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 가소성의 비밀, RNA에 달려있을까 환경의 인지조율사 RNA (3) 2010년 07월 20일(화)
미르(miR) 이야기 RNA 편집을 담당하는 효소들을 ADARs 라고 부른다. 이 효소들의 발현이 강하게 나타나는 곳은 신경계라고 알려져 있다. 특히 ADAR3이라는 효소는 두뇌에서만 발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정보의 흐름을 RNA 수준에서 질적으로 뒤바꾸는 RNA 편집현상이 신경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질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첫째, 신경들간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단백질들의 아미노산을 조금 수정해서 기능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킴으로써 신경계의 전체적인 네트워크를 미세조절 할 수 있다. 미르가 해당 단백질들의 유전자 발현양을 조절함으로써 미세조절을 한다면, RNA 편집은 유전자의 질적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기능하는 셈이다.
RNA 편집과정이 수정하는 염기서열은 단백질로 번역되는 코딩 부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전령 RNA들이 지니고 있는 UTR이라는 논코딩 부위와, RNA 접합과정이 일어나기 전에 존재하는 인트론에서도 활발하게 RNA 편집이 일어난다. 이러한 부위들 중 상당수가 영장류에 특이적인 Alu 부위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RNA 편집과정이 단백질의 생화학적인 활성에만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것보다, 생화학적인 활성 뿐 아니라, 전체적인 단백질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것이 올바를 것이다. |
![]() |
'진화의 새로운 백터-----진과 밈 > 두뇌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중뇌이론의 오류-진화와 뇌 (0) | 2010.10.22 |
---|---|
두뇌에 대한 집착은 대부분 틀렸다 인간과 원숭이와 RNA (0) | 2010.10.22 |
뇌신경망, 사춘기까지 왕성하게 발달 (0) | 2010.10.21 |
‘세계 뇌 주간’ 腦 집중해부-①뇌 질환의 최신 치료법 (0) | 2010.10.20 |
腦 집중해부-②뇌 발달과 학습능력 (0) | 2010.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