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창의성 방해요소를 제거해야” ‘Creative Think’ 설립자가 제안하는 창의성을 위한 도약 ① 2009년 03월 05일(목)
|
사람들은 창의적 사고를 매우 어려운 작업으로 생각한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일상 생활의 경우 창의력보다는 효율성을 요구하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창의적인 사고를 위해서는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 있다. 현재 교육 시스템의 평가 기준은 창의적인 사고보다는 정해진 절차의 수행 능력에 보다 많은 가산점을 준다. 자신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이루어 놓은 우수한 아이디어를 배우도록 장려된다. 창의성이라는 싹이 틀 토양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기존의 정해진 절차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기존의 지식과 기존의 절차와 질서에 너무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반하는 창의력은 사장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위험한 근육’을 잘 관리하고 사용해야 이와 같이 창의적인 사고를 방해하는 제한 요소를 극복한 사람만이 자신의 능력에 대한 한계를 스스로 설정함으로써 더 이상의 발전을 가로막는 어리석음에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독창적이면서도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해주는 고정관념의 탈피는 창의적인 사고를 열망하는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가능할 수도 있고 외부 환경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행될 수도 있다. 인류 역사에 있어 가장 훌륭한 아이디어는 자신의 사고를 획기적으로 전환시킨 사람에게서 나온 것이다. 그러한 아이디어를 제안한 사람들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전에 그 문제를 찾아내거나 예상치 못한 기회를 발견하거나 또는 흥미로운 전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해 냈다. 창의적인 사고 수행을 위한 지속적이고도 의식적인 자기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로저 폰 오흐는 이런 말을 늘 즐겨 쓴다. “Everyone has a ‘risk muscle’. You keep it in shape by trying new things. If you don’t, it atrophies. Make a point of using it at least once a day” “사람들은 누구나 ‘위험한 근육’을 갖고 있다. 새로운 일들을 시도하면서 그 위험한 근육을 잘 관리해야 한다. 만약 잘 관리해서 사용하지 않는다면 기능이 퇴화해 말라 죽어버릴 것이다.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라”는 내용이다. 그는 또 이런 이야기를 하면서 과감하게 도전하라고 충고한다. “If you make an error, use it as a stepping stone to a new idea you might not have otherwise discovered. 만약 실수했을 때는 실수를 하지 않았다면 발견하지 못했을지도 모를 새로운 아이디어에 접근할 수 있는 발판으로 사용하라” 자유로운 분위기,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현장에서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하는 개방적 분위기가 창의성 신장을 위한 기본조건이다. 결국 창의적인 사고는 기존의 사고에서 벗어나 현재 당면한 도전 과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서 나타난다. 고정관념과 기존의 질서에 집착하고 실수를 두려워하면 창의적인 사고는 나타나지 않는다. 다른 세상을 바라보려고 할 때 창의적 사고에 따른 올바른 판단이 생성될 수 있다. 우선 창의력 방해요소를 찾아내야 한다. 로저 폰 오흐는 그의 저서 ‘A Whack on The Side Of The Head, 창의성을 가로막는 방해물을 없애려면’에서 창의적인 사고를 가로막는 현실적인 문제가 무엇인지를 열거하고, 다시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계속)
|
![]() |
'진화의 새로운 백터-----진과 밈 > 두뇌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기 꼭 하고, 의문을 많이 가져라” 창의적인 영재가 되기 위한 6가지 조건 (1) (0) | 2009.03.10 |
---|---|
뇌는 늙지 않는다. (0) | 2009.03.05 |
미래예측은 어떻게 하나 델파이 기법과 시나리오기법 (0) | 2009.03.02 |
우리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성을 키워주고 있는가 사회 전체가 독특한 시도를 용인하는 분위기 갖추어야 (0) | 2009.03.02 |
왜 비키니 여인 보면 바닷가 추억 생각날까…뇌 기억의 연결 ‘프루스트 현상’ 연구 (0) | 2009.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