性이 사라진 세상을 상상하다 [교수신문 공동] 성의 종말에 대한 쟁점과 시선 2009년 05월 11일(월)

<사이언스타임즈>는 지난해에 이어 사회와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이슈 키워드를 정해 다양한 전문가적 관점의 학자적 식견이 상호 소통하는 장인 ‘학문간 대화로 읽는 키워드’ 제2탄을 마련했다. 이 기획은 학술 전문 주간지 <교수신문>(www.kyosu.net)과의 공동기획으로, 21세기 현재 지식의 전선을 바꿔나가는 이슈 키워드에 다양한 학문간 대화로 접근함으로써 인문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미학적 이해와 소통의 지평을 넓히는 데 목적이 있다. 2009년에는 문명의 전환과 인간의 진화에 초점을 맞춘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정보화 사회의 심화, 지구촌을 아우르는 사회, 정치, 경제 질서의 결속 강화는 새로운 문명과 인간이 출현을 가져온다는 인식에서다. ‘기후변화’부터 ‘죽음’까지 13가지 이슈에 대해 과학자와 인문학자가 소통하며 논전을 벌였던 2008년 기획시리즈는 현재 『지식의 이중주』(2008, 해나무)로 출판돼 관심을 끌고 있다. [편집자 註]

학문간 대화로 읽는 키워드 인간을 포함한 대다수 생물의 진화에서 性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성의 존재로 인해, 생물은 단순한 자기 복제의 늪에서 벗어나 끊임없이 새로운 유전 정보를 구성하면서 더 나은 존재로 도약할 기회를 얻어왔다. 그런 이유로 여러 생물 특히 인간에게서 성이 차지하는 위치는 상상할 수 있는 것 이상이다.

모든 사회 제도, 문화, 라이프스타일에서 성을 제외하면 제대로 이야기할 수 있는 부분이 거의 없다. 또 인간이 욕망의 동물이라고 했을 때, 그 욕망의 기저가 성욕이라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일각에서 바로 이 성의 종말이 논의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어떤 이유에서일까. 우선은 환경학자들 사이에서 예전부터 지적된 것인데, 환경호르몬의 영향으로 남녀의 성비가 파괴되고 있다는 논의를 들 수 있다.

▲ 일각에서 성의 종말이 논의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 핵심에는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있다. 살충제, 제초제, 중금속과 같은 다양한 현대 산업의 부산물이 배출한 물질이 여타 동물은 물론이고 사람에게 영향을 미쳐 성비 불균형이라는 결과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다년간 출생 성비가 불균형하게 되면, 결국 사회 전반적으로 여성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는 다수의 여성 vs 소수의 남성 구조로 사회가 재편됨을 의미한다. 생물학적 관점에서는 진화론적 압력이 여성과 남성에 다른 강도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사회적으로도 많은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가부장제가 강하다면 일부다처제로 압력이 강할 것이고, 그 반대의 경우라면 매우 색다른 여권 중심 사회가 도래할 것이다.

그러나 환경 호르몬으로 인한 성비의 불균형을 ‘남성’의 종말, 혹은 성 일반의 종말로 사고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가장 극단적인 시나리오를 상정하더라도 남녀 간의 정치적, 사회적 권력에 차이가 나는 정도에 그치기 때문이다. 게다가 환경 호르몬은, 잇단 환경론자들의 경고에 힘입어 미래에는 충분히 통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어, 그 파급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생명공학 기술 이용한 단성생식 가능 전망
 
한편 여성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전혀 다른 각도에서 성의 종말이 논의되기도 한다. 일부 극단적 여성주의자들은 미래의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해 단성 생식이 가능할 것이라 전망하기도 한다. 이는 비단 여성들만의 독자적인 재생산 가능한 사회의 구축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동성애자들이 단성 생식을 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고, 혹은 일부러 특정성을 배제한 생식을 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더 극단적으로는 남성과 여성을 통합한 양성형 인간의 자기 재생산이 제시되기도 한다.

혹은 양성형 인간, 동성애 커플, 여성주의 커플, 남성주의 커플이 복합적으로 얽힌 다성적 사회가 출현할 수도 있다. 아무튼 이런 논의는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성비의 불균형과는 차원이 다른데, 지금까지의 이성 중심 사회의 종말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성의 종말에 관련된 테제는 아직까지 학문적 엄밀성을 갖고 진지하게 대규모로 논의되는 수준은 아니다. 그러나 성의 종말은 기술적으로, 곧 인간에게 그럴 만한 의지만 있다면, 불가능하지는 않을 수 있다. 특정 성이 사라진 세상, 혹은 양성형 인간들이 지금의 인간들을 대체할 경우, 지금까지 사회 제도와 문화가 상상도 못할 혁명적 변화를 맞이하리라는 점은 분명하다.

오주훈 교수신문 기자 | aporia@kyosu.net

저작권자 2009.05.11 ⓒ ScienceTime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