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의 기억에 과학의 메스를 갖다대다 [교수신문 공동] 인간의 한계 인정하는 겸허한 발걸음이어야... 2009년 04월 13일(월)

<사이언스타임즈>는 지난해에 이어 사회와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이슈 키워드를 정해 다양한 전문가적 관점의 학자적 식견이 상호 소통하는 장인 ‘학문간 대화로 읽는 키워드’ 제2탄을 마련했다. 이 기획은 학술 전문 주간지 <교수신문>(www.kyosu.net)과의 공동기획으로, 21세기 현재 지식의 전선을 바꿔나가는 이슈 키워드에 다양한 학문간 대화로 접근함으로써 인문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미학적 이해와 소통의 지평을 넓히는 데 목적이 있다. 2009년에는 문명의 전환과 인간의 진화에 초점을 맞춘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정보화 사회의 심화, 지구촌을 아우르는 사회, 정치, 경제 질서의 결속 강화는 새로운 문명과 인간이 출현을 가져온다는 인식에서다. ‘기후변화’부터 ‘죽음’까지 13가지 이슈에 대해 과학자와 인문학자가 소통하며 논전을 벌였던 2008년 기획시리즈는 현재 『지식의 이중주』(2008, 해나무)로 출판돼 관심을 끌고 있다. [편집자 註]

▲ 단기기억을 상실한 주인공이 등장하는 영화 <메멘토> 
학문간 대화로 읽는 키워드 현대의 학문이 몸과 마음에 관한 연구를 신경생물학적인 언어로 통합하려는 지배적인 경향을 보이면서, 이제 인간의 모든 의식은 뇌과학의 생리학적인 설명으로써 접근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연구 성과의 최전선에 바로 여기서 소개되는 ‘기억 조작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기억이란 사실 지각이나 감정, 주의 집중이나 선택과 결정 등 이루 다 셀 수조차 없이 무수한 인간의 심리 현상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런데도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 기억이 주목을 받아온 이유는 그것이 사유 행위의 지속성을 일컫는 자아나 주체성의 근간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실은 얼마 전에 개봉됐던 영화, ‘메멘토’를 통해 충분히 환기됐으리라고 봅니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단기 기억을 상실하면서 자신이 누구인가 하는 정체성과 동시에 삶의 의미와 존재 이유를 찾는 데 처절한 아픔을 겪게 됩니다.

인류 역사는 기억조작의 역사

만일 기억이란 것이 우리들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면 어떨까요. 그래서 누구나 행복을 꿈꾸듯이 좋은 기억만을 지닐 수 있다면 아마도 삶이란 장밋빛 인생이 될 수 있을는지도 모를 일입니다.

기억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로프터스 박사는 기억이란 실제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그 일부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뇌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뇌란 자기중심적인 것이어서 기억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가짜기억을 생성하는 놀라운 리모델링 능력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한다면 기억을 뇌 신경물질에 의해 조작할 수 있다는 사실에 놀라기 이전에, 우리들 인간이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간에 자율적으로 기억을 조작해온 것이 인류 진화의 역사라는 것이 더욱 놀라운 사실이 아닐는지요.

▲ 무형의 기억이란 근본적으로 현상학적인 의미의 장을 통해 이해돼야 한다 
그런데 이런 개인적이고 개별적인 기억의 조작 말고도 사회적이고 집단적인 기억의 조작도 있습니다. 최근 기존의 역사 이데올로기로 인해 은폐돼 온 사회적 갈등을 폭로할 수 있는 단서로서, 정치 경제 등의 문화사적인 측면에서 집단 기억의 왜곡과 조작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개별 기억이나 집단 기억을 불문하고 우리의 뇌 속에서 기억이 조작돼 온 이유를 이해할 수 있는 그 하나의 단서를 현상학적인 경험의 장을 통해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기억의 장본인 자신이 진짜 기억하고 싶은 것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은 상상력이나 기대감, 꿈이나 사랑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이 복합적인 현상학적 경험의 장에서만이 이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물론 기억하고 싶지 않은 것에 관해서도 이는 적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과학의 지평이 외면한 윤리물음도 중요

현상학적인 경험의 장이란 시간의 흐름을 의식하면서 과거에 대한 기억을 현재의 행위와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그 무엇으로 착종시키는 전 시간적인 의미의 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일 인생이 행복한 기억으로만 살아진다면 그때 굳이 인간은 인간일 필요를 느낄 수 없는 상태로 전락하지 않을는지요.

물론 치매나 기억상실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과 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나쁘거나 부정적인 기억을 없앨 수 있다는 것은 현대판 복음이 아닐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뇌과학이 아무리 발전하고 있다고 할지언정 진화의 역사를 통해 행해져 온 마음의 놀라운 능력을 속속들이 파헤칠 수는 결코 없다고 생각합니다.

기억이 개인의 전 역사를 통해 살아가는 시간 동안만큼 내부적으로 그리고 외부적으로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화하는 무형의 것이라고 한다면, 유형의 물질인 뇌를 통해 이를 샅샅이 파헤쳐보고자 하는 뇌과학은 그 출발부터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는 겸허한 발걸음이어야 하리라고 봅니다.

▲ 홍경실 고려대 강사ㆍ철학 
무형의 기억이란 근본적으로 현상학적인 의미의 장을 통해 이해돼야 하며, 여기서 논의 중인 기억의 조작 문제는 한 세기 이전에 베르그송도 간파한 바 있듯이 어쩌면 기억 자체에 대한 조작이 아니라 기억의 메커니즘에 관련된 문제일지도 모릅니다.

무형의 기억에 대한 조작 문제를 전적으로 뇌과학의 문제로 환원시켜 이해한다면 이는 저 19세기 과학만능주의(scientism) 유령의 부활을 부추기는 일이 될 것입니다. 만일 이 유령이 다시 한 번 더 출몰하게 된다면 인류의 생존은 보장될 수 없을 것이라고 사료됩니다.

이제 더 이상 미루거나 외면할 수 없는 철학적이고도 윤리적인 물음으로 다시 회귀해야 합니다. 왜 우리는 기억을 조작해야 하는지요. 이러한 물음은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 간의 제휴와 학제 연구에 힘입어서 사실과 가치가 분리되지 않을 때만이 유효할 것입니다.

필자는 고려대에서 베르그송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베르그손의 철학』등의 저서와 「베르그손과 후설 현상학 비교」등의 논문이 있다.

홍경실 고려대 강사ㆍ철학

저작권자 2009.04.13 ⓒ ScienceTime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