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만 내세우면 창의성은 메말라” ‘Creative Think’ 설립자가 제안하는 ‘창의성을 위한 도약’ ③ 2009년 03월 18일(수)
|
창의성의 현장을 가다 창의력 개발 자문회사 ‘Creative Think’를 설립한 로저 폰 오흐(Roger von Oech)는 창의력을 발휘하려면 창의력을 방해하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 중 하나가 너무나 논리적인 것만을 따진다는 것이다.
최상의 아이디어는 개념 단계에서의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사고와 실용 단계에서의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가 조화를 이루면서 가능해진다. 새로운 아이디어 개발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첫 번째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생성이라는 창의적 측면이다. 기존의 규칙에서 무시해도 되거나 가치가 없는 규칙을 찾아내게 된다. 그러한 규칙들로 인해 제한될 수 있는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게 된다. 두 번째는 아이디어의 평가 및 사용측면이 있다. 아이디어는 그 필요조건을 충족시키고 실행에 옮길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두 가지 측면이 모두 중요하며,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갖고 있다.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각 측면이 부각되는 부분이 서로 다르다. 창의적 측면을 부각시켜야 하는 시점에서 그 효용 가치를 논하게 되면 이미 성과가 알려져 있는 솔루션으로 아이디어의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용 단계에서 모호성이 남아 있게 되면 단지 아이디어 단계에서 끝날 뿐 실질적인 가치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논리만 앞세우면 창의성은 메말라
비유는 창의적인 사고에 있어 훌륭한 도구이다. 어떤 도전 과제에 대해 비유를 시도하는 것만으로도 올바른 출발점에 설 수 있다. 표면적으로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는 여러 요소 또는 개념을 연관시키고 비유해 봄으로써 전혀 새로운 것을 상상 속에 만들어낼 수 있다. 주변 사람들이 사용하는 비유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도 중요하다. 다른 비유를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이미지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도 고려해보아야 한다. 비유를 통해 만들어낸 새로운 아이디어를 기존의 규칙 또는 개념과 비교해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런 과정에서 창의성이 기존 사고 기준으로 다시 제약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스티브 잡스, “컴퓨터는 21세기의 자전거” 이와 관련 애플 컴퓨터 설립자인 전설적인 기업가 스티브 잡스(Steve Jobs)의 경험담을 들어 보는 것도 좋은 일이다. 창의성 개발에 비유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생하게 알려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몇 년 전 나는 인간을 포함해 지구상에 있는 다양한 종(種)들은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동(운동)한다는 책을 읽은 바가 있다. 이 책은 A에서 B라는 지점으로 이동할 때 과연 어떤 종들이 가장 적은 에너지로 가장 큰 효과를 얻느냐에 대한 연구다. 남아메리카 독수리 콘도르(condor)가 가장 효과적인 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누군가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에 대해 한 연구도 있었다. 자전거를 타면 사람은 이동하는 데 있어서 콘도르보다 무려 두 배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었다! 이는 ‘도구제작자(tool maker)’인 인간의 능력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입증하는 사례다. 인간이 자전거를 만들었다는 것은 곧 선천적인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구를 창조한 셈이다. 그게 바로 내가 자전거와 컴퓨터를 자주 비교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컴퓨터는 21세기 자전거다. 왜냐하면 컴퓨터는 인간의 타고난 고유한 지능을 극대화시키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세상을 두 가지만으로 나누지 말라”
그래서 유명한 경제학자 케네스 보울딩(Kenneth Boulding)은 이렇게 말한다. “There are two kinds of people in this world; 세상에는 모든 것을 두 그룹으로 나누는 사람과 그렇지 않는 사람이 있다.” 옳고 그름, 선과 악, 흑과 백 등 확연히 구분하는 사고체계나 교육제도에서 창의성은 자라지 못한다. 창의성도 모든 생물체가 서로 조화롭게 살아가는 하나의 생태계의 움직임처럼 다양하고 자유로운 토양에서 자랄 수 있다. 로저 폰 오흐는 사람의 마음을 이렇게 비유한다. “I believe that the mind is not only a computer that processes information, it’s also a museum that sores experiences, a device that encodes holograms, a playground that in which to play, a muscle to be strengthened, a workshop in which to construct thoughts, a debating opponent to be won over, a cat to be stroked, a funhouse to be explored. There are a lot of right ways to model the mind all depending on what you think is important. 사람의 마음은 정보를 전달하는 컴퓨터와 같고, 또한 경험이 축적된 박물관, 홀로그램을 푸는 장치, 뛰어 노는 운동장, 힘이 잔뜩 실린 응축된 근육, 생각을 만들어 내는 일터, 이겨야만 될 언쟁(言爭)의 대상, 한 대 맞아야 할 고양이, 파헤쳐야 할 유령의 집이나 다름 없다. 따라서 당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따라 마음을 정해야 할 올바른 방법들은 아주 많다.” (계속) |
![]() |
'진화의 새로운 백터-----진과 밈 > 두뇌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성을 키워주고 있는가 사회 전체가 독특한 시도를 용인하는 분위기 갖추어야 (0) | 2009.03.20 |
---|---|
창의적인 인재 육성은 국가의 미래 우수한 인재가 유일한 자원 (0) | 2009.03.20 |
“뇌를 알면 사람이 보입니다.” -“사이코패스, 정상인보다 전두엽 부피 작아” (0) | 2009.03.17 |
“창의력? 매일 50개씩 아이디어 적어보세요” (0) | 2009.03.17 |
스스로 학습하는 오감 인지 컴퓨터가 온다 (0) | 2009.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