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온혈동물로 진화한 걸까? 에너지 소비가 심한 포유류와 조류 2009년 02월 25일(수)
한편 물고기인 황새치는 심해의 차가운 바닷물에서 재빠르게 움직이는 먹잇감을 추적하기 위해 눈의 온도만을 선택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상어와 참치의 경우, 바닷물의 온도보다 조금 높은 상태로 근육의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장거리를 이동하는데 에너지를 아낀다. 뿐만 아니라 박각시나방과 같은 일부 곤충은 필요할 때에만 열을 생산할 수 있다. 겨울밤 몸무게 3분의 1 줄어드는 새 반면 온혈동물은 몸의 크기가 비슷한 파충류의 한 달 치 먹을거리를 하루 만에 소비하는 경우도 있다. 겨울철에는 낭비가 더 심하다. 조류는 평균적으로 체온을 40도로 유지하는데, 많은 작은 새들은 겨울철 밤을 나느라 자신의 몸무게의 3분의 1 가량을 소비한다. 그러니 추운 날에도 가만히 쉬지 못하고 먹을거리를 끝없이 찾아다녀야 하는 위험에 노출되고 만다. 안 그러면 곧 죽고 마니까 말이다.
그렇다면 포유류와 조류는 생명까지도 위험에 처할 정도로 왜 이렇게 에너지 소비가 심한 걸까? 왜 이들은 온혈동물로 진화한 것일까? 현재 이 문제는 생명의 밝혀지지 않은 신비 중 하나이다. 생물학자들은 우리 포유류와 포유류의 사촌격인 조류가 왜 온혈동물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오랫동안 고심해왔다. 그래서 현재 이에 대해 표준에 해당하는 이론이 있다. 그것은 온혈동물이 작은 육식동물로부터 진화했다는 이론으로, 몸을 따뜻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언제나 몸을 움직일 수 있어서 다른 동물을 잡아먹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지난해 이 이론과 정면으로 대립되는 이론이 등장했다. 즉 온혈동물은 육식동물이 아니라 초식동물에서 진화했다는 것이다. 몸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을 고루 얻기 위해서라고 한다. 과연 온혈동물인 우리는 육식동물에서 진화한 것일까? 아니면 초식동물에서 진화한 것일까? 그 이야기는 다음에 계속해보자.
|
박미용 기자 | pmiyong@gmail.com
저작권자 2009.02.25 ⓒ ScienceTimes |
'진화의 새로운 백터-----진과 밈 > 우주천문·지구·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불황 덕에 지구온난화 위기 잠시 주춤 (0) | 2009.03.05 |
---|---|
종교에서 과학기술로 발전한 천문학 (0) | 2009.03.05 |
육식동물 진화설 VS 초식동물 진화설 왜 우리는 온혈동물로 진화한 걸까? (0) | 2009.03.05 |
경이로운 지구 (0) | 2009.03.02 |
“당신의 미래? 손가락에 있소이다” 영국 케임브리지大 연구팀, 약지와 검지 길이 비교 결과 발표 (0) | 2009.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