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진리는 기껏해야 500년 전 베이컨, 데카르트, 뉴턴 등의 저작들을 통해 세상에 전해지기 시작했다.

그 이전 사람들은 세상을 과학의 관점으로 보지 않았다.

지금은 지나치게 과학적이고 지독히 물질주의적이어서 세상을 이해히는 다른 방식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나먼 옛 날, 문화의 기본적인 토대가 만들어지던 시절에 살던 사람들의 주 관심사는 객관적 진리가 아니라 생존이었다.

따라서 생존이라는 목표에 어울리는 방식으로 세상을 해석하려 했다.


과학적 세계관이 등장하기 전 현실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은 매우 달랐 다.

예컨대 ‘존재’를 사물의 공간이 아니라 행위의 공간으로 생각했다.

쉽게 말해서 인생을 이야기나 연극과 유사한 것으로 생각했다는 뜻이다.

모든 사람이 늘 그것을 의식하며 살았기에 그런 이야기와 연극은 살아있는 것이고 주관적인 경험이었다.

그것은 지금 우리가 삶과 의미에 관해 주고 받는 대화나 소설가들이 작품에서 의미를 담아 서술하는 사건과 비슷한 것 이었다.

이때 주관적인 경험의 대상에는 나무와 구름처럼 친숙하고 객관적 존재도 포함되지만,

굶주림과 갈증, 고통은 물론이고 온갖 감정과 꿈 등도 포함된다.(사실 이런 것들이 더 중요하다).

옛날의 연극 관점으로 보면 삶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개인적 경험이다.

이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보기란 쉽지 않다.


현대의 물질주의나 환원주의(복잡한 체계나 현상을 단순한 법칙이나 물질로 세분화하여 이해히려는 사고방식-옮긴이)를 동원해도 마찬가지다.

고통, 즉 주관적인 고통을 예로 들어 보자.

고통은 분명히 실재한다.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모두 고통을 느낀다. 고통은 완벽하게 실재하는 것이다.

고통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어떤 물질보다 의미가 크다.

이런 이유로 세계의 많은 문화 권에서 ‘삶에는 반드시 고통이 따른다’라는 생각을 반박할 수 없는 진리로 받아들이는 것같다.


‘우리가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것’은 물리적 세계에 대한 과학적 설명보다는 소설이나 영화에 더 가깝다.

따라서 ‘우리가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것’ 은 개인적으로 경험히는 극적인 사건이다.

예컨대 아버지의 죽음은 오로지 당신만이 개인적으로 경험하는 비극이다.

병원 사망 확인서에 객관적으로 기록된 내용으로는 결코 설명할 수 없다.

첫사랑의 고통, 박살난 희망, 자식의 성공으로 느끼는 기쁨같은 것들도 주관적인 경험에 속한다.


당신 자신을 도와줘야 할 사람처럼 대하라~
조던B, 피터슨 인생의 12가지 법칙


세상은 원자로 이루진 것이 아니라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