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과 손가락은 외부의 뇌
영재를 육성한다는 것은 인간의 심신을 관장하는 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때 외부의 자극이나 정보를 뇌에전달해 주는것은 주로 5감각(시각,청각, 후각,미각,촉각)이지만, 심신과 두뇌를 근거로 감각을 확대하면 7감각(열,운동,방향,생명,언어,개념,개체감각등)과 3감각(오성,초,우주감각)등을 더 추가할 수있을 것이다.
이들 감각을 통해서 뇌는 외부의 자극이나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심상과 언어를 연합시켜, 구체화 재생시켜서 해마에서 취사선택하여 대뇌피질에 전달하여 기억하게 되고 개념으로써 보관하게 된다
이들은 뇌내의 정동에 의해서 필요하면 심신과 사고,감정, 행동을 하게 되어, 개념에서 정동으로, 다시 저장되었던 기억에서 기억된 것을 찾아서, 심상과 언어를 연합시켜 환상으로서 외부세계로 표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앞에서 언급한 5감각, 7감각, 3감각등 15감각이 동원되는 것이지만 이들 중에서 특히 시각,청각,촉각을 통한 뇌의 개발과 영재 육성을 생각해 보기로 한다.
특히 뇌의 개발을 통한 영재육성의 방법을 찾을 때, 무엇보다 촉각이 중요하고, 그이유는 내뇌적 정동을 외부로 나타내는 것은 보고,듣고, 말하는 것을 창의적 아이디어로써, 표현하고 창조하고 발명하는 것은 촉각을 통한 손이기 때문이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자기 손을 다시 한 번 바라보기 바란다. 아무런 감정 없이 대상으로서 자기 손을 바라볼 때 팔 끝에 이어지는 손바닥과 손가락이 5개가 있고, 이들은 '피부','피하지방조직',근육과 뼈등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인 '기관'이다.
이러한 간단한 조직인 손과 손가락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자신의 역사가 각인되어지는 것이다. 이들 손은 연필이나 볼펜으로 글이나 그림을 쓰고 그렸느냐? 또는 도구나 기계를 만지고 노동을 했느냐? 피아노의 건반이나 컴퓨터의 건반을 쳤느냐에 따라서 손가락이나 손은 건장하게도, 섬세하고 아름답게도, 거칠고 강건하게 되기도 한다.
이 때에 뇌는 뼈나 근육을 통해서 생각이나 감정을 전달하여, 나타내고, 이들은 힘을 쓰는데 사용했다면 튼튼해지고, 섬세한 작업에 써다면 가늘고 유연할 것이다. 만일 손을 쓰지 않았다면 더욱 그렇게 될 것이다. 또는 창의성이나 생각과 감정을 구체화하여 창조물을 발명한다거나, 놀이도구나 교구를 만지거나 조작한다면 어떻게 될까? 뇌는 사물을 분해하고 조립함을 손에 명할 것이다.
뇌는 손가락을 통해서 새로운 물건을 만들게 하고, 손가락을 외부와의 접촉을 통해서 유용하고 편리한 물건인나 기루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거두고, 더욱 두뇌를 개발하기 위해서 '딜레마 게임'이란 도구를 쓰는 것도 지극히 효과적이다.
'김성훈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장애는 적절한 시기에 맞춰 두뇌훈련을 해주면 쉽게 호전될 수 있다. (0) | 2010.09.09 |
---|---|
학습을 받아들이는 두뇌 내적인 신경학적 유형과 처리 방식이 모두 다르기 때문 (0) | 2010.09.08 |
학습과 관련된 두뇌 신경학적 장점과 취약성을 제대로 알고 이해하는 것이 우리 아이를 바로 사랑하는 길이다. (0) | 2010.09.03 |
사회의 기반시설이 도로라면 인간의 기반시설은 두뇌기능이다. (0) | 2010.09.03 |
감각인지와 읽기와 학습능력 (0) | 201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