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각 통합이란?
  •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감각들을 조직화하고 그 환경 속에서 신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경학적 과정(neurological process)이다.

  • 정상적인 감각 통합 기능은 개개인의 능력에 의존하며, 개개인의 능력이란 중추신경계에서 행동을 조직화하고 계획하기 위하여 감각 정보를 사용하여 정보처리를 진행시키고 통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 감각 통합 치료의 의미는 조절된 감각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적응 반응을 계획, 조직화하고 의미 있는 활동들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환경을 준비함으로써 감각 자극들을 처리하고 통합하는 중추신경계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 감각 통합 이론의 가설
  • 감각 영양(sensory nourishment)
   - 치료적 감각조절은 아동에게 최적의 감각결합을 제공한다.
   - 환경은 다양한 감각을 공급해주어야 한다.

  • 적응반응(adaptive response)
   - 여러 가지 감각 자극에 대하여 목적 있고 의미 있는 행동
   - 적응 반응은 감각 통합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감각 통합은 보다 나은 적응 반응을 만들어 낸다.(이전에 성취했던 반응보다 더욱 복잡한 적응반응을 통해 감각 통합 능력이 향상됨)

  • 신경 가소성(neural plasticity)
   - 적응반응을 통해 신경학적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것은 신경 가소성의 기능이다.

  • 중추신경계의 조직화-계층적 모델(hierarchic model)
   - 뇌의 하위구조는 상위구조 이전에 발달하고 성숙되며, 상위구조에서의 발달과 기능은 하위구조의 발달 정도에 의존하게 된다.
     (일차감각인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 감각의 중요성)

  • 하고자 하는 욕구-내적충동(inner drive)
   - 아동들이 감각-운동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감각 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를 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 감각 통합과 발달


  1단계 :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 시각과 청각 등 일차적인 감각단계로 생후 2개월 까지 완성됨
  2단계 : 신체지각, 양측 협응, 편측화, 운동실행계획 등 지각-운동기술의 기초로 1세까지 완성됨
  3단계 : 청지각, 시지각, -손 협응, 시각-운동 통합, 목적 있는 행동으로 지각-운동 기술단계로 3세까지 완성됨
  4단계 : 학습기술, 복잡한 운동기술, 주의력의 조절, 조직화된 행동, 자기조절과 같은 학습준비 단계로 6세까지 완성됨

■ 감각 처리 장애(Sensory Processing Disorder)의 분류 (by  Lucy J. Miller, Ph.D., OTR.)

  Type I - 감각 조절 장애 (Sensory Modulation Disorder; SMD)
   - Sensory Over-Responsivity(SOR) : 감각에 과민반응, 감각이 너무 강하게 들어오거나 쉽게 들어옴, 회피 혹은 싸우려는 반응, 감각 방어, 감각을 피하려 하거나 최소화 하려한다.

   - Sensory Under-Responsivity(SUR) : 감각에 저 반응, 감각정보를 항상 알아차리는 것이 아니다. 냉담, 무기력 하며, 참여와 탐색에 대한 내적 동기가 결핍되어 있다. “게으름”, “동기 없음”으로 불릴 수 있다.

   - Sensory Seeking/Craving(SS) : 자극을 찾거나 더 강한 자극을 추구, 매우 활발하거나 지속적으로 움직임, 과잉행동. 이 형태의 행동은 사회적으로 용납할 수 없거나, 안전하지 못한 형태로 나타난다.(부딪히거나 때리거나 뛰기) “사고뭉치”, “모험자”, “나쁜”, “위험한”으로 불릴 수 있다.

   - 증상
1. 소리에 대한 과잉 혹은 저 반응
2. 빛이나 새로운 시각 자극(, 모양, 복잡한 바탕)에 대한 과잉 혹은 저 반응
3. 감각 방어
4. 촉각이나 통각에 저 반응
5. 중력 불안
6. 냄새에 대한 과잉 혹은 저 반응
7. 온도에 대한 과잉 혹은 저 반응

   - 세부 분류(Type I)
201. Over-Responsive, Fearful, Anxious Pattern (과잉반응, 두려움, 불안한 형태)
202. Over-Responsive, Negative, and Stubborn Pattern (과잉반응, 부정적, 고집 센 형태)
203. Under-Responsive, Self-Absorbed Pattern (저 반응, 스스로에게 빠진 형태)
 203.1 Self-Absorbed and Difficult to Engage Type (스스로에게 빠진 형태/참여 어려움)
 203.2 Self-Absorbed and Creative Type (스스로에게 빠진 형태/창조적임)
204. Active, Sensory Seeking Pattern (활동적, 감각을 찾는 형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