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에서의 고유수용성 감각
고유수용성 감각, 촉각, 전정 감각은 출생 시부터 만7세가 될 때까지 아동의 정상적인 감각운동(sensorimotor) 발달을 위해 필수적인 감각들이다.
신생아는
근육과 관절에 있는 고유수용성 감각을 통해 외부 환경에 적응하는 법을 배우며,
이후 근육과 관절은 젓가락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정글짐을 어떻게 올라가야하는지 등에 대한 감각을 뇌에 전달한다.
그러므로 신생아는 성인과 같은 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많은 움직임을 통해 감각과 운동을 연습하고 조직화시켜야 한다(김경미 등, 2006).
유아는
생후 초기 몇 개월 동안은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움직임을 만들어내고,
자신의 팔과 다리를 밖으로 밀어내는 놀이를 하며,
엎드려 있을 때는 교대적으로 기어가는 형태를 보이면서 점차적으로 신체 움직임을 잘 조직화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고유수용성 감각과 전정감각이 움직임을 생산해내도록 신경계를 자극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유아의 내적 동기는 감각과 움직임을 조직화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Ayres, 1979).
생후 2~3개월이 되면
아동은 엎드린 자세에서 목 근육을 사용하여 머리를 들고 유지하는 것을 배운 다음
상체와 팔로 지지하여 가슴을 바닥에서 들어올리기 위해 근육을 사용한다.
또한 생후 4개월에서 6개월이 되면 아동은
큰 움직임(big movements) 패턴을 만들어내며,
자신의 손을 보고 만지는 시각과 촉각, 고유수용성 감각을 통해 손이 공간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인식을 발달시킨다(Ayres, 1979).
아동은 시각과 결합하여 손을 정확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하여
촉각 및 근육과 관절 감각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고유수용성 감각은 당겨져 늘어난 근육이나 인대로부터의 정보를 뇌에 전달하여 힘을 어느 정도 주어야 하는지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김경미, 지석연, 노종수, 2003).
생후 9개월에서 12개월쯤 아동은
오랫동안 기어 다닐 수 있고 주위 환경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몸무게와 중력의 당김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는 뼈와 체간과 머리를 지탱해주는 근육으로부터 오는 고유수용성 감각과 전정 감각은 신경계를 자극하게 된다.
이러한 감각들은 아동이 신체의 양측을 협응하는데 도움을 주고
운동계획(motor planning)을 어떻게 하는지 가르쳐주며,
시지각(visual perception)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김경미 등, 2006).
아동은 2세경이 되면
다양하게 움직이는 활동들을 통해 신체로부터 수많은 고유수용성 감각입력을 제공받고,
다른 신체 부위들을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한 내적 감각 지도(picture)를 형성하게 된다.
이 내적 감각 지도는 신체지각(body perception)이라고 하며,
이후 신체도식(body scheme)과
운동계획(motor planning)의 발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Ayres, 1979).
3세에서 7세 사이의 아동은
신체를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는 달리기, 점프하기, 한발로 뛰기, 구르기, 레슬링 하기, 기어오르기 등과 같은 활동에 즐겁게 참여한다.
또한 나이프, 포크, 삽, 통, 바늘과 실, 가위, 크레용, 펜과 종이, 신발끈, 지퍼, 단추 등 단순한 도구들을 사용하는 법을 배운다.
이러한 활동들은 성장하는 동안 뇌에 저장되어온 모든 감각 정보들을 요구하며,
고유수용성 감각 및 다른 감각들의 통합이 잘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8세부터 청소년기까지는
근육과 관절에서 오는 감각들이 보다 잘 통합되어지며,
연속적인 행동(projected action sequence)을 훌륭히 계획할 수 있게 된다(Ayres, 1979).
그리고 성숙한 감각운동 능력을 지니며,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사회성이 향상되고,
높은 지적 기능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진화의 새로운 백터-----진과 밈 > 두뇌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과 행동을 일치시켜라! 감각운동 통합 신경 시스템 (0) | 2009.03.23 |
---|---|
신생아의 뇌 신경회로 발달시기 및 과정 그리고 반사작용 (0) | 2009.03.23 |
고유수용성 감각이란? (0) | 2009.03.21 |
감각통합치료/고유수용성 감각 활동효과 (0) | 2009.03.21 |
집중(concentration)이란 무엇인가? (0) | 2009.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