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에 들어오는 감각정보는
일차체감각영역,
일차시각영역,
일차청각영역에서 일차적으로 분석된 다음
각각의 감각연합영역에서 과거의 경험과 비교 분석되어
각각의 감각에 대한 최종 인식이 이루어진 후
최종 분석된 각 자극이 종합되는 다중감각연합영역(multi-sensory association area, MA)으로 이어진다. 측두엽 하부의 앞부분이 다중감각연합영역이 있는 곳으로 생각되고 있다.
감각정보가 최종적으로 이 부분에 도달하게 되면
사물에 대한 인식은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인식된 정보는 전전두엽피질에서 행동에 대한 예지와 판단이 덧붙여져,
보완운동영역(supplementary motor area)과 전운동영역(premotor area)에서
운동에 대한 세세한 계획이 이루어진 다음,
일차운동영역을 거쳐 반응으로 전환되게 된다.
만약 이 부분에 와서도 과거에 경험에 없었던 새로운 자극은
변연계의 파페츠회로(Papez circuit)를 거쳐 새로운 기억 회로에 들어가고,
과거 경험에서 중요했던 자극은
편도핵복합체(amygdala nuclear complex)로 들어가 감정을 동반하여 역시
전전두엽피질과 운동영역을 거쳐 특정한 행동반응으로 나타나게 된다.
새로 기억되는 기전에서도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편도핵복합체를 통해서 파페츠회로로 감정을 더해주게 되어 기억을 강화(consolidation of memory)시켜준다.
이렇게 기억회로를 거친 정보는 연합영역에 저장되게 된다.
Cognitive process of learning. V1 indicates primary visual area; A1, primary auditory area; S1, primary sensory area; VA, visual association area; AA, auditory association area; SA, sensory association area; MA, multisensory association area; PF, prefrontal cortex; SMA, supplementary motor area; PM, premotor area; M1, primary motor area; AMYG, amygdaloid nuclear complex.
'진화의 새로운 백터-----진과 밈 > 두뇌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장애의 분류(Learning disorder subtypes) (0) | 2010.04.16 |
---|---|
읽기과정의 두뇌처리회로 시각피질-베르니케언어감각국-청각피질-궁상다발(상세로다발)-브로카운동언어영역-보완운동영역-일차운동영역 (0) | 2010.04.16 |
청각 (0) | 2010.04.15 |
후각과 미각 (0) | 2010.04.15 |
시각 (0) | 201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