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안정과 만족지연이라는

두 목표를 동시에 이룬 방법은 무엇이었을까?


동물에서 인간으로 진화한 덕분이 아니었을까?

이런 가정은 지나친 단순 화인데다 세부적인 면에서 오류가 있지만,

큰 맥락에서 틀린 말은 아니다.


발전적으로 진화한 첫 번째 이유는

먹을 것이 충분했기 때문이다.

특히 한 번에 다 먹을 수 없는 매머드나 대형 초식 통물이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몸집이 큰 동물을 잡으면

모든 사람이 배불리 먹은 후에도 일부가 남았을 것이다.

처음에는 우연히 남겨지지만,

어느 순간 ‘미래를 위한 저축’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여기에서 희생의 의미를 어렴풋이 깨닫는다.


‘지금 다 먹고 싶지만 조금남겨 두면 나중에 굶주리지 않을것이다.’

이런 생각은 다음 단계로 발전한다.

‘다 먹지 않고 남겨 두면 나는 물론이고

나와 함께하는사람들도 나중에 굶주리지 않을것이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사회적 개념으로확장된다.


‘이 매머드는 혼자 다 못먹어. 그렇다고 오래 저장하지도 못해.

다른사 람들하고 니눠 먹어야겠어.

그럼 그들도 매머드를 잡으면 나한테 좀 나눠 주지 않을까?

이제부터 내가 먹을 것만 챙기고 나머지는 니눠 줘야겠어 .

니에게서 매머드 고기를 얻어먹은 사람들은 나를 믿을 거야.

그럼 앞으로도 계속 먹을 것을 교환할 수 있겠지.’


이런 식으로 ‘매머드’는 ‘미래의 매머드’가 되고,

‘미래의 매머드’는 ‘개인의 평판’이 되었다.

복잡한 사회 계약도 처음에는 이렇게 출현했다.


조던 B 피터슨, 인생의 12가지 법칙



만족지연은 인간에게 진화과정에서
근본적으로 내재해 있는 동물적 본능과 반대되는 것이다.
언제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현실 세계에서는 
즉각적인 본능적 만족이 더 현실적으로 중요하다.
문명이 지연된 보상을 보장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안정된 상황에서만 만족지연이 효과를 발휘한다.
그래서 문제는 더 복집해진다.
우리가 저축한 것이 모두 파괴되거나
도난당할 게 확실하다면 절약하고 저축할 필요가 없다.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상은 어떤가?
과연 만족지연이 반칙없이 보장되는 사회인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