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수용성 감각의 정의

고유수용성 감각이란

뼈, 인대, 관절, 근육에 있는 수용기로부터 유발되는 정보이며(Ayres, 1972),

운동 행위와 감정적 상태에 영향을 줌으로써

감각통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고유수용성 감각에 대한 정의는 다양한데 어떤 연구자는 전정감각(vestibular)을 포함하기도 하고, 또 다른 연구자는 구심성(afferent) 관절감각과 운동감각(kinesthetic), 촉각을 포함하기도 한다(Roley, Blanche, Schaaf, 2001).

Charles Bell경은 고유수용성 감각을 여섯 번째 감각이라고 명명하며,

  1. 수동적이며 능동적인 움직임에 의한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과
  2. 근육 수축 동안 발생되는 힘에 대한 지각,
  3. 골격근에 의해 움직여지는 신체 일부분의 움직임
  4. 그리고 정적인 자세를 지각하는 감각이라고 정의하였다(McCloskey, 1988).

Sherrington(1906)은 유기체가 능동적인 움직임에 스스로 참여할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서 고유수용성 감각 수용기를 묘사하였다.

많은 연구자들은 고유수용성 감각계를

  • 근방추, 골지건 기관의 수용기에 의해 보조받는다고 여기며,
  • 관절낭의 수용기는 의식적인 인식(awareness)이나
  • 운동감각(kinesthesia)을 이끄는 감각 정보의 원천이라고 보았다.

 

 

초기 연구자들은 근방추가 근육 감각에 가장 주요한 기여 인자라고 가정하였으며 잠재의식(subconscious)수준의 운동조절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겼다(Sherrington, 1906).

또한 초기에는 운동감각(kinesthesia)은 고유수용성 감각과 다르게 구별되며, 무의식이 아닌 의식적인 수준의 감각이라고 보았으며, 운동감각의 입력은 내측섬유띠신경계(dorsal column medial lemniscal system; DCML)를 통하여 피질의 체성감각 영역으로 정보가 전달된다고 믿었다. 운동감각에 대한 여러 정의가 있는데 Oxedine(1968)은 운동감각을 자의적으로 운동하는 동안 신체의 여러 부분들의 위치를 의식적으로 아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또 유정무, 고흥환, 최인범(1982)과 정민화(1986)는 운동감각을 공간에서의 신체위치, 중량, 저항, 평형 및 신체 협응에 필요한 신체적 변별기능의 기초로서 근육의 운동과 노력에 대한 자각으로 운동기능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감각이라고 보았다. 이재신과 김경미(1997)는 운동감각을 관절 움직임의 방향과 몸으로부터 벗어난 정도를 인식하는 것이라 하였다.

몇몇 연구자들은 근육의 고유수용성 감각 정보가 운동감각을 보조한다고 여기기도 하며, 다른 연구자들은 수용기와 신경로가 혼합된 정보를 전달하므로 고유수용성 감각과 운동감각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을 불가능하다고 결론짓기도 한다(Matthews, 1988; Roll & Gilhodes, 1995; Roll, Gilhodes, Roll, & Velay, 1989).

따라서 임상가들은 고유수용성 감각과 운동감각에 대한 연구가 기능적으로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았으므로 두 가지 감각을 하나의 고유수용성 감각에 속한다고 여겼다(Fisher, 1991; Fredericks, 1996). 결론적으로 고유수용성 감각이란 용어는 피부의 기형과 관절낭과 인대에서 유발되는 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모든 근육의 길이와 긴장도의 능동적이며 수동적인 변화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Fredericks, 199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