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샘신경과 이한샘 원장 

 

아이들의 학습상담을 하다가 보면 저희 HB두뇌학습클리닉을 찾는 많은 부모님 들은 대안학교를 많이 생각하십니다. 아이가 학습부진 또는 학습장애가 있을 때 대안학교가 많이 도움이 되는지, 대안학교가 정서적으로 좀더 좋은지, 좋은 학교가 있는지 등의 질문을 하십니다.

일단 대안학교의 정의를 볼까요? 네이버에서 검색했더니 다음과 같이 나오네요.

 

요약

공교육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만들어진 종래의 학교교육과는 다른 학교.

 

본문

영국의 교육가 A.S.닐이 1921년 설립한 서머힐(Summer hill), I.일리치가 제창한 탈학교교육(deschooling) 등이 있다.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일어난 자유학교(free school)·개방학교(open school) 등으로 불리는 학교교육개선의 영위(營爲)를 가리킨다.

그 특징은 ① 작은 학급에 의한 인간성 회복 ② 아동·학생의 수업계획에의 적극적인 참여 ③ 능력주의·경쟁주의 원리의 약화 ④ 시민의 광범위한 지원 등으로, 의무교육을 중심으로 한 학교교육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일리치의 탈학교교육론과는 다르다.

 

-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

 

즉 학교 및 성적의 서열화에 반대해서 특수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자유학교라는 것이지요. 저희 병원에 오는 친구들은 학습부진도 있지만 상당히 많이 학습장애(아스퍼거, 정신지체, 자폐증, ADHD)가 있습니다.

 

일단 학습장애 특히 정신지체에 해당되는 지능저하가 있을 경우에는 대안학교가 많이 추천이 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들에게 대학강의로 듣는 물리학강의를 6시간 내내 들으라고 한다면 이것은 학습이 아니라 고문이겠죠. 이와 마찬가지로 정신지체 친구에게 일반 아이들과 같이 빠른 진도로 수업 따라가라고 강요하게 되면 수업이 아니라 고통만 가중시키는 결과를 낳기 때문입니다. 정서적으로도 의욕저하, 자존감저하, 교우관계형성의 악화 등이 초래됩니다.

 

학습부진의 경우도 자신의 학습 스타일과 맞지 않다거나 죽어도 강압적인 서열화 사회구조에서 학습하기는 싫고 자신만의 길을 추구하겠다면 어느 정도 추천됩니다. 자신에게 맞는 교육을 찾아갈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러나 단지 간섭이 덜하니까 혹은 도피처로서의 대안학교로의 전학은 오히려 실패를 볼 수 있습니다. 결국에는 다른 사람의 배려가 적어지는 경쟁적 사회로의 진출을 할 수 밖에 없는데 도피행위는 실패자를 양산하기 때문입니다.

 

대안학교의 단점도 있습니다.

1. 교육부의 인가를 받은 학교도 있고 인가를 받지 않은 학교도 있다.

- 교육부의 인가 여부에 따라서 학교의 좋고 나쁨의 차이가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단지 인가를 받았을 경우에는 일반학교처럼 거의 모든 커리큘럼이 짜여져 있고 형태도 비슷하고 약간의 자유도만이 보장되어 있는 반면에 인가를 받지 않은 학교는 다양한 교육방법이 준비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졸업하여 대학 혹은 상급학교로의 진학할 때에는 검정고시를 봐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2. 대안학교는 대부분 기숙사 생활을 합니다.

- 학습보다는 가족과의 사랑이 더 필요한 곳도 있습니다. 정서적으로 민감할 때 떨어져 생활하다보면 이런 가족관계를 포기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특히 ADHD 아동의 경우 부모님의 컨트롤에서 벋어나기 쉽기 때문에 안 좋은 길로 갈 수도 있는 문제구요. 긍정적으로는 자립심 및 사회와의 소속감을 좀 더 높일 수 있다는 점이 있지만 주변을 보면 항상 좋은 방향으로 가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3. 대안학교가 모두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학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 일부 대안학교는 직업학교 성격을 띄고 있습니다. 즉 대부분의 대안학교는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가 있는 친구들에게 맞추어져 있지 않다는 점이죠. 예를 들어 디자인 쪽으로 진출하려는 학생들에 특화되어 있다거나 혹은 음악쪽으로 특화되어 있다거나 등으로 직업학교의 성격이 강한 곳도 있습니다. 즉 특화되어 직업교육을 하는 정도의 학교가 많습니다. 이런 곳에 학습장애, 학습부진이 있는 친구들이 간다면 오히려 사회적 고립 및 부적응의 형태로 다시 돌아오겠죠.

 

위와 같은 단점이 있지만 일반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대안학교는 순기능적인 면이 많습니다. 단지 대안학교가 우리 친구들 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목적 및 학교의 특성 등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심사숙고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