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디 node TLC에서 개념에 해당한다.
마비 paralysis 팔다리 같은 신체 부위의 운동 기능 상실.
마이너스 소체 Meissner corpuscle 피부에 있는 감각수용기로서, 피부를 가볍게 두드리는 것에 최대로 반응하며, 자극에 빨리 적응하는 유형이다.
마이스너소체 Meissner`s corpuscle 유두안에 있는 촉각을 담당하는 종말기관. 유두란 피부에서 표피쪽으로 약간 돌출해 나온 진피를 말한다.
마이크로컴퓨터; 소형전산기 microcomputer 컴퓨터의 연산 처리부를 1개 또는 수 개의 대규모집적회로(LSI)로 구성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기억장치 및 주변장치와의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붙인 보드에 탑재한 극소형 컴퓨터.
마찰음 fricatives 공기가 뿜어지기 전에 성대를 수축시켜서 만들어내는 자음. fan에서 /f/가 이에 해당한다.
마하의 띠 Mach bands 밝은 띠와 어두운 띠의 경계선에서 밝은 곳에서는 얇고 어두운 띠를, 어두운 곳에서는 얇고 밝은 띠를 만들어 내는 지각적 효과
마하카드 Mach card 네모난 종이를 길이 방향으로 접어 텐트 모양이 되도록 세워 둔 것을 말한다. 한 눈만으로 텐트의 등을 주시하면, 텐트가 병풍처럼 일어선 것으로 보이며, 이때 종이 표면의 밝기도 달라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막대 그래프 bar graph 간격이 있는 수직 막대를 이용하여 질적인 자료의 빈도를 나타내는 방법
막대 탐지기 bar detector 시각 피질에서 선분이나 틈, 모서리와 같은 것을 탐지하는, 단순 (피질) 세포를 다르게 부르는 이름이다.
막대그래프 histogram 그래프에서 키 큰 막대기가 점수 계급의 빈도를 가리키는 빈도 분포
막성관 membranous canal 반고리관의 한 구성요소
막전위 membrane potential 세포막 바깥쪽에 비교한 안쪽의 전하의 차이.
만-휘트니 U 검증; 맨-휘트니 검증 Mann-Whitney U test 두 독립집단의 집중경향치가 통계적으로 다른지를 결정하기 위한 비모수치 통계검증. 종속측정치가 최소한 서열척도인 경우에 사용된다 윌콕슨 사인테스트; t 검증; 모수치 통계
만족하기 탐색 satificing search 공접 모형을 따르면서 각 속성의 최소 준거를 충족시키는 대안을 선택하는 전략.
만족하기 satisficing 사람들이 어느 정도 만족할 만한 대안, 즉 자기가 생각하고 있는 최소한의 기준을 넘어서는 대안을 찾게 되면 더 이상 다른 대안들을 고려하지 않고 그 대안을 선택하는 어림법.
말 언어; 지각에서의 정규화 normalization in speech perception 말 지각에 있어 화자 간의 차이점을 고려하는 과정
말 지각의 운동이론 motor theory of speech perception 말 지각에 대한 이론으로, 말의 지각과 말이 산출되는 동안 일어나는 성도(聲道)의 움직임 간에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이론. 이 이론은 또한, 말의 지각은 말의 지각을 위해 전문화된 기제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제안하고 있다
말; 담화; 연설 speech 사람이 생각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데 쓰는 음성, 또는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것. 언어.
말기 질환 end-state illness 사망 직전의 만성적인 질병 상태
말로 보고하는 내용 verbal reports 내성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법으로 수취화할 수 있는 행동대신 말로 보고하는 내용을 자료로 사용하는 것
말소리 스펙트럼도; 말소리 파장 그림 speech spectrogram 말소리 파장 측정기가 그려내는 말소리의 시각적 기록으로, 산출되는 소리의 주파수를 시간에 따라 보여준다.
말소리 지각 speech perception 말소리의 크고 작은 여러 단위들을 파악하는 과정.
말소리 파장 측정기 speech spectrograph 말소리 분석을 위한 장치로, 소리의 주파수를 시간에 따라 보여줌으로써 말소리의 시각적 기록을 만들어낸다.
말소리 파장그림 speech spemtrogram 말소리 파장 측정기가 그려내는 말소리의 시각적 기록으로, 산출되는 소리의 주파수를 시간에 따라 보여준다.
말실수 speech error 자신이 의도한 생각의 내용이나 표현하고자 하는 언어 표현과 일치하지 않는 언어적 표현이 생성되는 현상. 예컨대, '나는 콜라를 먹고 싶다'고 생각하지만 발화된 표현은 '나는 사이다를 마시고 싶다'와 같은 경우이다. 사람들의 말실수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으며, 한 개인 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개인간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말의 유성화 voicing in speech
말초신경계 PNS Peripheral nervous system의 준말. 뇌와 척수로 이루어진 중추신경계의 바깥에 존재하는 신경계로서, 뇌신경, 척수신경, 말초신경절로 구성된다.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em 두개골과 척추로 둘러싸인 뇌와 척수의 바깥에 존재하는 신경과 여러 감각기관으로 구성된 신경계
말초의; 원위의 distal 가까운 곳을 가리키는 '근접'에 대응하는, 먼 곳을 가리키는 용어
말콤 지평선 Malcomb horizon 이것이 포함된 디스플레이는 계기판 위로 레이저 선을 투사하여 인공적인 지평선을 제공해 줌으로써 조종사의 시각 영역에서 가시적인 지평선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계기판 위로 레이저 선을 투사하여 인공적인 지평선을 제공해 줌으로써 조종사의 시각 영역에서 가시적인 지평선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말하기에서의 분절 segmentation in speech
말하는 이의 다양성 문제 problem of speaker variability 말소리 지각에서, 말하는 이가 다르거나 똑같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물리적으로 상당히 많이 달라지는 음소나 음절을 같은 것으로 확인해내야 하는 문제.
말하다 speak 생각이나 느낌을 말로써 남에게 이르다.
맛 수용기의 입체특정성 receptor stereospecificity in taste
맛; 미각 taste 혀의 미각 수용기를 통해 경험하는 감각. 혀에는 짠맛, 단맛, 쓴맛, 및 신맛을 감지하는 4 개의 수용기가 있으며, 짠맛을 제외한 나머지 3 개의 미각 수용기는 특히 집중되어 분포되는 위치가 있다. 매운 맛은 미각 수용기에 주어지는 통증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경험하는 것이다.
맛감별사 tasters PCT 화합물의 맛을 볼수 있는 사람
맛의 교차 순응 cross-adaptation in taste
맛의 신경섬유간 흥분 패턴 대 특정수용기 taste across-fiber pattern vs. specificity 맛의 감각이 특정한 수용기의 작용에 의해 결정되는지, 아니면 여러 수용기이 흥분 패턴에 따라 결정되는지에 대한 논의.
맛혐오 taste aversion taste-aversion learning을 보시오.
맛혐오학습 taste-aversion learning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을 통해 습득되는, 특정한 맛을 가진 물질에 대한 혐오반응의 학습. Garcia 등(1955)은 쥐들이 좋아하는 사카린 맛이 나는 물을 먹을 때 감마방사선에 노출시켰다(방사선은 구역질을 일으키는 US). 구역질은 물을 먹은 한참 뒤에 일어났지만 쥐들은 단맛 나는 물을 회피하였다.
network neural network을 보시오.
망각 forgetting 시간이 흐르면서 연습을 하지 못해서 생기는 수행의 퇴화
망각곡선 forgetting curve Ebbinghaus의 지연간격을 달리한 항목회상 검사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파지량과 망각량을 나타낸 곡선. 학습한 후 처음에는 급격하게 망각이 일어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망각은 천천히 진행.
망막 대응점 corresponding retinal points
망막 밀도 측정법 retinal densitometry 살아있는 눈에흐릿한 광선을 비추고 눈 밖으로 되반사되는 광선의 파편을 측정하여 시각색소 집중도를 측정 하는 절차
망막 박리; 박리된 망막 detached retina 망막이 그 밑의 색소 상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말한다. 외부의 충격으로 발생할 수 있다.
망막 박리 retinal detachment 망막의 눈의 뒷 부분과 덜어져 있는 상태
망막 분자 retinal molecule
망막 속도 retinal velocity 망막에서 물체의 상이 이동하는 속도. 물체의 실제 속도와 물체와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망막 손상 retinal damage
망막 주변부 peripheral retina 중심와와 그 주변의 작은 영역을 제외한 전체 망막
망막 크기 retinal size 망막에 맺힌 영상의 크기
망막 혈액순환? retinal circulation
망막 retina 눈의 뒤쪽 내부를 걷고 있는 세포의 복잡한 망. 이 세포들은 빗에 반응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용기 수평세포, 양극세포, 에머크라인 세포, 신경절 세포이다
망막불일치; 망막부등 retinal disparity 왼쪽 눈이 보는 것과 오른쪽 눈이 보는 것 사이의 차; 망막부등으로 인해 입체시가 가능하다.
망막상검영법 검사 retinoscopy exam 정상 시력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교정 렌즈의 배율을 알려주는 ‘검영기(retinoscope)’라 불리는 장치를 사용한 검사
망막색소변성 retinitis pigmentosa 점진적인 시각 상실을 일으키는 망막질환
망막위상적 지도 retinotopic map 외측 슬상핵이나 피질같은 시각 체계 내의 구조 위에 있는 지도로, 지도 위의 위치는 망막상의 위치와 대응된다. 망막위상 지도에서 망막 위의 서로 인접한 위치는 보통 시각체계내 구조에서 서로 인접한 위치에 표상된다
망막의 퇴화 retinal degeneration
망막의 retinal 1. 시각 색소 분자 중 빛에 민감한 부분; 2. 망막의
망막전도; 網膜電圖 electroretinogram 망막의 퇴화를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감각기의 전기적 반응
망상 delusion 정신분열증을 특징짓는 증후 중의 하나로 사실과는 아주 다른 신념을 뜻한다. 피해망상(delusion of persecution)은 다른 사람들이 공모하여 자신을 해치려는 음모를 꾸민다고 믿는 것이며, 과대망상(delusion of grandeur)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이 가지지 못한 전지전능한 힘과 특별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하는 식으로 자신의 힘과 중요성에 대한 잘못된 신념을 갖는 것이다. 통제망상(delusion of control)은 피해망상과 연관이 있는데, 예를 들어 환자는 자신의 뇌 속에 장치된 레이다나 무전기를 통해서 다른 사람의 통제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망상막 reticular membrane 그물 모양의 막이란 뜻으로, 내이의 기저막에 붙어 있는 유모세포와 개막 사이에 있다.
망상척수로 reticulospinal tracts 뇌간의 많은 핵들과 중뇌 망상체에서 기시하여 척수까지 내려가는 운동관련 신경로. 근의 긴장도, 호흡, 기침, 재채기와 같은 여러 가지 자율기능을 통제하지만, 걷기와 같이 직접적으로 신피질의 통제를 받는 행동에도 관여한다.
망상체 reticular formation 연수의 하위 경계부에서 중뇌의 상위 경계부까지 뇌간의 중심부를 차지하는, 수많은 핵(90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큰 구조물. 복잡한 수상돌기와 축색을 가진 뉴런들이 산만하게 상호 연결되어 망을 이루고 있는 특징적인 모양을 보인다. 수면과 각성, 주의, 근긴장도, 운동, 생명 유지에 필요한 여러가지 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망상활성계 Reticular Activation System 각성에 관여하는 신경계의 하나. 감각정보를 대뇌로 전달하는 경로로 각성체계를 통합하고 조절하는 역할.
망체계 network system 스키마 모형에서의 개념들의 구성 형태로, 스키마는 개념 속성들간에 존재하는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일종의 망을 구성하고 있다고 본다.
매그노 세포층 megnocellular M 신경절 세포로 부터 입력 정보를 받는 외측슬상핵의 1층과 2층의 뉴런
매몰 비용 오류 sunk cost fallacy Concorde fallacy 개인이 일단 어떤 행동 코스를 선택하면 그것이 비록 만족스럽지 못하더라도 이전에 투자한 것이 아깝거나 그것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더욱 깊게 개입해 가는 의사 결정 과정. 예컨대, 비디오를 빌렸지만 그것이 재미없는 것일 경우, 사람들은 비디오를 빌리는 데 큰 돈을 지불했기 때문에 어떻든 그것을 다 본다거나, 몸이 아픈데도 휴일을 위해 돈을 많이 들였기 때문에 외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매몰비용 편향 sunk cost bias 비용을 회수할 수 없어 매몰되면 미래의 이익에 필요한 합리적인 선택을 어렵게 하는 것을 말한다.
매스크; 차폐 mask
매체 medium 어떤 일을 전달하는 데 매개가 되는 것
매튜 효과 Matthew effect 읽기 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충분히 읽지 못하기 때문에 새로운 이해 기술을 배우는데 또래들보다 더 늦고, 따라서 따로 개입하지 않으면 자꾸만 뒤쳐지게 된다는 현상 말소리.
맥거크 효과 McGurk effect 말소리를 내는 사람의 입모양이 들리는 소리와 다른 소리를 내는 것으로 보이면, 시각과 소리의 조합에 근거하여 지각체를 만들어내는 현상을 뜻한다. 예를 들어, 말하는 사람이 /ga/라고 말하는 모습을 보는데, 동시에 들리는 소리는 /ba/라면, 듣는 이에게는 그 소리가 /da/로 들릴 것이다. 지각되는 소리는 시각으로 받는 정보와 귀에 들어오는 소리 형태 사이에서 “가장 잘 들어 맞는” 타협점의 일종이다.
맥락 효과 context effect 실험에서 선정된 변인의 특정 수준이 참가자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맥락 context 학습 대상이 되는 항목 외에 부호화될 수 있는 모든 정보. 어떤 사건을 회상하거나 재인할 때, 그 사건이 발생했던 원래 맥락이 많이 제시될 수록 기억이 잘 된다.
맥락단서 context cue
맥락효과 contextual effect
맹시 blindsight 시각영역에서 특정 위치에 있는 빛 자극을 볼 수는 없지만 가리키기(pointing)나 다른 방법으로 그 자극의 위치를 지적할 수 있는 상태
맹인의 음파 감지 체계 sonar system of the blind
맹점 채우기 filling in of blind spot
맹점 blind spot 눈의 뒤부분에 있는 원방형의영역으로서, 시신경이 눈을 떠나는 곳이다
맹증 blindness 교정 시력이 20/200이나 그 이하이고 주변부 시각이 거의 없는 것(법적인 정의)
머드; 다중 사용자 접속 게임; MUD multiple user dungeon 여러 사용자가 한 온라인게임에 동시에 접속하여, 각자 다른 상대방의 참여를 게임속에서 동시에 인식하면서 수행하는 게임의 종류를 말한다.
머드게임 MUD Multiple User Dungeon 의 약자. 온라인 게임의 일종으로서 여러 사람들이 동시에 동일한 게임환경을 공유할 뿐만 아니라 게임 환경 내의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고, 자신의 수행과 협동적 문제해결의 결과로서 자신의 게임 내의 사회적 지위와 권력 수준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킨다. Multiple User Dungeon
머리장착 디스플레이 head mounted displays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머켈 수용기 markel receptor 피부에 있는 원반 모양의 수용기로 천천히 순응하는 신경섬유, 작은 수용장, 압력의 지각과 연관이 있다
멀티미디어 의사소통 multimedia communication 멀티미디어 혹은 다매체를 이용한 의사소통. 언어 위주의 의사소통과 비교해서, 시각, 청각, 동영상 등의 여러 매체가 활용됨을 강조하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다매체 multimedia 시각, 청각, 촉각 등의 여러 정보전달매체를 동시에 활용하는 매체를 가리킨다.
멍에 통제 yoked-control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멍에'처럼 연결되어 있어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이 강화 또는 처벌을 받을 때 통제집단의 피험자들도 동시에 강화 또는 처벌을 받게해서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 전체 강화수 또는 처벌수가 동일하도록 처치하는 실험 통제의 한 방법.
메뉴 menus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위에 표시하여 둠으로써 사용자가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조작 순서 일람표.
메니에르씨 병 meniere`s disease 와우각과 세반고저관에 채워진 액체에 의해 야기된 감각 신경성 손실의 유형
메르켈원판 Markel`s disk 표피의 기저부분에 있는 촉각을 담당하는 종말기관. 한선관(sweatduct)근처에 있다.
메켈 수용기 Merkel receptor 피부에 있는 감각 수용기로서 수용장의 크기가 작고 압력을 감지하며, 자극에 천천히 적응한다. 머켈 수용기의 반응으로 점자를 읽을 수 있다.
메타분석 meta-analysis 단일 주제를 조사한 많은 연구들에 걸쳐서 요약하는 비교적 객관적인 기법
멘델 Gregor Mendel 유전학자
mel 음 높이에 대한 심리적 단위. 1,000Hz의 소리는 1,000멜의 음 높이를 갖는다
면대면 의사소통 face-to-face communication 직접 만나서 의사소통을 하는 것.
면대면 face-to-face 직접 만나서 조사하는 것.
면역세포화학적 방법 immunocytochemical method
면역훈련 immunization training 회피훈련에서 이전에 전기충격으로부터 벗어난 경험(면역훈련)이 있었던 쥐는 피할 수 없는 전기충격에 노출되었던 쥐보다 왕복상자에서 훨씬 더 오래 전기충격을 피해 왕복상자를 왕복한다.
면접 interview 대면 접촉을 통해 구조적 혹은 비구조적으로 반응자의 자료를 모으는 방법
멸반응; off 반응; 사라짐 반응 off-response
명도 지각; 밝기 지각 brightness perception 물체의 밝기에 대한 지각 혹은 그 연구.
명도; 명도; 明度; ; 밝기 brightness 물체가 주관적으로 밝아 보이는 정도를 말한다. 물체의 객관적 밝기는 흑백도(혹은 밝기), lightness라고 하는데, 일상적으로는 두 용어가 구분되지 않고 쓰인다.
명료도 지수 articulation index 음성을 미소 주파수 대역폭의 성분으로 나눈 다음 그들 각 성분이 음절 명료도 s에 기여하는 정보를 밝히고, 여러 가지 경우의 음절 명료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
명명 척도 nominal scale 대상을 명칭 부여하거나 범주화시키는 척도 - 가장 약한 측정 척도
명명하기 naming 이름을 지어 붙이기.
명목 한계 nominal limits 측정의 전체 단위에서 급간의 한계
명사구 noun phrase 문장에서 명사와 같은 구실을 하는 구.
명상 meditation 우리 몸 안팎의 특정 자극(호흡, 화두, 폭포, 촛불 등)에 정신을 집중함으로써,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히고 비우는 동양 전래의 정신 수양법.
명순응 light adaptation 밝은 곳에서 일어나는 시각적 순응 현상으로, 빛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게 된다
명순응된 민감도; 광순응된 민감도 light adapted sensitivity
명시된; 드러난 manifested 분명하게 나타난다는 뜻
명시적 explicit 의식적인 접근이 가능한 상태
명제 망 propositional network ACT 모형은 명제 마디와 이를 연결하는 고리가 지식 표상의 핵심인데, 명제망은 이 명제들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명제 추리 propositional reasoning 전제로 주어진 두 개 이상의 명제에서 연역적으로 타당한 결론을 내리는 추리.
명제 proposition 의미의 단위로, 하나의 술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항으로 이루어진다.
명제적 이론 propositional theory 공간적 지식을 포함한 모든 지식을 의미에 기초를 둔 명제로 표현할 수 있다고 보는 이론.
명제적 하위체계 propositional subsystem 인지 체계 상호작용 모델(ICS)에서, 내포적 하위 체계와 함께 전체 인지 체계의 실행적 기능과 정보 통합의 역할을 맡고 있는 체계. 이 체계는 자신과 세상에 대한 사실과 신념을 다루는데 그 목적은 의미 파악에 있다. 자극의 특성이 청각이나 시각 체계에 입력되어 대상 체계나 음운-어휘 체계의 재인을 거친 뒤에 명제적 하위체계에 전달되면 현재의 상황에 대한 내적 묘사를 하게 된다. 이 체계는 언어 산출 체계로 출력하여 자극의 의미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게 된다.
명칭 실어증 anomia 사물이나 대상의 이름을 대지 못하는 언어장애
명칭 실어증 anomic aphasia 사물이나 대상의 이름을 대지 못하는 언어장애
명확한 definite 분명하고 확실한.
모노아민 가설 monoamine hypothesis 우울증이 모노아민성 뉴런의 활동 저하로 야기된다는 이론
모노아민 산화효소 monoamine oxidase 모노아민성 신경전달물질을 분해하는 효소
모델링 modeling 모델링은 개인(모델)이 다른 개인(관찰자)이 사고, 태도, 또는 외현적 행동을 모방하거나 순응할 수 있는 행동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모델은 살아있는 사람, 영화, 또는 인쇄물 등에 나타난 것이 될 수도 있다. 심지어는 모델은 상상되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의도적으로 관찰자가 자기자신을 모델로 사용할 때 자기모델링 (self-modeling)이라고 불려진다.
모듈 module 통합적인 단원 체계에서 핵심이 되는 기본 단위.
모방 일반화 generalized imitation 모방 행동이 강화를 받지 못하더라도 어떤 관찰된 행동을 모방하려는 경향. Sherman(1964)은 특정 행위의 모방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방을 하려는 일반적인 경향성을 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이것을 모방 일반화하고 불렀다.
모방 imitation 사람과 동물이 타인이나 동류의 행동을 관찰하여 그 행동 전체 또는 부분과 닮은 행동을 되풀이하는 것. 모방의 범위·성질은 가지각색이고 모델의 특징·가치, 관찰자의 경향·경험, 모델의 행동결과에 달려 있다. 모방행동을 모델의 행동 결과에 관련시키는 것을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또는 모델링이라고 한다. 관찰학습을 통해 새로운 행동방식을 얻고 이미 지니고 있는 행동방식이 촉진되며,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방식 등이 제거된다
모방공포증 imitatophobia 아이디어가 완전히 독창적이지 않으면 어떤 아이디어도 제안하기를 두려워하는 것.
모사 실험 simulated experiment 한 특정 실험에서 실제 피험자를 모사하라고 지시를 들은 참가자가 있는 위조 실험
모사기 simulator 통제된 실험이 수행되도록 해주는 실제 체계의 기능을 복제해주는 기구
모서리 빈도 edge rate 단위 시간당 관찰자를 지나치는 모서리 혹은 불연속적 표면의 수. 예를 들어 운전할 때 운전자의 시야를 지나치는 도로의 양쪽에 심어져 있는 가로수들 사이의 거리
모서리 edge 면의 가장자리. 두 면이 만나는 경계선의 날카로운 부분. 면(도형)이나 입체에서 모서리는 선분으로 표시되는 일이 흔하기 때문에, 때로는 선분이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모성어 motherese = 아동 지향어(child-directed speech; CDS)
모세포; 융모세포 hair cell 내이(귀)에 있는 와우각 속에 있는 기저막에 달려 있다. 기저막이 진동할 때 이 (융)모세포가 흔들리며 그 위를 덮고 있는 개막과의 위치 차이가 발생한다. 이 차이가 청신경의 신경흥분을 일으킨다.
모수치 통계 parametric statistics 점수 분포에 관한 가정 즉 정상 분포를 만드는 통계 검증; 등간 또는 비율 자료를 요구
모수치 parameter 전집 혹은 모집단의 측정 가능한 특성
모스바우어 기법 mossbauer technique 기저막이 진동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기법이 기법은 감마선을 방출하는 작은 방사성 원료를 기저막 위에 올려놓는 방법이다
모양 지각 shape perception
모양 항등성 shape constancy 관찰자가 사물을 다른 각도에서 보아도 그 사물의 모양 지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
모양; 외형; 모습; 생김새 shape
모양근 조절(깊이) accommodation 깊이 단서로 작용 가능한 것 중의 하나. 다른 깊이에 있는 대항들에 초점을 맞추도록 눈의 모양근이 조절될 때 발생하는 근육 감각은 한대상의 깊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모양근 조절(초점 맞추기) accommodation (focus) 수정체의 모양을 변화시켜 다른 거리에 있는 대상들애 초점을 맞추는 눈의 능력
모양체근 ciliary muscle 수정체의 모양을 변화시키는 근육
모의 담금질 simulated annealing 탐색공간에서 주어진 함수의 전역 최적점 (global optimum)의 좋은 근사치를 찾는 확률적 휴리스틱 접근방식으로 Kirkpatrick, Gelatt 및 Vecchi(1983)와 Cerny(1985)가 동시에 개발한 것이다. 그 명칭은 담금질에서 온 것으로 금속에 열을 가하면 원자가 처음 위치(국소 최적점; local minimum) 에서 벗어나 배회하게 되는데 이 때 서서히 냉각시키면 최초의 상태보다 더 낮은 내부 에너지를 갖는 전역 최적점을 찾을 수 있다.
모의 통제 집단 simulation control group 요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적 조작에 노출되어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기대되는 행동을 모사해 보라고 지시받는 피험자 집단.
모집단 population 관찰의 대상이 되는 집단 전체
모험 차원 risk dimension 딸 확률이나 잃을 돈의 액수와 같은 도박의 구성요소.
모험적인 의사결정 risky decision making 선택에서 빚어지는 결과에 불학실한 요소가 있는 의사결정. 도박을 하거나 복권을 사는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목격자 기억 eyewitness memory 범죄사건을 목격한 목격자가 그 사건에 대해 회상해내는 기억. 기억하는 정보가 중심적인 정보인가 주변적인 정보인가에 따라 기억수행의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부적정서를 유발하는 자극에 노출된 사람들은 정서를 유발하지 않는 중립적인 자극에 노출된 사람들에 비해 중심적인 내용은 더 많이 회상하지만 주변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더 적게 회상하는 경향이 있다.
목격자 증언 eyewitness testimony 범행현장을 목격한 사람이 범행 용의자의 행적이나 발언을 재인 또는 확인해주는 것. 과잉확신이나 유도심문 등의 영향으로 법정에서 충분한 증거가 될 수 있는지가 논란이 되고 있다.
목록 list 진열품이나 소장품 따위의 이름을 일정한 차례로 적은 기록.
목마전 모형 Pandemonium model 형태재인의 한 모형으로서, 각각의 세부특징에 연결된 데몬(demon)들이 동시에 아우성치면서 각 상위 데몬에게 신호를 주어 특정 글자를 지각하게 된다는 모형
목적성 범주 goal-driven category 그 구성원이 특정 목적을 충족시키느냐에 따라 선택되는 범주.
목표 상태 goal state 문제의 끝 지점으로─문제가 풀린 것처럼 보이는 상태.
몬테카를로법 Monte Carlo method 우연현상(偶然現象)의 경과를, 난수를 써서 수치적 ·모형적으로 실현시켜 그것을 관찰함으로써 문제의 근사해를 얻는 방법.
무관련 언어효과 irrelevant speech effect 회상과제에서 무관련된 발화(청각)가 제시된 기억항목(시각)과 연계될 경우 회상수준이 감퇴하게 되는 현상
무관한 irrelevant '과제와 무관한', '표적과 무관한' 등의 뜻으로 쓰인다.
무기 초점화 weapon focusing 목격자 기억에서, 정서적인 각성을 유발하는 중심자극인 무기에 많은 주의가 할당되어 사건의 세부적 부분들에는 제한된 주의자원만이 할당되어 제대로 약호화되지 못하는 현상.
무단서 재생 noncued recall 단서가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일어나는 재생.
무드일치효과 mood-congruence effect 현재의 무드와 일치하는 정보에 대해 기억이 잘 된다는 것. 현재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다면 유쾌한 정보가 더 잘 회상되는 경향이, 슬프거나 침울할 때는 불쾌한 정보가 더 잘 회상되는 경향이 있다.
무반응 차별강화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zero responding 어떤 행동이 일정 기간 동안 전혀 일어나지 않는 데에 수반하여 강화가 주어지는 차별강화의 일종. 그 기간 동안 다른 행동들이 필연적으로 일어나므로 타행동 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라고도 불린다. 둘 모두 약자로는 DRO. 예를 들면 1초에 한두 번 원반을 쪼고 있는 비둘기가 2초 동안 원반을 쪼지 않고 있어야만 먹이를 받게 만들 수 있다. 이 비둘기가 이 기준을 확실하게 만족시키면 3초 동안, 그리고는 5초 동안, 그리고는 8초 동안 원반을 쪼지 않게 만드는 방식으로 그 기간을 늘려갈 수 있다.
무선 변인 random variable 수준이 실험자에 의해서 통제되는 것이 아니라 우연적으로 선정될 수 있는 환경적 요인
무선 점 이동그림; 무선점 운동그림 random-dot kinematogram 운동이 발행하는 무선점 입체도를 말한다. 입체경으로 볼 경우, 자극이 입체적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경험된다.
무선 집단 설계 random-groups design 피험자들이 피험자간 설계에서 조건들에 무선적으로 배정될 때
무선 표집 random sampling 표본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그 구성원 혹은 대상이 모집단으로부터 동등한 확률을 가지고 추출되는 통계기법.
무선구획설계 randomized block design 체중이나 IQ와 같은 어떤 관련 특성이 밀접한 피험자를 결합한 피험자의 구획을 사용하는 설계유형이다. 하지만, 이들 구획들은 구획을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피험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일단 구획들을 설정하고 나면, 각 구획내에 있는 피험자들을 처치조건들에 무선적으로 배정한다
무선배치 random assignment 모자 속에 넣어 놓은 종이 쪽지를 뽑거나, 동전을 던지거나, 난수표에서 선정하는 등 여러 방법을 통해 피험자를 각 조건에 할당하는 것.
무선적 random 표본(특히 무선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모집단(혹은 전집)에 속하는 모든 개인들이 선택될 수 있는 동등한 확률을 갖도록 하는. 임의의, 무작위의.
무선점 운동그림 random dot kinematogram random-dot kinetogram을 보라.
무선점 입체도; random dot stereogram random-dot stereogram을 보라.
무선점 입체도; 무선경 입체경 그림 random-dot stereogram 무선점으로 이루어진 그림으로서 두 장이 한 쌍이다. 한 그림의 가운데 영역의 위치를 약간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이동시켜 두번째 그림을 만든다. 입체경의 두 렌즈를 이 두 그림에 대고 보면, 입체를 볼 수 있다. 이것은 두 눈에 맺힌 상의 불일치(즉, 양안부등)를 두뇌가 계산하여 깊이로 경험한 결과이다.
무선화 randomization 피험자를 조건들에 편향되지 않게 배정하거나 조건 순서의 편향되지 않은 순열의 절차
무선효과모형 random-effects model 통계적 모형에서 모형에 명세화된 각 독립변수의 효과가 반복연구를 하여도 그 독립변수의 동일한 특성의 효과임을 나타내는 통계모형. 분산분석의 경우에 독립변수의 처치수준이 연구를 반복하여도 동일 처치수준을 반영하는 경우에 그 모형은 고정효과 분산분석모형이 된다 (예, 남녀간의 비교). 그러나 독립변수의 많은 처치수준 중에서 일부만을 무선표집하여 모형에 명세화한 경우에는 이후의 반복연구에서 다른 처치수준이 독립변수에 반영되므로 독립변수는 무선효과를 가지며, 그 결과는 독립변수의 모든 수준에 일반화되며, 이 경우에는 무선효과모형이 된다. 통계학적으로 모형에 명세화된 모수가 고정된 값을 가지면 고정효과모형이며, 분산을 가지면 무선효과 모형이다.
무성음 unvoiced 성대의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자음
무스카린성 수용기 muscarinic receptor 아세틸콜린 수용기의 일종으로서, 버섯의 독인 무스카린에 의해 자극되는 대사성 수용기이다.
무시된 ignored 주의와 관련하여, '주의를 주지 않은'이란 뜻.
무심상사고 imageless thought 심상(心象 : image) 또는 이미지가 없이 진행되는(이루어지는) 사고(思考) 또는 사고과정을 지칭함. 이처럼 심상을 동반하지 않고서도 사고가 가능한지의 여부에 관해서는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오고 있음
무엇 경로 what pathway 지각 정보처리 경로에서 사물의 정체 인식과 관련된다는 신경 경로를 말한다. 망막의 파보(parvo)신경절세포 -> 외측슬상핵의 파보층(미세층) -> 시각영역 1(V1) -> 시각영역 2(V2) -> V4(색 처리) -> 하측두엽(IT; 형태 처리) 로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무오류 변별훈련 errorless discrimination training S-가 아주 약한 형태로 도입되어 서서히 증강되는 변별훈련의 한 형태. 그 결과 일반적으로 전혀 혹은 거의 오류가 없이 변별이 이루어진다. 이를 개발한 사람의 이름을 따 Terrace 절차라고도 불린다. Terrace(1963)는 빨간색 원반(S+)과 초록색 원반(S-)을 변별하도록 비둘기를 훈련시킬 때 S-의 기간과 강도(아주 어두운 초록색 원반에서부터 시작하여)를 점차로 증가시켜 오류 없이 변별훈련을 시킬 수 있었다.
무위 가설; 영가설 null hypothesis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대하여 아무런 효과가 없음을 진술
무위 결과 null result 종속변인이 독립변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실험 결과
무의미 철자 nonsense syllables 단어가 될 수 없는 자음과 모음의 배열로 이루어진 철자
무의미 철자 nonsense syllable 단어가 될 수 없는 자음과 모음의 배열로 이루어진 철자
무의식 unconsciousness 의식적 인식의 표면 하에 있는 사고, 기억 및 욕구를 포함하며, 깊은 내면에 자리잡고 있으면서도 행동에 큰 영향을 끼친다.
무조건 반응 UR
무조건반응 unconditional response 무조건 자극을 유기체에게 제시했을 때 인출되어 나오는 자연적이며 자동적인 반응을 가리킨다.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에서 음식으로 유발된 타액분비를 무조건 반응이라고 한다. 즉 무조건 반응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 없다.
무조건반응 unconditioned response unconditional response를 보시오.
무조건자극 US
무조건자극 unconditional stimulus 유기체로 하여금 자연적이며 자동적인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자극이다.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에서 음식은 타액이라는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이다. 이것을 무조건 자극이라고 한다. 즉 훈련 없이도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이 무조건 자극이다.
무조건자극 unconditioned stimulus unconditional stimulus를 보시오.
무차별적 전이 nondifferential transfer 독립변인의 수준이 A와 B둘인 실험에서 A다음에 B를 제시하는 효과와 B다음에 A를 제시하는 효과가 동일한 것
무채색 achromatic colors 흰색, 회색, 흑색 등의 색상을 가지지 않은 회색차원(gray scale)만을 드러내는 색을 일컫는다. 반면에 파랑, 빨강, 초록, 그리고 노랑은 유채색(chromatic colors)이다.
무채색 achromatic color 색조 없는 색; 흰색과 검은색 및 이 두 극단 색 사이에 위치한 모든 회색들
무축색 세포; 애머크라인 세포 amacrine cell 망막에서 신호를 특면으로 전달하는 뉴런. 애머크라인 세포는 양극세포와 신경절 세포와 시냅스를한다
무통증 환자 analgesic 무통증 혹은 무통각증 참조
무통증; 무통각증; 통각상실증 analgesia 의식이 있는데도 통증을 못 느끼는 증세.
무형완성 amodal completion
문법 grammar 한 언어에서 올바른 문장 생성에 필요한 규칙의 집합.
문자 수수께끼 anagrams 문자를 재배열하여 단어가 되도록 하는 문제. 예컨대, RWAET를 재배열하여 WATER를 만드는 문제가 이에 해당한다.
문장 분석 parsing 문장내에서 통사들이 어떻게 처리되는 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성성분이 갖는 관계를 분석하여 상위단위로 구분하여야 한다
문장문맥 sentential context
문장생성 sentence generation 글쓰기의 세 과정 중 변환하기는 전체적인 쓰기 계획을 저자의 장기기억에서 인출된 정보의 의미에 해당하는 언어로 전환하는 과정인데, 이 과정을 문장생성(sentence generation) 과정이라고도 한다.
문제 공간 problem space 문제진술과 장기기억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상태들을 포함하는 심적 문제표상.
문제 발견 problem finding 문제의 존재를 재인하기.
문제 발견 problem-finding Treffinger 등이 제안한 창의적 문제 해결법(Creative Problem Solving: CPS)의 세 성분 중 하나인 문제에 대한 이해의 하위 단계.
문제-지향적 학습 problem-oriented acquisition 나중에 접하게 될 문제의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습 재료를 부호화하는 것.
문제 problem 연구하거나 해결해야 할 사항.
문제가 되는 책략 questionable tricks 실험을 설계하거나, 실험을 행하거나, 자료를 분석할 때 또는 실험을 보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서는 안 될 행동들로, 과학자들이 난색을 표하지만 연구자가 과학적 특권을 잃게 될 만큼 지독하지는 않은 몇몇 행동들을 일컫는 말.
문제상자 puzzle box Thorndike의 가장 유명한 실험은 고양이를 가지고 한 것이었다. 그는 굶주린 고양이를 ‘문제상자(Puzzle box)’ 에 넣고, 발이 닿지 않는 곳에 먹이를 잘 보이도록 놓아두었다. 그 상자에는 문이 달려 있었는데, 이 문은 철사 고리를 당기거나 페달을 밟는 것 같은 간단한 행동으로 열리게 되어 있었다.
문제해결 problem solving 어떠한 목표를 지향하는 일련의 인지적 처리 또는 조작들.
문측 rostral 주둥이쪽
문헌조사 literature search 특정 연구 분야에 관련된 공식적인 과학적 지식체계을 검토하는 과정
물감 혼합 pigment mixing
물리부호 physical codes 자극의 감각적 특성을 부호화한 것. '물리'는 '물리학적'이라는 뜻이 아니라, 자극의 물리적(감각적) 특성을 잘 반영한다는 의미이다.
물리적 거리 physical distance
물리적 대비 physical contrast
물리적 제지 physical restraint 자기통제기법의 하나로서 행동이 일어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는 무언가를 하는 것. 손톱을 물어뜯지 못하도록 메니큐어를 칠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물리적 크기 physical size
물활론; 활력설 animism 자연물, 자연 현상, 우주에 영혼 또는 정령이 있어서 그것이 모든 움직임을 일으킨다는 믿음.
뮐러-라이어 착시 Mueller-Lyer illusion 똑같은 길이의 두 선이 끝에 추가된 “꺽쇠(fins)” 때문에 다른 길이로 보이는 착시
뮐러-라이어 착시 muller-lyer illusion
뮐러 Johannes Muller 19세기 독일 생리학자이자 심리학자. 정신물리학 분야를 개척함.
미각 민감성 taste sensitivity 혀에 있는 수용기(미뢰)가 맛을 감지하는 민감도.
미각 세포 taste cells 미뢰안에 위치한 세포로, 화학물질이이들 세포의 끝에 위치한 수용기 자리나 통로에 닿으면 화학물질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화한다
미각 수용기 taste receptors 맛을 감지하는 혀에 있는 수용기. 미뢰라고도 하고, 분자 탐지기라고도 한다.
미각 신경세포의 반응 형태 response profile of taste neurons
미각질 taste quality
미공 taste pore 미뢰안에 있는 틈으로 미각 세포의 끝이 이 틈을 통해 뻗어나온다. 화학물질이 이 안으로 들어오면 그것들은 미각세포를 자극하고 그 결과 변환이 일어난다
미국 심리학지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미국에서 발간되는 심리학 학술지 중 하나.
미국 심리학회 美國心理學會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국 심리학 관련 학회 중 가장 포괄적인 학회. 여러 다양한 분과회가 존재한다. http://www.apa.org/
미국 응용심리학지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자주 틈입-시간-계열 설계를 사용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최근 논점들의 조사, 포함된 통제 조건이 어떤 것인지를 살펴보는데 적합한 학지
미국 이상심리학지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미국에서 발간되는 이상심리학 학술지
미국심리학회 출판 지침서 APA Publication Manual 미국 심리학회가 상세히 규정한 학술지 논문 형식을 설명한 지침서
미국심리학회 형식 APA format 미국 심리학회가 상세히 규정한 학술지 논문 형식
미니탭 MINITAB 통계분석 패키지의 일종
미래 계획 기억 prospective memory 미래에 수행해애 할 일에 대한 기억으로, 일정 시간에 약을 먹는 것을 기억하고, 친구와의 약속을 지키거나, 가족의 생일이나 기념일을 기억하는 일 등이 이에 해당.
미로 mazes 미로학습실험에 사용되는 도구. 미로는 출발점(상자)·통로·목표점(상자)의 3개 주요부분으로 구성된다. 통로에는 선택점이 두어지며, 목표로 통하는 길과 막다른 골목이 있다. 출발점에 놓인 피실험체는 실패를 거듭하면서 목표점에 도달하고, 도달하면 대가를 얻게 된다. 미로는 실마리가 공간적으로 주어지는 공간미로(그 형태에 따라 사각형·원형·T형·Y형 등이 있다)와 실마리가 오른쪽·왼쪽으로 꺾어지는 계열에만 의존하게 되는 시간미로로 크게 나누어진다. 그리고 인간용으로는 복도식 미로 외에도 널판지 위의 골을 따라가는 철필미로, 실험자가 구두로 선택판단을 구하면서 나아가는 비공간적인 정신미로 등이 있다.
미뢰 taste bud 혀위의 돌기 안에 위치한 구조로 미각 세포를 가지고 있다
미리보기 previewing preview를 보라.
미리보기 preview 자극판 혹은 디스플레이를 전부 혹은 부분을 미리 보여주는 것. 표적 탐지를 촉진할 수 있다.
미맹 nontasters PTC 화합물의 맛을 느낄 수 없는 사람
미맹 taste blindness PTC의 맛을 볼 수 없으며 미맹이 아닌 사람보다 어떤 맛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 사람
미성숙 premature
미세 광파장 측정법; 파장별 미세 광측정법 microspectrophotometry 하나 혹은 여럿의 수용기를 통해 흡수되는 광파장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절차.
미세 처리 microprocessing 한 문장과 그 문장이 담화에서 먼저 나온 문장과 연결된 바를 이해하는데 포함된 처리 과정.
미세관 micro-tubule 뉴런 전체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관으로서, 중심부가 비어 있어서 세포의 여러 곳으로 물질을 수송한다.
미세분광측정법 microspectro-photometry
미세자극 주기 microstimulation 미세전극을 통해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뉴런에 자극을 주는 것
미세전극 microelectrodes 하나의 신경섬유로부터 나오는 전기 신호를 기록하기에 충분하게 작은 철사나 유리로 된 가는 조각
미세전극 microelectrode 하나의 신경섬유로부터 나오는 전기 신호를 기록하기에 충분하게 작은 철사나 유리로 된 가는 조각
미세절편기 microtome 고정된 뇌를 아주 얇은 절편으로 써는 데 사용되는 기구
미세투석법 microdialysis 뇌의 특정 영역에 있는 간질액의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
미소신경도 microneuro-graphy
미소신경도 microneurography 깨어있는 사람의 피부에서 하나의 뉴런 활동을 기록하기 위한 절차
미시특성 microfeatues Smolensky(1988)의 용어를 따르자면, 신경망에서 상위 차원(개념 차원)의 유닛은 미시특성의 ‘하위 개념’ 공간에 있는 벡터에 상응한다. 예를 들면,‘총각’이라는 개념은 ‘성인’, ‘인간’, ‘남자’, ‘결혼함’과 같은 미시특성들을 포함하는 특성 공간 속의 벡터에 상응한다.
미신행동 superstitious behavior 우발적인 강화로 인해 일어나는 행동 강도의 증가. Skinner(1948)는 비둘기를 스키너 박스에 넣고 비둘기의 행동과 무관하게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먹이를 주었다. 그러면 먹이가 제공되는 시간에 우연하게 비둘기가 하고 있었던 행동이 강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미오신 myosin 근원섬유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하나
미주신경 vagus nerve 입과 후두의 맛 수용기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미측; 후측 caudal 뇌구조물의 특징을 묘사할 때 쓰이는 방향을 의미하는 용어중 꼬리쪽, 혹은 뒤쪽 끝을 의미하는 용어.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세포가 신진대사 활동을 수행하는 장소로서, 이 활동은 세포의 다른 모든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민감기 sensitive period 일반적으로 유기체의 생애초기로 이 동안의 환경 변화는 그 유기체의 생리적인 면이나 행동적인 면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민감도 sensitivity 자극 탐지에 필요한 역치의 역수값. 그러므로, 낮은 역치는 높은 민감도에 대응된다
민감화 sensitization 어떤 반사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에 과거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그 반응의 강도나 확률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반사 반응을 한 번 일으키는 것이 자극에 대한 그 반응의 강도 혹은 확률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도 민감화라 부른다. 갑작스러운 커다란 소리에 움찔하는 경향인 깜짝반사(또는 경악반사, startle reflex)의 경우를 고려해 보자. 여러분이 가까이에 있던 풍선이 터지는 소리를 듣고 움찔하면 그 다음에는 바닥에 책이 떨어지는 소리 같은 또 다른 소리에 움찔할 가능성이 커진다. 평상시에는 여러분을 움찔하게 만들지 않을 비교적 작은 소리조차도 그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풍선 터지는 큰 소리가 여러분을 다른 소리에도 민감화시킨 것이다. 민감화는 약물 중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동물들에게 일정한 기간에 걸쳐서 중독성 약물을 투여하면 나중에 이들은 그 약물의 효과에 더 민감해진다.
밀러-달라드 이론 Miller-Dollard theory 대리학습에 관한 대표적인 이론 중의 하나. 밀러-달라드 이론은 대리학습이 사실상 조작적 학습의 한 형태라고 가정한다. 왜냐하면 대리학습은 관찰하고 모방하는 행동이 과거에 어떻게 강화받았는가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즉, 반두라의 이론은 인지과정들을 매개로 학습을 설명하기 때문에 개인 내부에서 설명을 구하는데 비해 밀러-달라드 이론은 상황과 관찰자의 학습사를 바탕으로 설명을 한다.
밀리초 msec 1/1000초를 말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