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키성장의 주적, 엄마와 함께 만드는 아이의 롱다리

 

 

부산에 거주하고 있는 배혜진(38세)씨는 최근 아들 유효빈(8세) 군 때문에 걱정이 많다. 효빈군은 키에 비해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데도 피자, 햄버거패스트푸드만 즐겨먹기 때문이다. 효빈군은 한식 식단을 차려주면 얼마 먹지 않고 바로 간식을 찾지만 피자 한판은 쉽게 먹는다. 또 하루에 한 끼는 반드시 패스트푸드를 먹으려 하고 부모가 말리면 울거나 짜증을 낸다. 결국 병원을 찾은 효빈군은 신장 124㎝에 45㎏의 체중으로 고도비만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이것은 비단 효빈 군만의 문제가 아니다. 적지 않은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비만에 대해 걱정하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아동 비만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난 2006년 8월 보건복지가족부가 발표한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중장년층에 비해 10∼20대는 밥을 적게 먹는 대신 빵과 햄버거, 피자를 더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로 이러한 식습관은 성장기 아이들의 비만을 부채질한다고 볼 수 있다.

 

이미 미국의 여러 주에서 비만을 초래하는 트랜스 지방이 든 음식의 판매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일 서울 교육청에서 초ㆍ중ㆍ고 교내 자동판매기나 매점에서 탄산음료와 라면의 판매를 전면 금지한다고 밝혔다.

 

성장기 비만은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유발인자이기도 하지만 성장기 아이들의 성장을 저해하는 방해인자이기도 하다.

 

▶ 비만이 키성장에 미치는 영향

 

약간 과체중인 아이는 체내에 성장에너지가 풍부하고 성장호르몬과 성호르몬의 왕성한 분비로 키가 잘 클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된다. 하지만 과도하게 지방이 축적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흔히 알고 있는 것과 달리 성장호르몬은 성장만을 돕는 호르몬이 아니기 때문이다. 성장호르몬의 직접적인 역할은 지방을 분해하고, 탄수화물 대사를 증가시켜 에너지를 만드는 것이어서 이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성장 촉진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도비만으로 악화되었을 때 과도한 체지방으로 인하여 성장호르몬이 지방의 분해에 주로 관여하여 소모되므로 성장에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성장호르몬만 충분히 확보된다면 키가 잘 클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다. 그 예로 성장호르몬 성분이 포함된 성장 보조제를 수개월 동안 복용한 결과 키는 컸으나 성호르몬이 평균 나이보다 빨리 분비되어 이른 나이에 사춘기가 진행되어 성장판이 비정상적으로 빨리 닫힌 경우를 들 수 있다.

 

그 원인은 성호르몬의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성호르몬은 성장호르몬의 합성을 돕고, 골격을 직접 자극하여 성장을 촉진 시킨다. 하지만 성장촉진과 함께 골격계의 성숙도를 촉진하는 성질 때문에 조기에 과도한 양이 분비될 경우 성장판이 빨리 닫혀 키가 클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든다. 결과적으로 성인 최종 신장의 감소를 가져올 수도 있는 것이다.

 

롱다리네트워크 부산점 보경한의원 김동환 원장은 “과도한 비만이 성장장애를 초래한다고 할 수 있다”며 “알맞은 운동과 식사조절, 한의학적 치료로 각 호르몬과 성장기운이 적절한 시기에 적정량의 분비가 될 수 있도록 서로의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이 한의학의 원리이자 한의학적 성장치료의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도움말=롱다리넷 부산점 김동환 원장>

 

 

 

우리아이 롱다리 만들기 프로젝트③

대부분이 키성장은 부모의 키, 즉 유전적 요인이 결정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정작 키를 좌우하는 유전적 요소는 30% 정도 일뿐 나머지는 자신의 생활환경에 의해 좌우된다.

한의사 김형창 원장은 최근 한 부부의 고민을 예시로 들어 생활습관이 키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다. 12살 첫째와 10살 둘째, 두 아들을 둔 김수정(39)씨와 박성범(42)씨 부부는 초등학교 3학년인 동생의 키보다 작은 첫째의 키 때문에 걱정이었다. 같은 부모를 두고 같은 성별의 자녀들인데 동생의 키가 3cm나 더 큰 것을 의아해하던 김씨는 큰 아들의 키 걱정에 한의원을 찾았다.

이유는 큰아들의 편식 때문이었다. 식습관을 살펴본 결과, 식사는 하루에 한 끼, 그 외에 배가 고플 때에는 과자 등의 군것질을 습관적으로 하곤 했다. 고기나 피자 등 선호하는 음식을 사줄 때만 더 먹는 정도의 식성을 가지고 있다 보니 당연히 영양 불균형 현상이 나타날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결국 동생보다 키가 더 작은 결과를 만들고 만 것이다.

이 외에도 분단 된지 50년만에 북한과 남한 남자의 평균 키가 10cm 이상 벌어진 것이나 미국으로 이민가 살고 있는 교포 2세의 경우 한국에서 성장한 사람보다 키가 더 크다는 것은 환경차이가 키성장에 있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보여주는 예이다.

◆키성장,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할까

칼슘이 뼈 성장에 좋다고 하여 칼슘만 지나치게 섭취하게 하는 것은 키성장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많은 영양소 중에서 중요하지 않은 영양소는 없다. 비록 작은 양이라도 체내에 있지 않으면 성장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영양소들이 많기 때문에 골고루 섭취를 해야만 원만한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이들은 자는 동안 성장한다

사람은 잠이라는 휴식을 통하여 그날 소진했던 몸을 원상태로 되돌려 놓는 것이며 그 시간에 다음날을 위한 각종 호르몬 분비도 이루어진다. 성장호르몬의 분비는 수면 중에서도 깊은 수면을 취할 때 가장 활발히 분비된다. 따라서 성장기의 아이들은 항상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수험생에게 하루 10시간 정도의 수면을 요구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다. 수험생의 경우 아무리 공부에 쫓긴다 하더라도 적어도 하루 5~6시간을 자도록 하고 짧더라도 질좋은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다. 적당하고 깊은 수면은 성장을 활발하게 해줄뿐더러 집중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으므로 무조건적인 수면시간의 단축으로 오히려 학습능률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규칙적이고 꾸준한 운동이 성장의 지름길

하루 20분 이상의 꾸준한 운동을 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성장판이 닫히는 속도가 늦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성장판이 늦게 닫힌다는 것은 그만큼 더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을 번다는 것이다.

운동을 할 때는 관절 부위에 압박자극을 많이 줄 수 있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관절 부위 바로 위 성장선에 자극이 들어가면 키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조깅, 걷기, 수영, 자전거타기, 스트레칭, 체조, 스키, 농구, 태권도 등의 운동을 꾸준히 함으로써 척추신경을 이완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히 해준다.

롱다리 네트워크 김포점 감초당한의원의 김형창 원장은 “최대운동량의 50~70% 정도의 운동 강도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권장했다. 또 “특별히 어떤 것이 좋은 운동이라기보다는, 어떠한 운동이든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하는 것이 성장에 가장 많은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OSEN=생활문화팀]osen@osen.co.kr
도움말 Ⅰ 롱다리네트워크 김포점 감초당한의원
[Copyright ⓒ 한국 최고의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전문 미디어 OSEN(www.osen.co.kr) 제보및 보도자료 osenstar@ose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아이 롱다리 만들기 프로젝트②

 

◆저신장이란?

키 성장을 저해하는 큰 요인 중 하나인 저신장은 무엇인가? 저신장이란 같은 나이, 같은 성별을 가진 또래집단의 신장표준치에서 3%이내에 해당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말이다. 즉 초‧중‧고등학교의 한 학급 학생이 100명일 경우, 작은 키 순서로 번호를 매길 때 1번에서부터 3번까지의 학생, 매년 4cm 미만으로 자라는 아이나 표준 신장보다 약 10cm이상 작은 아이는 저신장일 가능성이 높다. 위의 경우에 해당하는 아동의 부모는 소아내분비 전문의와 상담을 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의 한 통계에 의하면 연간 성장속도가 4cm 미만이거나 표준 신장보다 약 10cm 작은 국내의 저신장 아동은 현재 1만 명 이상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초등학교에서 각 학급의 제일 앞 번호에 해당하는 25만 명 정도의 아동은 일차적으로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저신장의 원인

▪ 가족성 저신장 - 가족이나 친척 중에 키가 작은 사람이 있으면 성인이 되었을 때 평균에 비해 키가 작은 경우가 많다. 키가 작은 아동의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되며, 다른 원인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다년간의 성장호르몬 치료로 키를 크게 할 수 있다.

▪ 체질성 저신장 - 출생 시 몸무게와 신장은 정상이지만 첫 돌 전후로 발육이 안 되어 성장속도가 떨어진 경우로, 그 이후의 성장속도는 정상이지만 결과적으로 키가 작은 경우이다. 다른 사람에 비해 사춘기가 늦게 시작되며 사춘기에 급격이 키가 자라기도 하기 때문에 최종신장은 대부분 정상이 된다.

▪ 만성적인 소모성 전신질환으로 인한 저신장 - 선천성 심장병, 만성 폐질환, 신질환, 간질환 및 위장질환 등의 질병이 있는 경우 성장장애가 초래되어 키가 잘 자라지 않을 수 있다.

▪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인한 저신장 - 성장호르몬, 갑상선호르몬 결핍증이나 당뇨병 등에
의해서도 성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성장호르몬의 결핍인 경우에는 전체적인 신체비율은 정상이지만 키가 작다는 특징이 있다.

▪ 선천적 이상으로 인한 저신장 - 임신 중에 영양공급이 잘 안 되거나 산모가 감염된 경우에 자궁 내 성장 발육 지연(원시 저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출생 시 체중이 지나치게 적고 성인이 되어서도 키가 작은 경우가 많다. 터너증후군(유전적 저신장)은 여아에만 나타나는 유전적 질환으로 키가 매우 작고 사춘기가 되어도 가슴발달이 늦고 생리가 없다. 또한 비정상적인 신체 비례를 나타내기도 한다.

▪ 영양결핍 - 균형이 잡히지 않은 식생활에 의해서도 성장장애가 나타난다.

◆내 아이 성장의 적, 저신장을 잡자

성장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체내에서 뼈, 연골 등의 성장을 촉진 시킬 뿐만 아니라 지방분해와 단백합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위의 원인 중 선천적 이상에 의한 경우나 호르몬 분비 이상의 경우에는 성장호르몬 치료를 통해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아이 성장의 중요한 지표는 일정 나이에 맞는 키가 아니라 성장속도이다. 따라서 해마다 학교에서 실시하는 신체검사 시에 측정한 키는 아이의 성장변화를 관찰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롱다리네트워크 울산점 꽃단비한의원 이승훈 원장은 '이러한 관찰 결과 아이의 성장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되면 소아내분비 전문의를 찾아 아이의 신체 크기와 골연령을 측정하고 가족의 병력을 살펴본 뒤 간, 신장기능, 호르몬, 염색체 검사 등을 실시해 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때를 놓치지 마라, 적절한 치료시기

성장호르몬의 치료는 뼈가 자라고 있는 동안, 즉 사춘기가 끝나기 전에 치료해야만 그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남아의 경우 15세, 여아의 경우 14세 정도에 투여하는 것이 좋다.

성장호르몬은 대개 2~3년 정도 장기간 투여하여야 하며 적어도 6개월 이상 투여하는 것이 좋다. 대체로 사춘기가 시작되는 시기부터 뼈 성장이 끝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투여해야 하며, 특히 가족성 왜소증의 경우 장기간 투여하는 것이 좋은 효과를 위해 권장된다.

정상인의 경우 성장호르몬은 대부분 숙면을 취하는 밤 동안에 분비된다. 이러한 호르몬 균형을 맞춰 주기 위해서 성장호르몬은 대부분 매일 밤 취침 전에 투여해야 하기 때문에 인슐린 주사처럼 집에서 직접 주사하게 된다. 주 5~7회 취침 전에 몸무게에 비례하여 근육, 또는 피하주사로 투여하는데, 주사 방법이 쉽고 간단하여 일반인도 간단한 교육을 받으면 간편히 주사할 수 있다.

하지만 성장호르몬 주사를 맞는다고 가시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아이의 성장판이 열린 정도, 그리고 아이의 생활습관이 70% 이상을 차지하므로 평상 시 생활습관의 문제를 바로잡아 주는 것이 좋다. 대다수의 경우 한방요법으로도 충분히 좋아질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키 성장에 문제가 있다면 되도록 어렸을 때부터 적합한 원인을 찾고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OSEN=생활문화팀]osen@osen.co.kr

[한방상식/한약/보약] 한약과 보약 그리고 환약의 차이점

 

 

1. 한약(韓藥)

조선 시대 말까지는 별도로 한약이라는 말이 없었고, 약, 의학 등으로 불리웠다. 일제 시대에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한약(漢藥), 즉 한(漢)나라의 약이라고 하였다. 한편, 서양에서 새로 들어온 약은, 양약(洋藥)이나 신약(新藥), 서약(西藥)이라고 불리웠다.

요즈음에도, 천연자원인 광물류와 식물류인 약초와 동물의 일부분을 건조·가공하여 약으로 사용할 때, 이를 모두 한약이라 한다.

한약은 처음에는 중국에서 전래되어 본초(本草)라 하고, 이를 연구하는 학문을 본초학(本草學)이라 했다. 이에 대해서는 문헌상 고대(古代) 한서(漢書)에서 본초의 기록을 볼 수 있으며,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한약의 기틀이 완성되었다. 「본초강목」에 나타나는 종류는 1892가지인데, 한의원에서 사용되는 약은 보통 500여 종 안 팎이다.

한약에는 보양약(補養藥), 수렴약(收斂藥), 발산약(發散藥), 삼습약(?濕藥), 사하약(瀉下藥), 선폐윤기약(宣肺潤氣藥), 화담약(化痰藥), 통기행체약(通氣行滯藥), 온운중기약(溫運中氣藥), 온화혈분약(溫化血分藥), 행기통규약(行氣通竅藥), 활혈통락약(活血通絡藥), 파혈거어약(破血祛瘀藥), 청열약(淸熱藥), 최토약(催吐藥), 살충약(殺蟲藥) 등의 종류가 있다.



2. 보약(補藥)

인체 장기의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항진되어 병이 진행되었을 때, 이를 억제하고 조절하는 방법이 사(버림:瀉)하는 치료법이다. 약한 장기를 보충하거나 피나 기운이 저하되어 이를 보강하는 방법이 보(補)하는 치료법이라고 하며 허약해진 신체를 건강하게 회복시키는 약을 보약(補藥)이라고 한다. 보약은 예방 의학으로 대부분의 질병을 이길 수 있게 한다.

한약 자체가 피나 살이 되고 힘이 되는 것은 아니다. 허약해진 원인과 부위에 따라서 치료하는 방법과 약제(藥劑)가 달라진다.

보약(補藥)에는 성장 발육을 촉진시키는 약, 오장육부(五臟六腑)를 보하는 약, 혈(血)을 보하는 약, 음(陰)을 보하는 약, 정력(精力)을 보하는 약, 뇌(腦)를 보하여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약 등의 종류가 있다.

보약은 한의학 이론에 의하여 부족해진 음(陰)이나 양(陽)의 기운을 보충하여 치료가 되며, 특히 불임 여성, 기침, 천식에 좋으며, 간(肝)이 약하거나 간염으로 허약해진 체질 개선과 신장(腎臟)의 기능이 약해진 신부전증이나 신염 등에도 효과가 있다. 청·장년층 뿐만 아니라 학업에 전념하는 청소년 수험생과 노년층에게도 필요하며, 현대병·문화병으로 허약해진 심신을 보(補)하는 목적으로도 보약은 우수하다.

여름에 보약을 먹으면 약효가 땀으로 빠져 나간다는 속설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땀에는 염분 이외의 성분은 배출되지 않는다. 오히려 여름에는 기운이 허약해져서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다른 계절보다 원기를 보강하여 땀을 막을 수 있는 약을 복용해야 한다. 그리하면 가을에 더욱 생기가 나게 될 것이다. 또한 여름은 기온이 높아서 혈압이 내려가기 때문에 원기를 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약에 사용되는 기본 처방도 100여 가지가 있다. 보약을 복용할 때는 반드시 한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야 한다. 보음(補陰)할 사람에게 보기약(補氣藥)을 투여하면 자기도 모르게 음(陰)의 기능이 병을 유발할 수 있고, 반면 보기(補氣)할 사람에게 보음약(補陰藥)을 투여하면 소화불량 등의 병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3. 환약(丸藥)

환약(丸藥)은 한약의 정제(精製) 및 약재를 가루로 하여 꿀, 밀가루, 풀, 물, 술, 식초, 밀랍, 쌀풀(미음) 등으로 둥그런 형태를 만든 후에, 일정한 크기의 알약으로 만들어 복용하기 편리하게 한 것이다.

▲환약

환약은 단단하고 쉽게 용해되지 않아 치료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며, 신체의 기능을 서서히 보강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하며, 신체의 마비된 부분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크다. 한편, 독성이 많아서 끓이거나 가루로 사용하기 어려운 약은 환약으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물이나 떡처럼 쪄서 환약을 만든 것은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주로 신체 윗부분의 질병 치료에 쓰이고, 밀가루나 쌀로 만든 것은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신체 아랫부분의 질병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 술이나 꿀·식초를 이용하여 환약을 만드는 것은 수렴·확산의 성질을 취하기 위한 것이다.

신체 아랫부분의 질환 치료용 중에, 소화기 장애 치료용은 흔히 녹두알 크기로, 신체 윗부분 질환 치료용은 아주 작은 쌀알 크기로 만든다.

 

 


< 출처 : 대한한의사협회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