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방해/키성장억제요소] 장시간 TV시청 키 성장 방해

 

 

 

 

 

 

 

최근 영국의 BBC 방송에서 아주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유아기 때 TV나 컴퓨터를 많이 시청한 아이들일수록 사춘기가 빨리 온다는 것이다.

BBC 인터넷판에 따르면 이탈리아 피렌체대 병원의 로베르토 살티 교수는 6∼12세 초등학생 7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나친 TV 시청이 체내 ‘멜라토닌 호르몬’의 균형을 깨 사춘기를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멜라토닌은 어린이들이 성적으로 성숙해지는 것을 늦추고 사춘기를 나타나게 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호르몬인데, 살티 교수는 부모 동의하에 1주일 동안 조사 대상 어린이들의 TV 및 컴퓨터, 비디오게임 시청을 금지한 결과 이들에게서 멜라토닌 호르몬이 30%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TV 모니터와 컴퓨터 스크린에서 나오는 빛과 방사선이 아니더라도 성인 전용 컨텐츠가 범람하는 TV와 컴퓨터는 분명 아이들의 사춘기를 앞당기는 데 일조하고 있다.

 요즘 10대들의 초경 평균 연령이 60년 사이에 4.5세나 앞당겨졌으며, 여자아이는 11세, 남자아이는 12세 이전에 사춘기의 징후가 나타나는 조숙현상을 보이는 아이들도 있으며, 남자아이들도 여자아이들보다는 늦지만 좀 더 빨리 조숙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조숙증을 보이는 남여 아이들은 뼈의 성숙이 빨라지게 되며, 이러한 뼈의 골화 속도 증가는 골단의 조기 융합을 일으켜 성장판이 일찍 닫히게 되어 최종 성인키가 작게 된다.

또한 장시간의 TV시청은 척추 발달까지 무리를 주게 되는데, 어린이의 척추는 끊임없이 자극 받음으로써 건강이 유지되고 성장하는데, 활동이 거의 없는 채 장시간 컴퓨터게임에 빠져 있다면 온몸이 바싹 긴장한 상태가 되어 척추, 어깨, 관절 등에 무리가 올 수밖에 없다.

따라서 TV와 컴퓨터 쪽으로 쏠리는 아이들의 마음과 시선을 책 속으로 끌어들이도록 부모님들께서 독서습관을 길러주시고, 학부모들이 늦은 시간까지 TV시청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 모범을 보여주고, TV시청이나 컴퓨터 게임 대신 적당한 운동과 취미활동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 적정한 멜라토닌 유지 방법 ♣

1. TV시청과 컴퓨터 사용 시간을 줄인다.

2. 멜라토닌이 풍부한 식품을 간식으로 먹자.

- 바나나, 멜라토닌 합성의 기본 분자인 트립토판이라는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두부, 호박씨, 아몬드. 땅콩 등.

3. 멜라토닌 합성에 관여 하는 비타민 B6가 풍부한 음식 섭취를 늘린다.

- 당근, 간, 새우, 해바라기씨, 통 밀가루 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