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복합성(conjugated) 안구 운동의 궁극적인 목표는
보고자 하는 물체의 상(image)을 망막에서 가장 좋은 시력을 보유한 중심오목와(fovea centralis)에 정확히 맺혀
선명한 시력(clear vision)을 유지하는데 있다.
따라서 선명한 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체의 상이 중심오목와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하는데
실험에 따르면 망막에서 물체의 상이 움직이는 속도(상유동,retinal slip)가 2~3°/s를 넘어서면
망막에 맺혀진 물체의 상이 흐려보이며 환자는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다고한다.
단속 운동(saccade)이 중심오목와 주변의 망막에 있는 표적을 빠른 속도로 안구를 움직여 신속히 재주시하는 안구 운동이라면
시추적 안구운동(smooth pursuit eye movement)은 중심오목와에서 느리게 움직이는 작은 물체를 따라 봄으로써, 물체의 상을 중심오목와에 정확히 맺어 안정되게 머물러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시추적 안구운동은 인간과 원숭이 같은 영장류에서 가장 발달된 안구 운동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시추적 안구운동은 두부 회전동안에 선명한 시력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안구 운동인 전정안반사(vestibulo-ocular reflex; VOR)와 상호 작용을 가져 시각 정보(visual input)를 통해 전정안반사를 억제하거나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머리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주시하기 위해서는 전정안반사를 억제하여야 하며 그 반대인 경우는 오히려 전정안반사가 강화된다.
또한 시추적 안구운동은 시운동성 안구운동(optokinetic eye movement)의 초기 가속에도 관여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한 환자에서 시추적 안구운동의 이상 정도는 시각 정보에 의한 전정안반사의 조절 능력(visual inputmediated VOR modulation)의 이상 및 시운동성안진(optokinetic nystagmus)의 이상 정도와 대개 일치하여 나타난다.
'진화의 새로운 백터-----진과 밈 > 두뇌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추적 안구운동과 관계된 해부학적 구조물 (Anatomy related to smooth pursuit) (0) | 2009.12.07 |
---|---|
시추적 안구운동의 생리(Physiology of smooth pursuit eye movement) (0) | 2009.12.07 |
HB두뇌학습클리닉 인사말과 김성훈원장의 경력 (0) | 2009.12.03 |
HB두뇌학습클리닉 프로그램 적용사례-난독증/ADD/ ADHD/어설픈아이증후군 (0) | 2009.12.03 |
HB두뇌학습클리닉 프로그램 적용사례-불안장애/시험불안/발달장애 (0) | 2009.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