper(1991)의 조사 결과, 토란스 창의적 사고력 검사(TTCT;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미커(Meeker)의 확산적 사고 검사, 창의성 평정검사 (CAP; Creativity Assesment Packet), 카테나-토란스 창의적 지각 검사(Khatena-Torrance Creative Perception Inventory), 행동과 동작에서의 창의적 사고 검사(TCAM; Thinking Creatively in Action and Movement), 소리와 단어를 사용한 창의적 사고 검사(TCWSW; Thinking Creativity with Sounds and Words)가 사용빈도가 높은 검사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이들 검사가 최선의 검사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아직 창의성 측정과 검사에 대한 정답이 없는 현실에서 독자의 사용 의도와 목적에 맞게 검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현명하리라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김혜숙
(1999). 창의성 진단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4(4), 269-303.
  성은현
성은현
성은현
성은현
성은현
(2000). 심상적 능력과 심상적 사고 횟수 및 창의성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4(1), 19-44.
(2001). 심상적 사고를 통한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 지: 발달, 14(1), 161-180.
(2002). 이미지화된 자극을 매체로 한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피험자 의 창의적 동기와 태도 변인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6(1), 75-100.
  유연옥
송인섭
,허미자(1999). 그림창의성 검사(TCT-DP)에 의한 유아의 창의성 발달. 미래유아교 육학회지, 6(2), 157-183.
  전경원
(1999). 유아종합창의성검사. 서울: 학지사.
  정원식
, 이영덕(1993), 표준화 창의성 검사 실시 요강 및 규준. 서울: 코리안 테스팅 센터.
  최인수
(2000), 유아용 창의성 측정 도구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0(2), 139-166.
  하주현
(2000). 창의적 인성검사 개발. 교육심리 연구, 14(2), 187-210.
  Amabi
Guilfor
le, T. M.(1982). Children's artistic creativity: Detrimental effects of cmpetition in a field sett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8, 573-378.
  Collin
Medni
s, M. A. & Amabile, T. M.(1999). Motivation and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oope
Osbor
r, E.(1991). A critique of six measures for assessing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5(3), 194-204.
  Davis,b
G. A.(1986). Creativity is forever. Dubuqe, LA: Kendall/Hunt.
  Davis,
Davis,
Davis,
G. A., Rimm, S. B.(1982). Group inventory for finding interests(GIFFI) I and II: Instruments for identifying creative potential in th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6, 50-57.
  Gardn
Walla
Walla
er, H.(1983). Frames of mind. N.Y.: Basic.
(1993). Creating minds: An anatomy of creativity seen through the lives of Freud, Einstein, Picasso, Stravinsky, Eliot, Graham, and Gandhi. N. Y.: Basic.
  Henne
Wehn
ssey, B. A. & Amabile, T. M. (1988).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Jellen,
Vince
H., & Urban, K.(1986). The TCP-DP: An instrument that can be applied to most age and ability groups. Creative Child and Adult Quarterly, 3, 138-155.
  Rimm,
Vince
Vince
Vince
S. & Davis, G. A.(1976), GIFT an instru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0, 178-182.
(1980), Five years of international research with GIFT: an instru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4, 35-46.
  Simon
ton, D. K. (1994). Greatness: Who makes history and why? New York: Guilford.
  Torran
Vince
Vince
Vince
Vince
ce, E. P. (1981). Thinking Creatively in Action and Movement. Bensenville. IL: Scholastice Testing Service.
(1988). The nature of creativity as manifest in its testing.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Torran
Vince
ce, E. P., Khatena, J., & Cunnington, B. F.(1973). Thinking creatively with sounds and words. Bensenville. IL: Scholastice Testing Service.
  Vincen
Vince
t, A.S., Brian, P. D., & Mumford, M. D.(2002). Divergent thinking, intelligence, and expertise: A test of alternative models. Creative research Journal 14(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