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성이 떨어지는 요인은 ?

 


1. 뇌 자체의 실질조직이 부족하거나 변성이 있는 경우


-선천적이나 후천적으로 뇌 특히 뉴런의 가지 발달과 활성에 문제가 있음

-ADHD, 자폐증, 간질, 주의/집중력장애, 언어장애, 기억장애, 불안증, 학업장애, 동기부족,   틱장애, 불면증  등

-신경전달 호르몬을 포함한 뉴런의 발달 필요

*해결-----> 약물치료(지금까지의 대부분을 차지함. 각성제나 안정제 종류. 두뇌의 호르몬계통에 관여. 점점 강하게 투여해야 되는 경우 발생), 행동치료, 뉴로피드백 등

예) 1) 자폐증, 언어장애 복합된 어린이-소뇌, 전두엽, 청각전달 뉴런 등 문제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어린이-뇌량하피질, 전두엽 등 문제

    3) 틱장애-기저핵의 과항진


2. 부정적 정서로 인하여 마음의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


-잠재의식은 미해결된 부정적 정서를 가진 기억을 억압한다.

-뇌의 실질조직에는 문제가 없으나 슬픔, 분노, 죄책감, 두려움, 충격 등으로 인하여 기능적인 면에서 문제가 생김(장기화되면 실질조직에도 변화),또는 해결되지 못한 전경에 주의가  매여 있는 경우.

-공황장애, 시험불안, 강박증, 의욕부진, 우울증, 알레르기,  등

-잠재의식의 변화 필요

*해결-----> 상담, 최면, 명상,  뉴로피드백 등

예) 1) 영어듣기 평가 시험 시 생기는 지나친 긴장-영어 듣기시험을 망친 후 친구의 한마디 

   2) 수학시험에 대한 불안감-어려서 수학 때문에 아빠에게 혼난 기억.

   3) 어떤 노래를 들으면 발작-스트레스 주던 동생이 좋아하던 노래-동생에게는 못해대        고 노래에 저항-동생에 미안함, 증상에 감사함으로 치료---평소에 남에게는 좋은 분       이라는 이야기 듣는 다-증상은 나를 지켜주는 퓨즈 같은 역할로 퓨즈가 안 나가면         불이 난다

   4) 돼지고기 알레르기-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돼지고기 먹음---몸은 기억 한다            -mind body connection



3. 신체적인 결함이 있는 경우


-뇌에 공급되는 물질 즉 혈액, 산소, 영양소 등이 문제 --혈관장애 등

-감각, 운동기관이 문제가 있어서 정보가 들어오고 나가기 어려울 때

*해결-----> 영양소 공급, 약물치료, 수술, 침치료 등

예) 1) 신체허약, 빈혈,  담궐두통 , 담훈 ,  등

    2) 모야모야병. 중풍. 시각청각장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