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추적 안구운동과 관계된 해부학적 구조물 (Anatomy related to smooth pursuit)
망막에서 보여진 물체의 여러 가지 정보 중 물체의 색깔 및 형태에 관한 정보는 외측무릎체(lateral geniculate body)의 parvocellular layer을 통해 시피질(visual cortex, V1, V2, V3)로 전달되는데 비해 물체의 움직임(방향 및 속도)에 관한 정보는 외측무릎체의 거대세포층(magnocelluar layer)을 통해 시피질로 전달되고, 다시 마루-관자-후두엽(parieto-temporo-occipital junction, PTO junction)에 위치한 운동인식영역(motion perception area)에서 해석된다.

일측성 시피질 병변에서는 병변 반대편의 시야 결손 부위에서 움직이는 모든 물체에 대해서는 움직이는 방향에 관계없이 시추적 안구운동이 사라진다.

원숭이에서 이러한 운동인식영역은 일반적으로 상마루구(superior temporal sulcus)에 위치한 중간관자엽(middle temporal,MT)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피질은 같은 쪽 중간관자엽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은 망막순서적(retinitopic)특성을 가지고 있다.

MT의 세포는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초당 30° 정도의 속도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MT 영역에 병변이 생기면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지 못하고(akineptosia), 시추적 안구운동의 추기 유도기가 감소하며,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단속 운동이 불규칙해진다.

MT에서의 시각 정보는 다시 인접한 내측상관자엽(medial superior temporal; MST)으로 전달된다. MST는 시자극과 안구 운동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MT 및 MST의 병변에서는 병변 및 병변 반대측 중 어느쪽의 시야에서 물체가 처음 보여지더라도 병변쪽을 향하여 움직이는 모든 물체에 대한 시추적 안구운동의 장애가 나타나며 이는 일반적으로 시피질 병변에서 볼 수 있는 시추적 안구운동의 이상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선택적인 MT 및 MST의 병변은 물체의 움직임 및 시추적 안구운동의 이상을 초래하지만 물체의 형태 및 색깔에 대한 인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이는 물체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시피질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인간에서 원숭이의 MT 및 MST에 해당하는 영역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상기 언급한 마루-관자-후두엽(parieto-temporo-occipital juction, Brodmannarea 19, 37 및 39의 배측)에 해당된다. 뒤쪽마루피질(posterior parietal cortex, area 7a)은 물체의 속도 및 방향성보다도 물체 자체의 특성에 의해 흥분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 부위의 병변은 특히 배경하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보는데 장애가 생긴다. 이마엽시야(frontal eye field) 일부도 MT, MST, 뒤쪽마루피질과의 상호 연결을 통해 시추적 안구운동에 관여하며, 이 부위를 자극하면 자극한 쪽으로 시추적 안구운동이 발생한다.이마엽 병변은 시추적 안구운동의 장애가 나타나지만 시운동성 안진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PTO 접합부에서 기원하는 시추적 안구운동에 대한 명령은 외측내실(lateral ventricle)의 바깥쪽의 내측시상층(internal sagittal striatum)으로 내려와 속섬유막(internal capsule)의 후각(posterior limb)을 통과한 후 중간뇌를 거쳐 교뇌의 등가쪽교뇌핵(dorsolateral pontine nucleus; DLPN)과 교뇌피개그물핵(nucleus reticularis tegmenti pontis; NRTP)으로 전달된다. DLPN의 신경세포들은 동측 또는 반대편으로의 시추적 안구운동때 흥분되며, 이 신경세포들을 선택적으로 자극하면, 시추적 안구운동을 새로이 발생시키지는 못하나, 이미 진행중인 동측의 시추적 안구운동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DLPN의 일측성 병변에서는 주로 병변 쪽을 향하는 시추적 안구운동의 장애(유도기 및 유지기 모두)가 관찰된다. 상부 NRTP를 자극하면 주로 상방 안구운동이 발생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