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file
    지난 30년동안 출현한 아동 비만은 하나는 걸어서 이동하기 보다는 자동차를 많이 타는 것이며, 또 하나는 몸을 움직여야 하는 전통적인 놀이 대신 여가 시간에 티비와 피시게임을 더 많이 보는 것이... http://t.co/LRXxJeb6
  • profile
    계속 밀어 닥치는 새로운 기술의 물결 앞에서 우리는 우리의 적응능력이 얼마나 되는지 진지하게 묻게 된다. 피상적으로는 우리가 잘 대처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http://t.co/l20NFErj
  • profile
    우리가 창조하고 있는 환경이 우리의 생물학적 한계를 초월하는 것은 아닐까? 그것이 초래하는 결과는 무엇일까? 이 두가지 질문에 촛점이 모이는 이유는 우리의 두가지 생물학적 측면이 변하지 않았기 ... http://t.co/yOziUUq6
  • profile
    우리는 세상을 더 좋게 만들려다가 환경과 점점 더 어긋나게 되는 것은 아닐까? http://t.co/VyJUFC8X
  • profile
    시간의 척도 진화생물학자의 시간의 척도는 수백만년, 고고학자는 수천년, 유전학자는 몇세대, 의사는 한평생, 나는? http://t.co/izmhQxwJ
  • profile
    우리가 금전적, 사회적 기회 뿐만 아니라 제약도 물려받는 것처럼, 우리가 오래전과 최근에 거쳐온 다양한 과거들인 진화적, 유전적, 발생적, 후성유전적, 환경적, 문화적 과거는 우리에게 다양한 기... http://t.co/MrFXw9ci
  • profile
    우리가 환경을 스스로 통제 하면서 결과적으로 진화적 선택으로 반응할 필요는 줄었다. 인류라는 종은 더 이상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유전자 풀을 바꿀 필요없이, 종의 유전자풀에 맞도록 환경을 바꾸... http://t.co/sxB8No7M
  • profile
    번식의 적응도 http://t.co/7ShJ2pUw
  • profile
    인간이 진화는 종종나오는 말 처럼 완전히 '끝난것'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는 유전자풀의 변화보다는 우리가 환경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우리의 가까운 장래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봐도 좋을 것 같다. ... http://t.co/2uwwJCKN
  • profile
    엄머니는 감지자 역할을 하고, 태아는 어머니를 통해서 들어오는 간접적인 신호에 반응한다, 정보는 태아에게 오기전에 얼마든지 오염될 수 있다. 그러면 환경신호에 대한 태아의반응은 부적절해질 것이고... http://t.co/QqQCFwBY
  • profile
    진화적 관점에서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번식 적응도를 높이는 것이다. http://t.co/ACG2Jtvk
  • profile
    태아는 결국 자신의 조직으로 오는 영양소에서 영양신호를 감지하지만, 거기에 이르는 영양소를 결정하는 것은 어느정도는 어머니의 식이, 건강, 대사, 그리고 영양소가 포함되어있는 혈액을 자궁으로 공... http://t.co/QScZZZBV
  • profile
    인류 역사의 대부분 동안 육체적, 심리 시회적 성숙이 사춘기에 동시에 일어났지만 지금은 이것이 실종됐다. 이 현상은 현대사회에 엄청난 대가를 치르게 하고 있다. http://t.co/FIU54AUm
  • profile
    마사이족 12세부터 25세까지 전사의 길 이후 12세의 초경소녀와 결혼-'요즘 전사들은 왜 이 모양이냐고 불평하며 세월을 보낼 것이다. http://t.co/ylTt6kVN
  • profile
    빨라진 초경에 의한 육체성숙은 정상적인 사건일까? 아니면 비정상적인 사건일까? 이것은 진화적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일까? 그러면 이 빨라진 성숙의 댓가는 무엇일까? http://t.co/OKUwBTYh
  • profile
    어떤 동물들의 경우 번식능력을 얻어 자기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확실히 전달하는 것은 생애의 가장 중요한 목표일뿐 아니라 임박한 죽음을 의미한다, http://t.co/0s1oL30U
  • profile
    인간은 성인으로의 성숙을 위해서는 여러 요소들이 필요하다. 그것은 육체적 성숙, 성심리적 성숙, 그리고 심리사회적 성숙이다. 사춘기가 끝나면 개인은 완전히 독립해야하며 이 다양한 성숙영역에 대한... http://t.co/JrppCR0X

'Twi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9월14일 Twitter 이야기  (0) 2012.09.14
2012년 9월13일 Twitter 이야기  (0) 2012.09.13
2012년 9월6일 Twitter 이야기  (0) 2012.09.06
2012년 9월5일 Twitter 이야기  (0) 2012.09.05
2012년 9월3일 Twitter 이야기  (0) 2012.09.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