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능력이 학습능력을 좌우한다.
읽기능력은
l 글을 읽는 능력이 아니라
l 제대로 이해했느냐 즉
l 글을 읽고 이해하고
l 분석해서 판단하는 능력이다
따라서 학습능력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
(1) 사례
①중학교 1학년인 현기와 지영이의 사례(글을 읽고 자기식대로 요약하기)
l -현기: 핵심내용 추출, 내용을 나름대로 요약
l -지영: 대부분을 밑줄-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
(2) 사례
② 학업성취도와 읽기능력과의 관계
초등4학년 |
중학교 2학년 | |||
A |
B |
A |
B | |
회상능력 |
89.2% |
79.3% |
88.7% |
66.2% |
사실적이해능력 |
100% |
87% |
100% |
83% |
추론적이해능력 |
92% |
50% |
89% |
47% |
*A : 학급(32명)에서 5등 이내인 집단
*B : 학급(32명)에서 21-25등 이내인 집단
l 사실적인 이해능력은 두 집단 간의 큰 차이가 없으나
l 읽는 내용을 회상하는 능력과 추론적 이해능력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진화의 새로운 백터-----진과 밈 > 두뇌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과 관계된 뇌기능의 장애 원인에 따른 맞춤식 두뇌 트레이닝 (0) | 2010.10.19 |
---|---|
뇌신경 재활자극 운동과 치료법 (0) | 2010.10.18 |
학습장애 일곱가지-의사소통 장애/읽기장애/쓰기장애/산술장애/조직기술장애/사회적기술장애/운동장애 (0) | 2010.10.08 |
뉴로피드백의 원리/뇌파/뇌파의 주파수와 뇌의 상태/뇌파조절-Inhibit,Reward의 중요성 (0) | 2010.10.08 |
뉴로피드백이란?/생체내의 자연전인 뉴로피드백/역사/뉴로피드백과 관련된 학습이론/ (0) | 201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