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간호학실습
*구안와사*
Ⅰ. 서론
1.연구목적
환절기를 맞이해 차가운 방이나 야외에서 잠을 잤다가 또는 찬바람에 노출된 후 갑자기 입이 돌아갔다고 찾아오는 환자들이 많아졌다. 이렇게 갑자기 입이 돌아간것을 한방에서는 구안와사 혹은 와사풍이라고 부르고, 양방에서는 안면신경마비로 진단한다. 안면마비가 경미한 환자는 대개 수개월 안에 자연스레 완전히 회복된다. 신경 손상이 심한 경우는 80~90% 선에서 회복되며, 기능 장애가 남는 경우 양방에서는 얼굴 근육 기능을 개선하는 수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우선으로는 양방과는 다른 한방에서의 안면마비 접근방법과 치료방법을 알아보고 한방에서의 치료방법중 하나인 즉 지창 ․ 협거 ․ 예풍 등의 침치료 적용을 통해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관찰해 보고자 하며 다음으로는 이러한 안면마비의 회복에 있어 조기진단과 조기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상의 통증감소를 위한 효율적 간호중재를 수행하고자, 예방법을 생활화 하도록 교육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2.연구기간 및 방법
기간 : 2004.04.12~16
장소 :
방법 : observation, chart 분석, 의료진과 conversation
Ⅱ.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 한쪽편 얼굴에 마비가 와서 입이 비뚤어지고 눈이 감기지 않는 것을 구안와사라고 한다.
· 구안와사=와사풍=안면마비= 벨마비
· 어떠한 원인 없이 안면 표정근에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마비가 오는 것을 말하고, 유아로부터 노인에 · 이르기까지 발생하지만, 주로 20~30세 사이에 호발하며 임산부에서도 간혹 나타난다.
· 남자와 여자의 차이는 별로 없으나 남자가 40세 정도에서 많이 나타나며 여자는 20세 정도에서 호발
· 어린이에게는 10~13세 정도, 노인에게는 65세 정도에서 주로 발생
2) 원인
· 특징은 그 증상은 급격히 나타난다는 데 있다.
· 구안와사는 풍이 혈맥에 침범하여 한쪽의 안면신경을 마비시켜 생기는 것이며, 눈, 귀, 치아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① 외상성 원인
-뇌종양 수술을 통해 생길 수 있는 두개 내 외상,
측두골 골절 ;안면신경 핵이 위치하고 있는 뇌 부위에 손상을 받은 경우
-이하선(침샘) 수술로 인하거나 칼로 얼굴을 심하게 찔린 경우
;안면신경이 지나가는 신경 통로의 외상으로 인하여 안면신경이 상한 경우
② 비외상성 원인
-심인성 스트레스, 원기 쇠약
-혈액순환 장애, 뇌혈관 장애
-벨쓰 마비(Bell's Palsy) ;원인이 아직 정확하지는 않지만 한랭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
-안면신경을 침범하는 대상포진(herpes zoster)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일어나는 수포성(水疱性) 피부질환
-급/만성 중이염이나 내이염
-청신경 및 안면신경에 발생한 종양
·고혈압, 심신이 허약할 때의 정신적인 과로
·과음 후 찬방에서 얼굴을 바닥에 대고 자고 일어난 후
·어린이가 차가운 바닥에 엎드려 자고 일어났을 때
·무더운 날씨에 선풍기나 에어컨 바람을 맞으면서 잠을 잤을 경우
·삼복더위에 일을 많이 하고 나서 갑자기 찬물에 세수를 했을 때
·갑자기 입과 눈이 비틀어진 것을 진단 결과 많이 볼 수 있다.
*구안와사는 주로 한냉한 곳에 노출되었을 때 많이 발생한다
3) 증상
안면신경 마비는 대개의 경우 5일 이내에 최대의 마비에 이른다
안면 마비가 발생하면 얼굴 근육의 마비로 인하여 얼굴이 일그러져 입이 한 쪽으로 쏠리고, 심한 경우 눈을 감지 못하며 음식을 먹을 때 흘리게 된다.
안면마비의 증상은 안면운동마비 → 음식 맛보기 장애 → 청력장애 → 눈물장애의 순서로 진행되며 침범부위가 진행될수록 예후가 나빠지기 때문에 빨리 손을 쓰는 것이 좋다.
1)풍사외습(風邪外襲)
· 마비된 쪽 얼굴이 차갑고 당기는 듯하고 눌러보면 아프며 무거운 것이 붙어있는 감이 든다 (풍한증).
· 안면근육이 늘어지는 듯하고 차갑지 않고 오히려 후끈거린다(풍열증).
· 마비된 근육이나 눈꺼풀이 약간 붓는다(풍습증).
2)간기울결(肝氣鬱結)
정신적으로 고민이 많거나 불쾌한 일을 당한 여성들에게 흔한데, 발병 전에는 불안감이 계속되며 발병 후에는 표정이 굳어지고 정신이 흐려지며 때로는 소리내어 울기도 하고 마비된 근육이 떨린다.
3)기혈구허(氣血俱虛)
과로와 관련하여 마비가 오는 경우인데 장병(長病) 또는 산후의 여성에게서 나타난다.
4)풍담저락(風痰阻絡)
눈자위가 검고 안색이 거무스름하며 자주 어지럽고 눈이 아찔하기도 하며 가끔 구역질도 하고 마비된 곳에 벌레가 기어가는 듯하다.
4) 예방방법
* 뒷목을 항상 따뜻하게 해 준다
· 말초성 구안와사 ( Bell's palsy ) : 시작점은 귀 뒤에 있는 유양돌기(귀 뒤에 불룩 튀어나온 곳)에서 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구안와사가 오기 전 3-4일전에는 이 부분의 통증을 호소한다. 따라서 이 부분을 상 따뜻하게 그리고 온도차이가 심하지 않게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Δ구안와사/중풍비교
구안와사(말초성 마비) |
중풍(중추성마비) |
· 안면마비환자는 이마의 주름이 마비측에서
풀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 간혹 마비측의 귀 뒤쪽이 뻐근하게
아픈 경우가 있다.
· 얼굴근육의 마비 이외의 어떠한 다른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다. |
· 중풍환자는 안면마비환자와는 달리
이마의 주름이 풀려있지 않다.
· 중풍인 경우에는 흔 반신마비, 삼키기장애,
발음장애(어둔), 한편으로 기울어지는
걸음걸이 이상과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 |
· 안면신경만이 손상되어 유발
· 적절한 휴식과 운동을 하시면서, 정기적으로
체질에 적합한 보약을 복용 한다 |
· 중풍 치료의 차원에서 예방과 관리치료에 신경!
·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비만, 과도한 흡연 등으로 유발 |
5) 예후
구안와사는 대부분 3-7일 사이에서 호전되기 시작하여 1-2개월에 호전 하 80%정도
15%는 3개월 이후에 서서히 회복되면서 완전 회복이 되고, 5-10%정도는 후유증을 남김
<예후가 불량한 경우>
ㄱ) 3-5일 동안에 급격하고 완전한 마비를 보이는 경우
ㄴ) 완전마비의 회복이 지연적으로 회복이 되는 경우
ㄷ) 미각(맛)이 소실되고 청각이 예민한 경우
ㄹ) 누액(눈물)분비가 전혀 없거나, 타액(침)분비가 감소되는 경우
ㅁ) 귀의 통증이나 안면통이 있는 경우
ㅂ) 고령의 환자
* 조기 치료와 꾸준한 치료를 하는 것이 후유증도 예방하고 회복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정보
▷ 이름 : 고++
▷ 성별/나이 : F/65
▷ 가족력 :
▷ 과거력 :5년전 보건소에서 Hypertension Dx후 현제까지 po med
▷ 발병일 : 2004,4,7일 들에서 찬바람 쐰후, 창문열고 주문신후 2004 4.8일 발병
▷ 입원경로 : 현 65세 태음인형 여자환자는 음주 흡연이 없으며, l
ocal한의원 A-Tx herbmed po Tx한 상태로 보다 적극적 함방치료를 원하여
2004.4.9 pm 12:30 OPD후 foot으로 608호에 adm.
▷ 주증상 : ① 좌 안면부 마비감
② 좌이후통
③ 유루
▷ 진단명 : R/o Bell's Palsy
▷ 설진 : 설담홍진백해
▷ 맥진 : 침완맥
▷ EKG : brady cardia (rate : 48)
▷ v/s : 150/90 -54-20-36.6
130/80 -56-20-36.8 (혈압약 복용후)
▷ 키 : 165cm
▷ 몸무게 : 72kg
3.신체사정 (사진)
1) 신 : 청명
2) 수면 : 6시간 정도
3) 호흡 : 가끔 숨참 (비탈길 오를 때)
4) 언어, 성음 : 변무이상
5) 두 : 관골부 홍조띠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걸붉은 안면색 띔
6) 면 : “
7) 안(눈) : 유루 (약간씩 내계부로 흐름호소)
8) 이․비․인․후 : 맥핵 기름상 있음
9) 항․감(목) : 유양돌기부 통증과 이명호소
10) 흉 : 좌협부 안통이 20년 전부터 있음 (뻐근함)
11) 복 : 변무이상
12) 요 : 변무이상
13) 사지 : 변무이상
14) 피부 : 안면 및 팔뚝에도 검버섯이 있으며 약간 건조함
15) 식욕 ․구갈 : 발병후 구갈
16) 대변 : 1회/day (밀가루 음식 먹고나면 하품이남)
17) 소변 : 5-6회/day
18) 월경 : 음부소양감이 있음 , 배뇨시 열감이나 통증은 없음
19) 한 : 건열증상과 함께 안면부에서 식은땀날때가 있음
땀이많아 더운 곳에 못있음
20) 맥 : 침맥
4.임상병리검사
1)요화학검사
*Routine Urinalysis
검사항목 |
결과 |
참고치 |
specific-gravity |
1.010 |
- |
PH |
8.0 |
- |
protein |
- |
- |
glucose |
- |
- |
ketone |
- |
- |
bilirubin |
- |
- |
urobilinogen |
- |
- |
nitrite |
- |
- |
color |
strain |
- |
*Microscopic Examination
검사항목 |
결과 |
참고치 |
WBC |
1개미만(1) |
<1 |
RBC |
1개미만(1) |
<1 |
epi |
1개미만(1) |
<1 |
bac |
1개미만(1) |
<1 |
2)혈액학검사
검사항목 |
결과 |
참고치 |
WBC |
67 |
4.5-11.0x10 |
RBC |
3.84 |
4.5-6.5x10 |
Hgb |
11.6 |
13-17 |
Hct |
34.3 |
36-46% |
MCV |
89.3 |
82-92fl |
MCH |
30.2 |
27-33pg |
MCHC |
33.8 |
32-36g/dl |
RDW |
13.5 |
11-16g/dl |
PLT |
28.5 |
15-40x10 |
MPV |
9.1 |
9-13fl |
PDW |
11.5 |
14.5-17.5% |
P-LCR |
19.3 |
0-40% |
*Complete blood cell counter
검사항목 |
결과 |
참고치 |
poly |
58 |
- |
LYMPH |
35 |
15-44% |
MONO |
7 |
1-10% |
ESR |
34 |
20 |
*Differental counter
검사항목 |
결과 |
참고치 |
HBsAg |
- |
- |
HBsAb |
+ |
- |
3)혈청학․미생물 검사
*Serological test
검사항목 |
결과 |
정상치 |
Ca |
9.0mg/dl |
8.1-10.4mg/dl |
uric acid |
4.0mg/dl |
2.4-5.7mg/dl |
FBS |
72mg/dl |
76-110mg/dl |
Amylase |
141U/L |
220이하U/L |
BUN |
13mg/dl |
10-50mg/dl |
Creatinine |
0.8mg/dl |
1.1이하mg/dl |
T.cholesterol |
191mg/dl |
200-300mg/dl |
Triglyceride |
303g/dl |
200이하g/dl |
T.Protein |
0.9g/dl |
6.6-8.7g/dl |
Albumin |
4.3mg/dl |
3.5-5.0mg/dl |
T.bilirubin |
0.6U/L |
1.3이하U/L |
AST |
21U/L |
0-31U/L |
ALT |
16U/L |
0-31U/L |
AIK |
88mg/dl |
30-100mg/dl |
4) 생화학검사
*Routine chemistry
*Liver profile
검사항목 |
결과 |
정상치 |
r-GT |
17 U/L |
U/L |
*Electrolyte profile
검사항목 |
결과 |
정상치 |
Na |
142 mmol/l |
mmol/l |
K |
4.7mmol/l |
mmol/l |
Cl |
1.8mmol/l |
mmol/l |
HDL |
38 mg/dl |
mg/dl |
LDL |
141mg/dl |
mg/dl |
LDH |
221U/L |
U/L |
날짜
치료 |
12 |
13 |
14 |
16 |
I․R |
◎ |
◎ |
◎ |
◎ |
PT |
◎ |
|
|
|
이기거풍산 |
◎ |
◎ |
◎ |
◎ |
전침 |
◎ |
◎ |
◎ |
◎ |
S-G |
|
◎ |
|
|
인삼패독산 |
◎ |
◎ |
◎ |
◎ |
5. 치료 & 약물 현황
* 침치료부위
+ palsy일시 침치료 적용 원리 : 기혈의 운행을 조종함으로써 경락의 기혈 운행부족으로 인한 근육의 위축이나 저림, 지체의 마비증상을 치료한다.
· 사용침 : 전침 (저주파 침법)
· 부위 :
* 적용 물리치료
+ 온찜질 (hot bag 적용)
+ s.s.p 치료
+ t.e.n.s 치료
+ infra red (근 적외선 등)
6. 간호과정
#1. 좌 안면부 마비와 관련된 통증
<간호사정> (문제발견일 : 04.4.12)
주관적 : " 광대뼈 아래쪽이 아파요“
“귀 뒤쪽이 욱신거리는 것 같애”
객관적 : * 이마주름이 풀리고 눈꺼풀이 풀려 내려앉아있다. 눈썹의 높이가 다르다
* ‘이’했을때, 좌측치아 2개 보이가 구강법령이 풀려있고 코방울도 풀려있다.
대상자는 유양돌기부와 관골구 아래 통증을 호소한다.
<간호진단>
좌 안면부 마비와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4.16일까지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의 통증이 없다.
대상자는 더 이상 좌 안면부 마비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안면근육 강직을 완화하기 위해 마사지를 적용한다.
- 좌 안면부를 부드럽게 문질러 드리고 ,
당신 스스로 하실 수 있게끔 격려하였다.
2. 안면 근육강화를 위해 안면근육 운동을 실시한다.
- 3-4시간 간격으로 껍씹기 운동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 ‘아’ ‘에’ ‘이’ ‘오’ ‘우’ 운동을 아침에 일어나서 한번, 식하하고 양치후 한번(3회)
주무시기 전 1회 하도록 격혀하였다.
3. 통증완화와 마비증상 완화를 위해 전침을 적용한다.
- 오전, 오후 30분간 적용하였다.
4. 통증완화를 위해 I-R(근 적외선 등)을 적용한다.
- 10-11 ; 1회 (20분간)
15-16 ; 1회 (20분간)
5. 통증완화를 위해 hot bag을 적용한다.
- prn으로 bag에 1/3정도 채워서 수건으로 덮은다음 얼굴부위에 적용한다.
6. 통증완화를 위해 기분전환 활동을 적용한다.
-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악을 같이 들으며 이야기 한다.
‘꽃바람 여인’ 노래를 같이 듣고 음악에 대해 대화 나누었다.
- 기분전환을 위해 간단한 체조를 같이 하였다.
팔들어올리기 같은 맨손체조
- 기분전환을 위해 따뜻한 hot bag을 등 밑이나 다리밑에 적용하였다.
7. 통증이 있을시 보고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통증이 있으면 알리라고 말씀드렸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더 이상 통증이 없다고 말씀하셨다. (4/14 4pm)
#2. 좌 안면부 마비로 인한 눈 깜빡거리지 못함과 관련된 조직손상
<간호사정> (문제발견일 : 4/13)
주관적 : “ 양쪽눈이 따가워요 ”
“ 자고나면 눈이 뻑뻑한 것 같애, 아후-눈이야 ”
객관적 : 대상자는 눈이 따갑다고 표현하고 자고일어나면 눈이 뻑뻑하다고 말한다.
낮잠을 주무실 때 눈이 완벽하게 감기지 않고 띄어져있다. (문제발견일 : 4.12)
안구가 충혈되어 있었다.
<간호진단>
좌 안면부 마비로 인한 눈 깜빡거리지 못함과 관련된 조직손상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4.16까지 눈 뻑뻑함이 낳아졌다고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의 눈 뻑뻑한 증상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눈 움직임을 예전과 같이 회복한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각막보호를 위해 잠을 잘 때 안대를 적용한다.
- 좌안면부 마비로 인해 눈이 완벽히 감기지 않으시기 때문에 건조함으로 인한 각막보호와
이물로인한 염증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안대를 적용한다.
2. 안구건조를 위해 필요시 인공눈물을 적용한다.
- 좌 안면부 마비로 인해 깜빡거리지 못하므로 prn으로 인공눈물을 1-2방울 적용하였다.
3. 충혈증상과 분비물여부 증상을 계속해서 관찰한다.
- 감염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증상 발현유무를 관찰한다.
4. 계속해서 pain이 있을시 보고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눈의 뻑뻑함이 완화되었다고 말씀하셨다. (4/14)
#3. 좌안면부 마비와 관련된 신체감저하
<간호사정> (문제발견일 : 4/12)
주관적 : “ 볼 것 없어, 뭘 이런걸 봐 - 보지말어 ”
“ 난 이게 큰 근심거리야, 물도 못마시고 줄줄 흘리고..”
객관적 : 대상자는 남에게 얼굴 보이길 꺼려하며
질환의 증상에 대해 부정적인 표현을 한다.
<간호진단>
좌안면부 마비와 관련된 신체감저하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4/16까지 신체장애에 적응함을 말로 표현 할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 신체장애(안면마비)에 대한 stress가 없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대상자에게 안면마비증상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말로 표현하도록 했다.
- 처음에 증상에 대해 말씀하시기 꺼려했으나
나중에 “ 남에게 보이기 싫고, 가장 큰 걱정거리”라고 말씀하셨다
2. 대상자가 생각하는 모습과 직접 거울을 보여주며 차이점을 인지하도록 하였다.
- “ 물 마실 때 물 흐르고 눈도 안감기고 보기도 싫었는데, 많이 낳아진 것 같네?”
라는 말씀을 하셨다.
3. 7-10일간 꾸준히 치료받으면 안면근 마비가 많이 완화 될 수 있을것이라는 설명을 해 드렸다.
- 조금씩 더 좋아지는 모습을 직접 관찰하시며 긍정적인 표현을 하셨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불편한거야 뭐- 인제이렇게 마시면 조금흐르지만 괜찮아”라고 하시며
신체장애에 대해 적응함을 말로 표현 하셨다. (4.14)
#4. B․R와 관련된 변비
<간호사정> (문제발견일 : 4/13)
주관적 : “ 내가 매일 변을 보는데, 여기있으면서 3일동안 변을 못봤어 ”
“ 계속 침대에만 있으니 소화도 안되는 것 같고 ”
“ 화장실 가기 귀찮아서 물도 잘 안맛게 된단말야..”
객관적 : 대상자는 3일동안 변을 보지 못했다.
대상자는 보하기 위해서 바깥바람을 쐬지 못하고 계속 병실 내에 있다.
대상자는 어떠한 활동도 하지 않고 침대위에 앉아 tv를 시청하거나 독서를 한다.
<간호진단>
B․R와 관련된 변비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적어도 2일 이내에는 변을 볼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는 예전처럼 하루에 한 번씩 변을 본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는다.
- 질기거나 단단한 음식은 멀리해야 하므로 고구마 같은 연하되기 쉬운 섬유질을 섭취하도록 한다.
- 과일을 많이 먹도록 격려하였다.
2. 수분을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 대상자는 적어도 하루에 수분을 1.8L이상은 섭취한다.
; 식사시 국을 많이 먹도록 하고 , 중간중간 물을 한컵씩 마시게 했다.
3. 간단한 체조를 하도록 격려했다.
-대상자는 침상안정 상태로 움직이기 꺼려하셨다.
따라서 침대위에 앉아 다리 들어 올리거나 몸 비틀기 같은 운동&체조를 같이 하였다.
4. 되도록 자연적 요법을 써 보도록 하고 불편할 시 하제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Dr.판단하에)
<간호평가>
대상자는 15일 변을 보았다고 말씀하셨다 (4/16 1pm)